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莊子(1)

장자(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장자(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하야
有人於此하니 하며 하며 하나니
老耼曰
且也하며 하나니 如是者 可比明王乎
陽子居
敢問明王之治하노라
老耼曰


양자거陽子居노담老耼을 만나서 이렇게 말했다.
“여기 어떤 사람이 있는데, 아주 민첩하고 굳세며, 만물을 잘 꿰뚫고 만사를 분명히 알며, 도를 배우는 데 게을리하지 않습니다.
이와 같은 사람은 명왕明王에 견줄 수 있겠습니까?”
노담이 말했다.
“이런 사람은 성인과 비교하면 잡일이나 담당하며 기술에 얽매이는 자들인지라 몸을 수고롭게 하고 마음을 졸일 뿐이다.
게다가 호랑이와 표범의 아름다운 무늬는 사냥꾼을 불러들이고, 원숭이의 민첩함과 살쾡이를 잡는 개는 우리를 불러오는 법이니 이 같은 사람이 명왕明王에 견줄 수 있겠는가.”
양자거가 깜짝 놀라 얼굴빛을 고치고 말했다.
“감히 명왕의 다스림에 대해 여쭙습니다.”
노담이 대답했다.
“명왕의 다스림은 이 천하를 뒤덮어도 자기가 한 일로 여기지 않고, 교화敎化가 만물에 베풀어져도 백성들이 느끼지 못하며, 베풂이 있는데도 아무도 그 이름을 일컫지 않으며, 만물로 하여금 스스로 기뻐하게 하여, 헤아릴 수 없는 초월적인 경지에 서서 아무 것도 없는 근원의 세계에 노니는 것이다.”


