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莊子(3)

장자(3)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장자(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知士 無思慮之變則不樂하고 辯士 하고 하나니 일새니라
하고 庶人 有旦暮之業則勸하고 百工 有器械之巧則壯하나니라
하고 勢物之徒 樂變하고(하나니라) 遭時有所用이면 不能無爲也니라
하야 終身不反하나니 悲夫


지모智謀가 뛰어난 사람은 사려思慮(모략)를 짜내고 꾸밀 수 있는 사건이 일어나지 않으면 즐겁지 않고, 변설辯舌이 능한 사람은 자기의 열변熱辯을 휘두를 실마리가 없으면 즐겁지 않고, 사물을 잘 살피는 사람은 〈잘 살피고 조사하여 상대방을〉 욕하고 꾸짖으면서 몰아칠 수 있는 사건이 생기지 않으면 즐겁지 않으니 이들은 모두 외계의 사물에 구속되어 자기를 상실한 자들이다.
세상에 뛰어난 인물은 일어나 몸을 조정에 세우고, 중등의 인물로 백성들을 잘 다스리는 인물은 관료로서 영달하고, 힘이 센 사람은 위난危難을 당해서 자신만만하고, 용감한 사람은 환란患亂을 당했을 때 떨쳐 일어나고, 무기로 몸을 견고하게 감싼 사람은 전쟁을 즐거워하고, 야위고 까칠해져 가면서 자기주장을 고집하는 사람은 명예를 취하고, 법률을 닦는 사람은 정치를 넓게 펴 나가고, 의 가르침을 닦는 사람은 용모를 경건히 하고, 인의仁義의 도덕을 설파하는 사람은 사람과의 교제를 중시한다.
농부는 잡초를 뽑는 밭일이 없으면 즐겁지 않고, 상인은 시장에서 장사하는 일이 없으면 즐겁지 않고, 서민은 아침저녁으로 할 일이 있어야만 힘써 일하고, 기술자는 기계를 만드는 기교가 있어야만 씩씩해진다.
돈과 재물이 쌓이지 않으면 탐욕스런 인간들은 근심하고, 권세가 남보다 낫지 않으면 위세 부리기 좋아하는 인간들은 슬퍼하고, 권세와 재물에 사로잡힌 무리들은 사건이 일어나는 것을 즐거워하고 때를 만나 자기가 기용起用될 지위가 있게 되면 가만히 있지 못한다.
이들은 모두 세월의 추이推移에 따라서 외물外物로 인해 자기가 변화당한 자기상실자들이다.
자기의 육체와 본성을 몰아서 외계의 사물에 매몰시켜 죽을 때까지 본래의 자기로 돌아오지 않으니 슬프다.


