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莊子(4)

장자(4)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장자(4)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惠子 謂莊子曰
子言 無用이로다
莊子曰
天地 非不廣且大也언마는 니라
惠子曰
無用이니라
莊子曰


혜자惠子장자莊子에게 말했다.
“자네의 말은 아무 쓸모가 없다네.”
장자莊子가 말했다.
“ ‘쓸모없음’을 알아야만 비로소 쓸모 있음에 대해 더불어 말할 수 있다네.
무릇 천지天地는 넓고 또 크지 않은 것이 아니지만 실제로 사람이 필요로 하는 것은 발로 밟는 크기만큼의 공간일 뿐이지.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발의 크기를 측량하여 그 공간만 남기고 주위의 나머지 땅을 깊이 파 황천黃泉까지 도달하게 한다 치면, 그러고서도 〈발 딛는 공간이〉 사람들에게 여전히 쓸모 있는 땅이 될 수 있겠는가?”
혜자惠子가 말했다.
“쓸모가 없겠지.”
장자莊子가 말했다.
“그렇다면 쓸모없는 것이 쓸모가 있다는 것 또한 분명한 사실이구만.”


역주
역주1 知無用而始可與言用矣 : 쓸모없음을 알아야만 비로소 쓸모 있음에 대해 더불어 말할 수 있음. ‘始可與言~矣’와 같은 형식의 구문은 《論語》 〈學而〉편에서 “賜는 이제 비로소 함께 시를 이야기할 만하다[賜也 始可與言詩已矣].”라고 한 부분과 〈八佾〉편에서 “나를 일깨워주는 이는 商이로구나. 비로소 함께 시를 말할 만하다[起予者商也 始可與言詩已矣].”라고 한 데서 같은 용례가 보인다.
역주2 人之所用容足耳 : 사람이 필요로 하는 것은 발로 밟는 크기만큼의 공간일 뿐임. 〈徐无鬼〉편 제13장에서 “사람의 발이 땅을 직접 밟는 부분은 협소하지만 직접 밟지 않은 땅을 믿은 뒤에라야 넓게 걸어 다닐 수 있다[足之於地也踐 雖踐 恃其所不蹍而後 善博也].”라고 한 맥락과 같은 뜻이다(林希逸).
역주3 然則廁足而墊之하야(하면) 致黃泉함에/하리어니 人이 尙有用乎 : 그렇다고 해서 발의 크기를 측량하여 그 공간만 남기고 주위의 나머지 땅을 깊이 파 黃泉까지 도달하게 한다 치면, 그러고서도 〈발 딛는 공간이〉 사람들에게 여전히 쓸모 있는 땅이 될 수 있겠는가. 廁은 측량함. 測과 같다. 墊은 ‘빠질 점[溺也]’, ‘내려올 점[下也]’, 여기서는 ‘팔 점[掘]’. 成玄英은 “墊은 팜이다[墊 掘也].”라고 풀이했다. 之는 나머지의 모든 땅, 곧 발 딛는 곳 이외의 필요 없는 땅을 가리킨다.
역주4 然則無用之爲用也 亦明矣 : 그렇다면 쓸모없는 것이 쓸모 있다는 것 또한 분명함. 《老子》 제11장의 “有가 이로운 까닭은 無가 쓰이기 때문이다[有之以爲利 無之以爲用].”라고 한 대목과 같은 내용이다(成玄英).

장자(4)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