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莊子(2)

장자(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장자(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可以踐霜雪이오 毛可以風寒이니
齕草飮水하고
此馬之眞性也 雖有이라도 無所用之니라
及至 로라하야 하며 하며 하며 하야늘 馬之死者十二三矣
하며 하며 하야 前有하고 而後有하야늘 而馬之死者 已過半矣니라
曰 我 善治하노니
라하며 曰 我 善治木하노니
하고 이라하나니
世世 稱之하야 曰伯樂 善治馬하고 而陶匠 善治埴木이라하나니 니라
컨대 善治天下者 不然이라하노라
하야 織而衣하며 耕而食커늘 是謂이라
이라하나니라


말은 굽으로 서리나 눈을 밟을 수 있고 털로 바람과 추위를 막을 수 있다.
풀을 뜯고 물을 마시며 발을 들고 뛰어다닌다.
이것이 말의 참된 본성本性이니 비록 높은 누대樓臺나 호화로운 저택邸宅이 있다 하더라도 쓸 곳이 없다.
그런데 백락伯樂이 “나는 말을 잘 다룬다.”고 해서 털을 태우고 깎아 내며 굽을 깎고 낙인을 찍으며 연이어 굴레를 씌우고 다리를 묶으며 구유와 마판에 줄줄이 묶어 놓음에 이르러 죽는 말이 열에 두세 마리에 이르고,
굶기고 목마르게 하며 달리고 뛰게 하며 정돈整頓시키고 가지런히 해서 앞에서는 재갈이나 가슴받이 장식으로 끌어대는 괴로움이 있고 뒤로는 가죽 채찍이나 대나무 채찍으로 때려 대는 억압抑壓이 있게 되면 죽는 말이 이미 절반을 넘게 된다.
옹기장이는 “나는 진흙을 잘 다룬다.
둥근 것은 그림쇠에 꼭 맞고 모난 것은 곱자에 딱 들어맞는다.”고 하며, 목수는 “나는 나무를 잘 다룬다.
굽은 것은 갈고리에 꼭 맞고 곧은 것은 먹줄에 꼭 맞는다.”고 한다.
하지만 대체 진흙이나 나무의 본성本性이 어찌 그림쇠, 곱자, 갈고리, 먹줄에 꼭 맞기를 바라겠는가.
그럼에도 세상에서는 대대로 일컫기를 백락伯樂은 말을 잘 다루고 옹기장이와 목수는 진흙과 나무를 잘 다룬다고 하니 이 또한 천하를 다스리는 자의 과실이다.
나는 생각건대 천하를 잘 다스리는 자는 그렇게 하지 않을 것이다.
저 사람들은 일정하게 타고난 본성이 있어서 길쌈을 해서 옷을 지어 입으며 밭 갈아서 먹을 것을 장만하는데 이를 일러 타고나면서부터 다 같이 얻은 덕이라고 한다.
모두 한결같지만 서로 짜고 이룬 것이 아니다.
그래서 이것을 ‘하늘이 놓아준 것’이라고 부른다.


역주
역주1 : 말. 阮毓崧은 民을 비유한 것이라 했는데 참고할 만하다.
역주2 : 굽. 여기서는 당연히 말굽이다. 司馬彪는 말굽[馬足甲也]이라 했다.
역주3 : 막음. 《經典釋文》에서 陸德明은 “《廣雅》에 이르기를 대적함이라고 했다[廣雅云 敵也].”라고 풀이했고 “崔譔본에는 辟자로 되어 있다[崔本作辟].”라고 했다. 御로 한 인용도 있지만 禦와 통용해서 쓰는 글자이기 때문에 같은 뜻이다(王叔岷).