역주
역주1 無談說之序則不樂 : 자기의 열변을 휘두를 실마리가 없으면 즐겁지 않음. 談說之序는 談說之緖와 같다. 成玄英은 “말할 실마리가 없으면 즐겁지 아니함이다[無談說端緖 則不歡樂].”라고 풀이했다.
역주2 察士 無凌誶(신)之事則不樂 : 사물을 잘 살피는 사람은 〈잘 살피고 조사하여 상대방을〉 욕하고 꾸짖으면서 몰아칠 수 있는 사건이 생기지 않으면 즐겁지 않음. 察士는 까다롭게 따지는 사람. 誶은 따지고 묻는다는 뜻.
역주3 皆囿於物者也 : 모두 외계의 사물에 구속된 자들임. 곧 외물에 구속되어 자기를 상실한 자들이라는 뜻. 각각의 성품에 따라 有爲의 세계에 얽매어져 있는 인간들의 모습을 표현하고 있는 대목이다. 〈刻意〉편 제1장에 나온 내용을 이어 야위고 까칠해져 가면서 세상과 타협하지 않는 고집스런 사람, 은둔지사 등을 비판하는 내용이다(福永光司, 赤塚忠, 池田知久).
역주4 招世之士 興朝 : 세상에 뛰어난 인물은 일어나 몸을 조정에 세움. 林希逸은 招世之士를 두고 “명예를 좋아하는 사람[好名者]”이라고 풀이했고, 陸西星은 “세상에 알아주기를 구하며 스스로 드러내는 자[招搖於世而自見者].”로 풀이했는데, 아래에 중간 정도 가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中民之士’가 나오는 걸로 보아 招를 超의 가차자로 보고 超世之士, 곧 세상에 뛰어난 사람의 뜻으로 풀이하는 것이 간명하다.
역주5 中民之士 榮官 : 중등의 인물로 백성들을 잘 다스리는 인물은 관료로서 영달함. 中民之士는 재능이 중등 가는 사람. 陸樹芝는 “中民이란 위로는 天民이 아니고 아래로는 凡民이 아니면서 民 중에서 중간 수준에 해당하는 자이다[中民者 上非天民 下非凡民 而在民之中者也].”라고 풀이했다.
역주6 筋力之士 矜難 : 힘이 센 사람은 危難을 당해서 자신만만함. 陸西星은 “孟賁이나 烏獲 같은 무리이다[孟賁 烏獲之徒也].”라고 풀이했는데 孟賁과 烏獲은 모두 《孟子》에 나온다. 矜難은 어려움을 극복하는 것을 자랑으로 여긴다는 뜻. 林希逸은 “患難을 극복하는 것을 자랑으로 여김이다[以濟患難爲矜夸也].”라고 풀이했다.
역주7 枯槁之士 宿名 : 야위고 까칠해져 가면서 자기주장을 고집하는 사람은 명예를 취함. 枯槁之士는 말라비틀어진 모습의 은자를 지칭하는데 〈刻意〉편에 “말라비틀어진 모습으로 연못에 몸을 던지는 자들[枯槁赴淵者].”로 나온 적이 있다. 宿名은 명예를 취한다는 뜻. 陸德明은 宿을 오랫동안 머물다[積久]는 뜻으로 풀이했지만 兪樾의 견해를 따라 縮으로 보고 취한다는 뜻으로 번역하였다.
역주8 法律之士 廣治 : 법률을 닦는 사람은 정치를 넓게 펴 나감. 법가를 비판한 내용이다(方勇‧陸永品).
역주9 禮敎之士 敬容 仁義之士 貴際 : 예의 가르침을 닦는 사람은 용모를 경건히 하고 인의의 도덕을 설파하는 사람은 사람과의 교제를 중시함. 유가를 비판한 내용이다(方勇‧陸永品).
역주10 農夫無草萊之事則不比 商賈(고)無市井之事則不比 : 농부는 잡초를 뽑는 밭일이 없으면 즐겁지 않고, 상인은 시장에서 장사하는 일이 없으면 즐겁지 않음. 草萊는 잡초. 草萊之事는 잡초를 제거하는 일. 比는 즐거움. 比를 親比의 뜻으로 풀이하는 주석가들이 많지만 옳지 않다. 奚侗은 《廣雅》를 인용하여 “比는 樂이다.”라고 풀이했는데 이 견해가 옳다. 商賈는 장사하는 사람. 商은 行商이고, 賈는 居商이다.
역주11 錢財不積則貪者憂 權勢不尤則夸者悲 : 돈과 재물이 쌓이지 않으면 탐욕스런 인간들은 근심하고, 권세가 남보다 낫지 않으면 위세 부리기 좋아하는 인간들은 슬퍼함. 尤자가 充자로 표기되어 있는 인용문이 있는 데 근거하여 馬叙倫은 充으로 보는 것이 옳다고 했지만 여기서는 赤塚忠이 優의 가차자로 본 견해를 따라 그대로 두고 번역하였다. 夸는 과시함. 곧 위세 부리는 것을 의미한다.
역주12 此皆順比於歲 不物於易者也 : 이들은 모두 세월의 推移에 따라서 外物로 인해 자기가 변화당한 자기상실자들임. 不物於易은 馬叙倫이 지적하고 있는 것처럼 ‘而易於物’의 잘못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不物於易을 그대로 두고는 의미가 통하지 않는다. ‘不’과 ‘而’는 筆寫의 경우, 글자 모양이 유사하여 자주 혼동되며 ‘易’과 ‘物’도 글자 모양이 유사하다(池田知久).
역주13 馳其形性 潛之萬物 : 자기의 육체와 본성을 몰아서 외계의 사물에 매몰시킴. 이 대목은 위에 거론한 19종에 달하는 세속 사람들의 잘못된 삶을 총괄한 표현이다(方勇․陸永品).

장자(3)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