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莊子(3)

장자(3)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장자(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知道乎
無窮曰
不知로라
又問乎無爲한대 無爲曰
知道하노라
하니라
其數 若何
無爲曰
知道之可以貴 可以賤이며 可以約이며 可以散하노니
此 吾 所以知道之數也니라
泰淸 以之言也 問乎無始하야
若是則無窮之弗知 與無爲之知 孰是而孰非乎
無始曰
不知 深矣 知之 淺矣
弗知乃知乎 知乃不知乎
孰知不知之知
無始曰
道不可聞이니 聞而非也 道不可見이니 見而非也 道不可言이니 言而非也니라
知形形之不形乎
道不當名이니라
無始曰
有問道而應之者 不知道也 雖問道者라도 亦未聞道하나니라
道無問이며 無應하니
無問이어늘 問之하나니 是 問窮也
無應이어늘 應之 是 無內也
以無內 待問窮하나니 若是者 外不觀乎宇宙하며 內不知乎大初


어느 때인가 태청泰淸무궁無窮에게 물었다.
“그대는 도를 아는가?”
무궁無窮이 대답했다.
“나는 모른다.”
태청이 다시 무위無爲에게 묻자 무위가 말했다.
“나는 도를 안다.”
태청이 말했다.
“그대가 도를 아는 데에는 특별한 방법이라도 있는가?”
무위無爲가 말했다.
“있다.”
태청泰淸이 말했다.
“그 방법은 어떠한가?”
무위無爲가 말했다.
“나는 도가 귀해질 수도 있고 천해질 수도 있으며 묶을 수도 있고 흩을 수도 있다는 것을 안다.
이것이 내가 도를 아는 방법이다.”
태청이 이 이야기를 무시無始에게 하면서 물었다.
“만약 그렇다면 무궁이 알지 못하는 것과 무위가 아는 것 중에서 어떤 것이 옳고 어떤 것이 그른가?”
무시無始가 말했다.
“알지 못한다고 하는 것은 도를 깊이 체득했기 때문이고 안다고 하는 것은 도를 얕게 알고 있기 때문이다.
알지 못하는 것은 도를 내면에 둔 것이고 아는 것은 도를 밖에 두고 있는 것이다.”
이에 태청泰淸이 크게 탄식하며 이렇게 말했다.
“알지 못하는 것이 아는 것이고 아는 것이 알지 못하는 것인가.
누가 알지 못하는 것이 아는 것임을 알겠는가.”
무시無始가 말했다.
“도는 들을 수 없는 것이니 만약 들을 수 있다면 도가 아니며 도는 볼 수 없는 것이니 만약 볼 수 있다면 도가 아니며 도는 말할 수 없으니 말할 수 있다면 도가 아니다.
드러난 모습을 드러나 보이게 하는 것은 보이지 않는다는 사실을 아는가?
도는 이름을 붙일 수 없는 것이다.”
무시無始가 말했다.
“도를 물었을 때 대답하는 자는 도를 알지 못하는 자이니 비록 도에 관해 묻더라도 도가 무엇인지 들을 수 없다.
도는 물을 수 없는 것이며 물음에는 대답할 수 없는 것이다.
물을 수 없는 것인데 물으니 이것은 물음이 다한 것이다.
대답할 수 없는데 대답한다면 이것은 도가 안에 없는 것이다.
안에 없는데 물음이 다한 것을 기다리니 이 같은 자는 밖으로는 우주를 보지 못하고 안으로는 태초가 무엇인지 알지 못하는 자이다.
이 때문에 곤륜산을 지나가지 못해서 태허에서 노닐지 못한다.”


역주
역주1 於是 泰淸 問乎無窮曰 : 어느 때인가 태청이 무궁에게 물음. 泰淸과 無窮은 모두 인명으로 이 대화의 주체이지만 成玄英이 “泰는 大이다. 至道는 크고 넓으며 고요하고 맑고 비어 있지만 無窮을 주머니에 넣고 있다. 그 때문에 泰淸과 無窮을 이름으로 삼은 것이다[泰 大也 夫至道弘曠 恬淡淸虛 囊括無窮 故以泰淸無窮爲名也].”라고 풀이한 것처럼 道의 두 측면을 의인화한 것이다. 한편 池田知久는 泰淸은 天의 작용의 의인화이고, 無窮은 공간적 무한의 의인화이고 이어서 등장하는 無爲는 인위의 부정을 의인화한 것이고 無始는 시간적 무한, 즉 영원의 시간을 의인화한 것이라고 풀이했는데 참고할 만하다. 冒頭에 於是라는 표현이 있는 걸로 보아 앞에 이와 관련된 다른 이야기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지만 지금 없기 때문에 於是를 우선 ‘어느 때인가’로 번역하였다.
역주2 子之知道 亦有數乎 : 그대가 도를 아는 데에는 특별한 방법이라도 있는가? 數는 術數, 방법이라는 뜻. 成玄英은 ‘名數’로 풀이했다. 林希逸은 “일일이 거론할 수 있음을 말한 것이다[謂可歷歷而言也].”라고 풀이하여 약간 다른 방향으로 이해했다.
역주3 弗知 內矣 知之 外矣 : 알지 못하는 것은 도를 내면에 둔 것이고 아는 것은 도를 밖에 두고 있는 것이다. 도를 내면에 두고 있으면 도를 밖에 있는 대상으로 보지 않기 때문에 도를 안다고 말하지 않고, 도를 안다고 말하는 것은 道를 대상화한 것이므로 나라는 주체에 상대한 도가 따로 있는 것이므로 도가 밖에 있는 것이라는 뜻이다.
역주4 泰淸 卬而歎曰 : 태청이 크게 탄식하며 말함. 卬은 저본에는 中으로 표기되어 있다. 成玄英, 林雲銘, 陸樹芝는 中의 의미 그대로 해석하고 있지만, 陳景元에 의해 고치는 것이 옳다. 崔譔본에는 卬으로 되어 있다(陸德明).
역주5 不過乎崑崙 不遊乎太虛 : 곤륜산을 지나가지 못해서 太虛에서 노닐지 못함. 곤륜산을 지나야 태허에서 노닐 수 있는데 곤륜산조차 지나가지 못하므로 도의 세계인 태허에 들어갈 수 없다는 뜻이다. 林希逸은 “곤륜산은 우주 밖에 있고 태허는 또 곤륜산 밖에 있다. 곤륜산조차 지나지 못했는데 어찌 태허에 이를 수 있겠는가[崑崙在於宇宙之外 太虛又在崑崙之外 崑崙且未過 安得至太虛乎].”라고 풀이했다.

장자(3)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