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莊子(1)

장자(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장자(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顔回曰
로이다
仲尼曰
何謂也
忘仁義矣로이다
他日 復見하야
益矣로이다
何謂也
忘禮樂矣로이다
可矣 猶未也로다
復見하야
益矣로이다
何謂也
로이다
仲尼
何謂坐忘
顔回曰
하야 할새 此謂坐忘이니이다
仲尼曰
丘也 請從而後也호리라


안회顔回가 말했다.
“저는 더 나아간 것 같습니다.”
중니仲尼가 말했다.
“무슨 말이냐?”
안회가 말했다.
“저는 인의仁義를 잊어버렸습니다.”
중니가 말했다.
“좋기는 하지만 아직은 멀었다.”
다른 날 다시 공자를 뵙고 말했다.
“저는 더 나아간 것 같습니다.”
중니가 말했다.
“무슨 말이냐?”
안회가 말했다.
“저는 예악禮樂을 잊어버렸습니다.”
중니가 말했다.
“좋긴 하지만 아직은 멀었다.”
다른 날 다시 공자를 뵙고 말했다.
“저는 더 나아간 것 같습니다.”
중니가 말했다.
“무슨 말이냐?”
안회가 말했다.
“저는 좌망坐忘의 경지에 도달했습니다.”
중니가 깜짝 놀라 얼굴빛을 고치면서 말했다.
“무엇을 좌망이라 하는가?”
안회가 말했다.
사지백체四肢百體를 다 버리고, 이목耳目의 감각작용을 물리치고 육체를 떠나고 지각작용을 없애서 대통의 세계와 같아졌을 때, 이것을 좌망坐忘이라 합니다.”
중니가 말했다.
대통大通의 세계와 같아지면 좋아하고 싫어하는 것이 없게 되며, 큰 도의 변화와 함께하면 집착이 없게 되니, 너는 과연 현명하구나.
나는 청컨대 너의 뒤를 따르고자 한다.”


역주
역주1 益矣 : 더함이 있음. 益은 進益으로 원래는 배움에 진보함이 있다는 뜻으로 쓰이지만, 이어지는 내용으로 미루어 볼 때 여기서는 배움이 아니라 도를 추구하여 進益함이 있다는 뜻이다. 따라서 益은 학문을 통해 지식을 증진시켰다는 의미가 아니라 도를 추구하여 인위적인 지식을 더 많이 덜어냈다는 의미로 이해해야 한다. 《老子》 제48장에 “배움을 추구하는 것은 날마다 지식을 더하는 것이고, 도를 추구하는 것은 날마다 지식을 덜어내는 것이다. 끊임없이 덜어내 무위에 이른다[爲學日益 爲道日損 損之又損 以至於無爲].”고 했는데 도를 추구하여 조금씩 無爲의 경지에 나아가는 것[進]을 損으로 표현한 것이다. 郭象이 이 구절을 두고 “덜어낸 것을 더함이라고 말한 것이다[以損之爲益也].”로 풀이한 것도 이와 같은 맥락이다.
역주2 可矣猶未也 : 좋기는 하지만 아직 멀었음. 괜찮기는 하지만 아직 道와는 거리가 있다는 뜻. 朱熹는 《論語集註》에서 “可는 겨우 괜찮고 아직 극진하지 못하다[僅可而有所未盡之辭].”와 같은 표현이라고 했다.
역주3 他日 : 다른 날. 他日은 때로 전날[前日]의 뜻으로 쓰이기도 하고, 어느 날[一日]의 뜻으로 쓰이기도 하는데 여기서는 後日의 뜻.
역주4 坐忘 : 앉아서 모든 것을 잊어버림. 바로 뒤에 顔回가 말하고 있는 四肢百體를 다 버리고, 이목의 감각작용을 물리치고 육체를 떠나고 지각작용을 없애서 대통의 세계와 같아지는 경지로 모든 인위적이고 차별적인 지식을 잊어버리는 상태를 뜻한다. 司馬彪는 “앉아서 스스로 자신의 몸을 잊어버린 것이다[坐而自忘其身].”로 풀이했다. 〈人間世〉편의 ‘坐馳’는 坐忘과 반대말. 坐忘과 관련하여 참조할 만한 내용으로 〈齊物論〉편의 ‘吾喪我’, 〈人間世〉편의 ‘心齋’, 〈大宗師〉편의 ‘朝徹’ 등을 들 수 있다.
역주5 蹴然 : 깜짝 놀라 얼굴빛을 고치는 모습. 〈德充符〉편에 ‘蹴然改容更貌’로 나왔다.
역주6 墮(휴)枝體 黜聰明 : 사지백체를 다 버리고, 이목의 감각작용을 물리침. 墮는 무너뜨리다는 뜻. 枝는 四肢로 肢와 같다. 黜聰明은 聰明을 물리침. 곧 耳目의 감각작용을 물리친다는 뜻.
역주7 離形去知 同於大通 : 육체를 떠나고 지각작용을 없애서 대통의 세계와 같아짐. 離形과 去知는 각각 앞의 墮枝體와 黜聰明을 이어서 말한 것이다(方勇‧陸永品). 同於大通은 大道와 일체가 된다는 뜻. 大通은 大道와 같다(成玄英).
역주8 同則無好也 化則無常也 : 대통의 세계와 같아지면 좋아하고 싫어하는 것이 없게 되며, 큰 도의 변화와 함께하면 집착이 없게 됨. 成玄英은 “이미 大道와 같아지면 시비와 호오의 차별이 없어지고 변화에 冥合하기 때문에 일정한 것을 지키는 데 집착하지 않는다[旣同於大道 則無是非好惡 冥於變化 故不執滯守常也].”고 풀이했다.
역주9 而果其賢乎 : 너는 과연 현명하구나. 而는 2인칭.
동영상 재생
1 제7장(1) 731

장자(1)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