하며 賢人
의 所以駴世
를 聖人
이 未嘗過而問焉
하며 君子
의 所以駴國
을 賢人
이 未嘗過而問焉
하며 小人
의 所以合時
를 君子 未嘗過而問焉
하나니라 
			                         
                        		
                        		
                        		
	                     		
			                       	
			                       	
	                     		
	                     		
		                        
                        	
                        	
                        	
                        	
                   			
                        	
                        	
                        	
                        	
	                       	
	                       	
	                       	
	                       	
							                       	
	                        
	                        
	                        	
	                        
	                        	
	                        
	                        	
	                        
	                        	
	                        
	                        	
	                        
	                        	
	                        
	                        	
	                        
	                        	
	                        
	                        	
	                        
	                        	
	                        
	                        	
	                        
	                        	
	                        
	                        	
	                        
	                        	
	                        
	                        	
	                        
	                        	
	                        
	                        
	                        
                        	
		                        
		                        
		                        
		                        
                        		
                        	
		                        
		                        
		                        
		                        	
		                        	
		                        
		                        
                        		
                        		
                        			
			                             
                        			
                        		
                        		
	                     		
			                       	
			                       	
	                     		
		                        
                        	
		                        
		                        
		                        
		                        
                        		
                        	
		                        
		                        
		                        
		                        	
		                        	
		                        
		                        
                        		
                        		
                        			
			                        
			                        	〈무위자연無爲自然의 본래의〉 덕德은 명예를 구하는 데에서 넘치고, 명예는 남에게 과시하려는 데서 도度에 지나치게 된다.
			                              
                        			
                        		
                        		
	                     		
			                       	
			                       	
	                     		
		                        
                        	
		                        
		                        
		                        
		                        
                        		
                        	
		                        
		                        
		                        
		                        	
		                        	
		                        
		                        
                        		
                        		
                        			
			                        
			                        	모략은 절박한 데서 고안되고 지혜는 다툼에서 생겨 나온다.
			                              
                        			
                        		
                        		
	                     		
			                       	
			                       	
	                     		
		                        
                        	
		                        
		                        
		                        
		                        
                        		
                        	
		                        
		                        
		                        
		                        	
		                        	
		                        
		                        
                        		
                        		
                        			
			                        
			                        	일이 정체되고 막히는 것은 관청의 관습에 얽매이는 데서 생기고, 일의 성취는 오로지 대중大衆의 필요에 영합해서 결실을 맺는다.
			                              
                        			
                        		
                        		
	                     		
			                       	
			                       	
	                     		
		                        
                        	
		                        
		                        
		                        
		                        
                        		
                        	
		                        
		                        
		                        
		                        	
		                        	
		                        
		                        
                        		
                        		
                        			
			                        
			                        	봄비 내리는 계절이 되어 초목이 힘차게 생장하면, 가래와 호미를 가지고 비로소 초목을 가꾸는데 〈이 때문에 도리어〉 초목이 파헤쳐져 거꾸로 선 것이 반이 넘게 되어도, 그렇게 된 줄 모른다.
			                              
                        			
                        		
                        		
	                     		
			                       	
			                       	
	                     		
		                        
                        	
		                        
		                        
		                        
		                        
                        		
                        	
		                        
		                        
		                        
		                        	
		                        	
		                        
		                        
                        		
                        		
                        			
			                        
			                        	가만히 앉아서 수행하는 정좌법靜坐法은 병자의 기운을 북돋울 수 있고 지압법은 늙음을 멈추게 할 수 있고, 호흡법은 심장박동이나 호흡이 어지러이 뛰는 것을 멈추게 할 수 있다.
			                              
                        			
                        		
                        		
	                     		
			                       	
			                       	
	                     		
		                        
                        	
		                        
		                        
		                        
		                        
                        		
                        	
		                        
		                        
		                        
		                        	
		                        	
		                        
		                        
                        		
                        		
                        			
			                        
			                        	비록 그렇지만 이와 같은 일들은 몸을 인위적으로 괴롭히는 사람이나 하는 일일 뿐 마음을 편히 하는 사람은 그 앞을 지나가면서 한 번 묻지도 않는 것이다.
			                              
                        			
                        		
                        		
	                     		
			                       	
			                       	
	                     		
		                        
                        	
		                        
		                        
		                        
		                        
                        		
                        	
		                        
		                        
		                        
		                        	
		                        	
		                        
		                        
                        		
                        		
                        			
			                        
			                        	〈사람의 등급에는 신인神人, 성인聖人, 현인賢人, 군자君子, 소인小人으로 차등이 있는데〉 성인聖人이 온 천하를 놀라 움직이게 하는 치료법을 영묘한 능력의 소유자인 신인神人은 지나가면서도 물어보지 않으며, 현인賢人이 세상을 놀라 움직이게 하는 치료법을 성인聖人은 지나가면서도 물어보지 않으며, 군자君子가 나라를 놀라 움직이게 하는 치료법을 현인賢人은 지나가면서도 물어보지 않으며, 소인小人이 시세時世에 영합해서 생각해낸 치료법을 군자君子는 지나가면서도 물어보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