역주
역주1 陽子居 : 인명. 楊朱라는 설이 유력하다. 李頤는 “居는 이름이고 子는 남자의 통칭이다[居名也 子男子通稱].”라 했고, 成玄英은 “姓은 陽이고 이름은 朱이며 字는 子居이다[姓陽 名朱 字子居].”라고 했다. 또 奚侗은 孟子와 同時代人인 楊朱라고 했다. 陽子居와 老耼의 문답은 〈寓言〉편에도 있고, 弟子를 거느린 陽子는 〈山木〉편에도 등장한다.
역주2 老聃 : 인명. 〈養生主〉편의 역주 참조. 이 문답의 내용은 〈天地〉편의 孔子와 老耼의 問答과 대동소이하다.
역주3 嚮疾彊梁 : 아주 민첩하고 굳셈. 嚮疾은 影響처럼 빠르다는 뜻. 彊梁은 강하고 굳센 모양. 崔譔은 “강량한 사람을 미워한다[疾彊梁之人也].”고 하여 疾을 미워한다는 뜻으로 풀이했지만 부적절하다. 李頤는 “민첩하고 빠른 것이 마치 메아리 같다[敏疾如響也].”고 풀이했다. 彊梁은 强良과 같은 뜻으로 신체의 强壯함을 의미한다. 林希逸은 剛健으로 풀이했다. 〈山木〉편에 ‘從其彊梁 隨其曲傅’라고 있으며, 《老子》 42장에도 ‘彊梁者 不得其死’라는 표현이 있다. 朴世堂은 “嚮疾은 일을 재빨리 처리하는 것이고, 彊梁은 덕을 견고하게 붙잡는 것이다[嚮疾 趨事之敏也 彊梁 執德之固也].”라고 풀이했다.
역주4 物徹疏明 : 만물을 잘 꿰뚫고 만사를 분명히 앎. 徹은 通과 같이 투철하게 안다는 뜻이고, 疏明은 聰明과 같다. 따라서 物徹疏明은 만물의 이치를 잘 꿰뚫고 만사를 분명히 안다는 뜻이다. 崔譔은 “어느 것이든 통달하지 않은 것이 없고, 어느 것이든 명확하게 이해하지 못하는 것이 없다[無物不達 無物不明].”고 풀이했고, 성현영은 “사물을 살펴 밝게 통찰하고, 탁 트이고 두루 통하여 영민하다[鑑物洞徹 疏通明敏].”고 풀이했다. 朴世堂은 “物徹은 일에 통달함이고, 疏明은 이치를 잘 구분하는 것이다[物徹 通於務 疏明 辨於理].”라고 풀이했다.
역주5 學道不勌 : 도를 배우는 데 게을리하지 않음. 不勌은 不倦과 같다. 陳景元, 馬叙倫 등은 “지치지 않는다[不勞也].”로 풀이했다.
역주6 如是者 可比明王乎 : 이와 같은 사람은 明王에 견줄 수 있겠습니까? 比는 필적하다, 비교하다, 견주다의 뜻.
역주7 是於聖人也 : 이런 사람은 성인과 비교하면. 是는 如是者, 곧 이같은 사람. 於聖人也는 성인과 비교해서의 뜻.
역주8 胥易(이)技係 : 잡일이나 담당하며 기술에 얽매이는 자들. 胥易는 胥易之徒로 잡일이나 담당하는 무리라는 뜻이며, 易는 다스리다, 담당하다의 뜻. 林希逸, 羅勉道 등은 胥易를 ‘형벌을 받은 무리들[刑徒也]’이라고 했지만 지나친 견해이다. 孫詒讓이 胥를 諝의 假借字로 보고 “슬기롭다는 뜻이니 지혜로움이다[諝知也].”로 풀이한 이래 章炳麟, 奚侗, 朱桂曜, 馬叙倫, 金谷治 등이 이 견해를 지지했지만 이 구절의 맥락은 형편없는 무리라는 뜻으로 낮추어 표현한 것이기 때문에 다소 부적절하다. 郭慶藩이 胥徒라고 풀이한 것과 阮毓崧이 胥吏라고 풀이한 것이 적절하다. 한편 曹礎基는 《周禮》 〈天官〉편 ‘胥十二人’의 疏를 인용하여, 胥를 ‘有才智而供人役使的小吏’로 풀이했는데 郭慶藩의 풀이와 통한다. 技係는 기술에 얽매인다는 뜻. 沈一貫은 技를 技工으로 풀이했고, 林雲銘은 工技, 王敔는 工, 陸樹芝는 百工으로 풀이했는데 모두 같은 맥락이다. 係는 林希逸은 “기술에 얽매이다[係累技術].”로 풀이했고, 宣穎, 陳壽昌 등은 “이 몸에 얽매이다[係累此身].”라는 뜻으로 풀이했는데 전자가 적절하다. 이와 유사한 구절은 〈천지〉편에 ‘是胥易技係 勞形怵心者也 執狸之狗成思 猿狙之便自山林來’로 나오는데 ‘執狸之狗成思 猿狙之便自山林來’는 이 구절의 맥락과는 다소 다르다.
역주9 勞形怵心者也 : 몸을 수고롭게 하고 마음을 졸일 뿐임. 勞形은 몸을 지치게 한다는 뜻이고 怵心은 마음을 깜짝 깜짝 놀라게 한다는 뜻. 成玄英은 “怵을 두려워한다[怵惕].”로 풀이했고, 林希逸은 “그 마음이 벌벌 떠는 것을 말한다[言其心恐恐然也].”고 풀이했다.
역주10 虎豹之文來田 : 호랑이와 표범의 아름다운 무늬는 사냥꾼을 불러들임. 文은 가죽무늬의 아름다움. 來는 招來하다, 불러들이다는 뜻. 田은 사냥[獵]으로 來田은 사냥당하는 재앙을 초래한다는 뜻.
역주11 猨狙之便 執斄(리)之狗 來藉(적) : 원숭이의 민첩함과 살쾡이를 잡는 개는 우리를 불러옴. 猨狙는 원숭이. 便은 便捷으로 민첩하다는 뜻. 斄는 살쾡이, 너구리 따위. 최선은 斄를 소[旄牛]라고 했지만 빠른 짐승을 예로 든 맥락을 고려할 때 林希逸이 狸로 풀이한 견해가 옳다. 藉은 짐승을 가두는 우리로, 來藉은 우리에 갇히는 재앙을 초래한다.”는 뜻. 福永光司는 이 부분을 두고 “인류의 타락과 불행은 모두 인간의 지식과 기교에서 비롯된 것이다. 來田‧來藉이 가리키고 있는 것처럼, 知와 巧는 人類가 스스로의 손으로 파 놓은 生命의 陷穽이다.”라고 해설했다.
역주12 蹴然 : 깜짝 놀라 얼굴빛을 고치는 모습. 陸德明은 ‘얼굴빛을 고치는 모습[改容之貌]’으로 풀이했고, 〈德充符〉편의 본문에 “깜짝 놀라 얼굴색을 바꾸고 태도를 고쳤다[蹴然 改容更貌].”라고 했다.
역주13 功蓋天下而似不自己 : 功이 천하를 뒤덮어도 자기가 한 일로 여기지 않음. 蓋는 덮는다는 뜻의 동사. 自는 말미암는다는 의미의 동사. 업적[功]이 천하를 덮어도 자신에게서 말미암은 것으로 여기지 않는다는 뜻. 《老子》 제2장의 ‘是以聖人處無爲之事 行不言之敎 萬物作焉而不辭 生而不有 爲而不恃 功成而不居 夫惟弗居 是以不居’와 제77장의 ‘是以聖人爲而不恃 功成而不處’ 등과 유사하다.
역주14 化貸萬物而民不恃 : 敎化가 만물에 베풀어져도 백성들이 느끼지 못함. 化는 감화, 교화. 貸는 施와 같다(林希逸). 恃는 의지한다는 뜻으로 民不恃는 백성들이 그의 교화에 의지하지 않는다, 곧 교화를 느끼지 못한다는 뜻.
역주15 有莫擧名 : 베풂이 있는데도 아무도 그 이름을 일컫지 않음. 有는 정치나 교화를 베풂이 있다는 뜻. 莫擧名은 아무도 그 이름을 거명하지 않는다는 뜻. 〈徐無鬼〉편에서 “성인은 천지를 아울러 감싸안고, 은택이 천하에 미치지만 아무도 그것이 누구인지 모른다. 살아서 존귀한 爵位가 없고 죽어서 諡號도 없으며, 實利가 몸에 모이지 않고 名聲도 확립되지 않으니, 이런 사람을 일컬어 大人이라 한다[聖人幷包天地 澤及天下 而不知其誰氏 是故生無爵 死無諡 實不聚 名不立 此之謂大人].”고 한 것과, 《老子》 제17장 ‘太上不知有之 其次……功成事遂 而百姓皆謂我自然’, 제34장 ‘功成不名有’, 제41장 ‘道隱無名 夫唯道 善貸且成’과 유사한 내용이다.
역주16 使物自喜 : 만물로 하여금 스스로 기뻐하게 함. 인위적으로 간섭하지 않고 만백성이 스스로 기뻐하게 한다는 뜻.
역주17 立乎不測而遊於無有者也 : 헤아릴 수 없는 초월적인 경지에 서서 아무 것도 없는 근원의 세계에 노니는 것이다. 不測은 인간의 인식능력을 넘어선 초월적인 경지로 道와 일체가 된 경지를 의미한다. 無有는 아무 것도 없는 근원의 세계로 無己, 無功, 無名의 정치가 바로 明王의 정치임을 이야기한 것이다.
동영상 재생
1 제4장(1) 606

장자(1)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