역주4 翹(교)足而陸 : 발을 높이 들어 뛰어다님. 翹는 蹻의 가차로 든다[擧]는 뜻이고, 陸은 馬坴의 가차로 뛰어다닌다는 뜻. 成玄英은 翹를 든다[擧也]는 뜻으로 풀이했고, 馬叙倫은 蹻(발제껴 디딜 교)의 假借字로 보았다. 陸에 대해서는 몇 가지 이설이 있다. 陸德明은 《經典釋文》에서 “司馬彪가 陸은 뛰어다님이다. 자서에는 馬坴으로 되어 있다[陸 跳也 字書作馬坴 馬坴馬健也].”라고 했지만, 司馬本에는 踛(뛸 륙)으로 되어 있다(孫詒讓, 郭慶藩, 阮毓崧, 王叔岷). 때문에 陸을 踛의 잘못으로 보는 견해(郭慶藩, 奚侗)와 踛의 假借로 보는 견해(馬叙倫)가 있고, 드물게는 于鬯(《莊子校書》)이 陸을 ‘뭍에 산다[陸居]’는 뜻으로 본 견해도 있다. 그러나 陳景元은 陸을 馬坴으로 보고 馬坴의 뜻을 뛴다는 뜻으로 풀이했는데 이 견해가 적절하다. 阮毓崧, 王叔岷, 池田知久 등도 모두 陸을 馬坴과 통하는 글자로 보았고, 張君房본에는 馬坴으로 되어 있다.
역주5 義臺 : 예의를 베푸는 높은 누대. 《淮南子》에 나오는 容臺와 같다. 따라서 義는 儀容, 儀禮의 뜻으로 보는 것이 적절하다. 章炳麟은 義‧羲를 巍(높을 외)의 假借라 하여 높은 臺[高臺]의 뜻이라 했고, 奚侗 등도 의를 峩의 가차로 풀이하여 義臺路寢을 高臺大寢의 뜻으로 보았는데 王叔岷 등이 이 견해를 지지하고 있다. 이 견해는 高와 大의 상응이 자연스럽다는 점에서 참고할 만하지만 충분한 근거가 있는 것은 아니다. 兪樾은 “예의를 베푸는 누대[行禮儀之臺].”라고 풀이했는데 義를 儀와 같은 글자로 본 것이며 고자에서는 이 두 글자를 통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 견해는 宋 范應元의 《莊子講話》에 처음 나오며 羅勉道, 宣穎, 陸樹芝 등이 모두 이 견해를 따랐다.
역주6 路寢 : 큰 집. 곧 신분이 높은 사람들이 사는 크고 편안한 집을 뜻한다. 陸德明은 《經典釋文》에서 “路는 正이며 大이다[路 正也 大也].”라고 풀이했고, 崔譔은 “路寢은 正室.”이라고 풀이했다. 路는 본래 큰길을 뜻하는데 여기서의 路는 크다는 뜻만 남은 것이다.
역주7 伯樂 : 《經典釋文》에서 陸德明은 “성은 孫이고 이름은 陽으로 말을 잘 부렸다. 石氏星經에 이르기를 伯樂은 하늘의 별 이름으로 天馬를 담당하는데 孫陽이 말을 잘 부렸기 때문에 그것을 이름으로 삼았다[姓 孫 名 陽 善馭馬 石氏星經云 伯樂 天星名 主典天馬 以孫陽善馭 故以爲名].”라고 했다. 한편 成玄英은 “《列子》에 이르기를 성은 孫이고 이름은 陽이며 字는 伯樂이다. 秦 穆公 때 말을 잘 다루던 사람이다[列子云 姓孫 名陽 字伯樂 秦穆公時 善治馬人].”라고 했다.
역주8 曰我善治馬 : 나는 말을 잘 다룬다고 말함. 王叔岷은 治를 調로 쓰는 인용이 있음을 들어 ‘길들이다’는 뜻으로 보았는데 참고할 만하다.
역주9 燒之剔(체)之 : 말의 털을 태우고 깎음. 《經典釋文》에서 司馬彪는 “燒는 달군 쇠로 태우는 것을 말한다[燒謂燒鐵以鑠之].”라고 풀이했다. 剔은 털을 깎는다는 뜻. 《經典釋文》에서 陸德明은 《字林》을 인용하여 剃(깎을 체)자로 보았고, 向秀와 崔譔은 鬄(깎을 체, 뼈바를 척)자로 보았는데 모두 털을 깎는다는 뜻으로 풀이한 것이다. 司馬彪와 成玄英 등도 마찬가지.
역주10 刻之雒之 : 굽을 깎고 낙인을 찍음. 《經典釋文》에서 司馬彪는 “刻은 굽을 깎는 것을 말한다[謂削其甲鬣].”라고 풀이했다. 雒은 火印을 찍어서 標識로 삼는 행위를 말한다. 郭嵩燾, 兪樾, 王叔岷 등은 모두 雒을 烙의 假借로 보고 烙印을 찍는다는 뜻으로 보았다. 池田知久도 마찬가지. 한편 兪樾은 司馬彪가 雒을 “머리를 얽어매는 것을 말한다[謂羈雒其頭也].”라고 풀이한 것을 따라서 雒을 絡의 가차로 보고 얽어매다는 뜻으로 보았지만, 이어지는 連之以羈馽이라는 구절에 굴레를 씌우고 다리를 얽어맨다는 내용이 나오기 때문에 여기의 雒을 같은 뜻으로 보면 표현이 중복되므로 적절치 않다.
역주11 連之以羈馽(칩) : 연이어 굴레를 씌우고 다리를 얽어맴. 羈는 머리에 굴레를 씌우는 것이고 馽은 다리를 얽어매는 것이다. 林希逸은 “羈는 머리를 묶는 것이고 馵은 다리를 묶는 것[羈 絡其頭也 馵 絆其足也].”이라고 풀이했다.
역주12 編之以皁(조)棧 : 마판에 줄줄이 묶어 놓음. 編은 차례대로 묶어 놓다는 뜻. 皁는 말구유. 方勇‧陸永品은 말구유[馬槽]로 풀이했다. 棧은 마판(馬板). 마판은 나무판을 마구간 바닥에 깔아서 습기를 차단하는 것으로 馬床이라고도 한다(方勇‧陸永品).
역주13 飢之渴之 : 굶기고 목마르게 함. 말을 순치시키기 위해 의도적으로 하는 행위. 말을 굶주리게 하거나 갈증을 느끼게 함으로써 말을 순치시키는 경우는 《韓非子》에 “조보가 제왕을 위해 말을 몰 때 갈증난 말로 복마를 편성했다[造父爲齊王駙駕 渴馬服成]. (《韓非子》 卷14 〈外儲說〉)”라고 한 데서 보인다(池田知久).
역주14 馳之驟之 : 달리고 뛰게 함. 馳之는 말로 하여금 달리게 하는 것이고, 驟는 멈추어 있다가 갑자기 달리게 하는 것.
역주15 整之齊之 : 정돈시키고 가지런히 함. 成玄英은 “가로나무와 멍에로 말을 정돈하고, 재갈과 고삐로 말을 가지런히 한다[整之以衡扼 齊之以鑣轡].”라고 풀이했다.
역주16 橛飾之患 : 재갈과 가슴받이 장식으로 끌어대는 괴로움. 橛은 재갈. 司馬彪는 “橛은 재갈이다[橛 銜也].”라고 풀이했다. 飾은 가슴걸이[靷] 따위의 장식.
역주17 鞭筴之威 : 가죽 채찍과 대나무 채찍으로 때리는 억압. 鞭과 筴은 모두 말을 때리는 도구이다. 王叔岷은 筴자가 策으로 된 인용을 소개하고 있는데 筴과 策은 서로 통용하는 글자이다. 《經典釋文》에서 陸德明은 “《春秋左氏傳》 杜預 注에는 말채찍이라고 했다[杜注左傳云 馬檛也].”라고 풀이했다. 成玄英은 “가죽이 있는[帶皮] 것을 鞭이라 하고, 가죽이 없는[無皮] 것을 筴이라 하는데 모두 말채찍이다[帶皮曰鞭 無皮曰筴 俱是馬杖也].”라고 풀이했다.
역주18 陶者 : 질그릇을 굽는 기술자. 옹기장이. 成玄英은 陶를 化로 풀이하고 “옹기장이가 물과 흙을 잘 조화시켜서 질그릇을 만드는 것을 이른다[陶 化也 謂陶者善能調和水土而爲瓦器].”라고 했다.
역주19 埴(식) : 찰흙. 질그릇의 재료가 되는 찰진 흙. 곧 점토[粘土]를 말한다. 《經典釋文》에서 崔譔은 흙[土]이라 했고, 司馬彪는 “埴土로 질그릇을 만들 수 있다[埴土可以爲陶器].”라고 풀이했다. 陸德明은 “《尙書傳》에는 흙이 찰진 것을 埴이라 한다고 했고, 《釋名》에는 埴을 뭉친다는 뜻이라 했다[尙書傳云 土黏曰埴 釋名云 埴 膱也].”라고 풀이했다.
역주20 圓者中規 方者中矩 : 둥근 것은 그림쇠에 꼭 맞고 모난 것은 곱자에 딱 들어맞음. 規는 그림쇠이고 矩는 곱자[曲尺]이다. 中은 꼭 맞다는 뜻.
역주21 匠人 : 목수. 世德堂본에는 이 아래에 者자가 붙어 匠人者로 되어 있다(池田知久).
역주22 曲者 中鉤 : 굽은 것은 갈고리에 꼭 맞음. 鉤는 목수가 곡선을 그릴 때 쓰는 도구.
역주23 直者 應繩 : 곧은 것은 먹줄에 꼭 맞음. 應은 앞에 나온 中規, 中矩, 中鉤의 中과 같은 뜻. 《經典釋文》에서 陸德明은 應對의 뜻[應對之應]으로 풀이했다.
역주24 埴木之性 豈欲中規矩鉤繩哉 : 진흙이나 나무의 본성이 어찌 그림쇠, 곱자, 갈고리, 먹줄에 꼭 맞기를 바라겠는가. 成玄英은 “흙이나 나무의 본성은 조물자에게 받아서 곡직을 구하지 않으니 어찌 네모나 원을 바라겠는가. 그런데도 옹기장이나 목수들은 제멋대로 좋고 나쁨을 가린다[土木之性 稟之造物 不求曲直 豈慕方圓 陶者匠人 浪爲臧否].”라고 풀이했다.
역주25 然且 : 그런데도. 然而와 같다.
역주26 此亦治天下者之過也 : 이 또한 천하를 다스리는 자의 과실임. 宣穎은 “이 또한 천하를 다스리는 자들이 백성들의 본성을 교정하고는 도리어 그것을 두고 잘 다스린다고 말하는 것과 같다. 백성들의 본성이나 말‧찰흙이 무엇이 다르며, 古今의 천하를 다스리는 자들이 伯樂이나 옹기장이‧목수와 무엇이 다른가[亦猶治天下者 矯民之性 而反謂之善治人也 民性與馬埴木何異 古今治天下者與伯樂陶匠何異].”라고 풀이했다(王叔岷).
역주27 彼民有常性 : 사람들에게는 일정하게 타고난 본성이 있음. 成玄英은 彼民을 검은 머리[黎首]라고 했는데 黎首는 黎民과 같은 뜻으로 검은 머리 백성, 곧 서민들을 뜻한다. 林希逸은 常性을 〈騈拇〉편의 ‘常然’과 같은 뜻이라고 했는데 常然은 늘 그러함을 나타낸 표현이고 여기의 常性은 常然之性의 뜻으로 보는 것이 간편하다.
역주28 同德 : 타고나면서 함께 얻은 덕. 林希逸은 “동덕이란 하늘에서 똑같이 얻은 것[同德者 得之於天者同然].”이라고 풀이했고, 陸樹芝는 “천성이 같기 때문에 동덕이라 한 것[天性同然 故曰 同德].”이라고 풀이했는데 위에서 常性을 常然之性으로 본 것과 마찬가지로 同德은 同然之德으로 보는 것이 적절하다.
역주29 一而不黨 : 한결같지만 서로 짜고 이룬 것이 아님. 一은 백성들이 일치된 常性과 同德을 가지고 있다는 뜻이고, 不黨은 그런 동일성이 자연히 이루어진 것이지 인위적으로 패거리 지어 꾸며 낸 것이 아님을 나타낸 것이다.
역주30 命曰天放 : 하늘이 놓아준 것이라고 부름. 天放은 하늘이 놓아준 것, 自然의 放任을 의미함. 命은 命名의 뜻. 郭象은 “내버려 두자 저절로 하나가 된 것일 뿐이고 짜고 이룬 것이 아니다. 그 때문에 하늘이 놓아준 것이라 한 것[放之而自一耳 非黨也 故謂之天放].”이라고 풀이했다. 또 陸樹芝는 “사람들이 합일되어 서로 무리 지어 따르지만 하늘이 그들로 하여금 저절로 그리되게 한 것이지 억지로 노력하기를 기다린 것이 아니다. 그 때문에 하늘이 놓아준 것이라고 했다[人人合一 而阿黨以相從 是天使之自然而然 不待勉强 故曰天放].”라고 풀이했는데 대의는 郭象과 같다. 한편 林希逸은 “자연스럽게 마음대로 행동하고 스스로 즐기는 것으로 〈齊物論〉의 ‘天行’, ‘天均’, ‘天遊’나 여기의 ‘天放’은 모두 莊子가 자연의 즐거움[樂]을 형용한 것.”이라고 했다.

장자(2)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