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莊子(2)

장자(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장자(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無爲也則用天下而有餘하고 有爲也則爲天下用而不足하나니
古之人 貴夫無爲也하더니라
無爲也어든 下 亦無爲也하면 이니 下 與上으로 同德則不臣이니라
下 有爲也어든 亦有爲也하면 이니 與下 同道則不主니라


대저 제왕의 천지天地를 근본으로 삼고 도덕道德을 중심으로 삼고 무위無爲를 영원한 법칙으로 삼는다.
무위無爲하게 되면 천하 만민을 마음대로 부려서 넉넉하게 되고 유위有爲하게 되면 천하 만민을 위해 부림을 당하게 되어 부족하게 된다.
그 때문에 옛사람은 무위無爲를 중시했던 것이다.
윗사람이 무위한다고 해서 아랫사람 또한 무위하게 되면 이는 아랫사람이 윗사람과 을 함께하는 것이니 아랫사람이 윗사람과 덕을 함께하면 신하 노릇을 할 수 없다.
아랫사람이 유위한다고 해서 윗사람 또한 유위하게 되면 이는 윗사람이 아랫사람과 를 함께하는 것이니 윗사람이 아랫사람과 도를 함께하면 군주 노릇을 할 수 없다.
윗사람은 반드시 무위해서 천하의 사람들을 부리고 아랫사람은 유위해서 천하를 위해 일하는 것, 이것이 바꿀 수 없는 이다.
그 때문에 옛날 왕으로 천하를 다스린 사람은 비록 천지天地를 다 망라할 정도의 지식을 가지고 있다 하더라도 스스로 생각하지 않았으며, 비록 만물을 두루 다 논할 정도의 말재주를 가지고 있다 하더라도 스스로 말하지 않았으며, 비록 사해 안의 모든 일을 맡아 처리할 능력을 가지고 있다 하더라도 스스로 일하지 않았다.
하늘이 스스로 낳지 않아도 만물이 저절로 화생化生하며 땅이 스스로 키워 주지 않아도 만물은 저절로 화육하며 제왕이 하는 일이 없어도 천하의 공업功業이 저절로 이루어진다.
그 때문에 말하길 “하늘보다 신묘한 것이 없고 땅보다 풍부한 것이 없고 제왕보다 위대한 것이 없다.”라고 하는 것이다.
그래서 이르길 “제왕의 천지天地에 짝한다.”고 한 것이니 이것이 천지를 타고 만물을 몰아서 사람의 무리를 부리는 이다.


역주
역주1 夫帝王之德 以天地爲宗 以道德爲主 以無爲爲常 : 제왕의 德은 天地를 근본으로 삼고 道德을 중심으로 삼고 無爲를 영원한 법칙으로 삼음. 곧 제왕의 덕은 天과 地의 자연의 營爲를 근본으로 삼고, 거기에 존재하고 작용하는 道와 德을 중심으로 삼고 無爲를 불변의 법칙으로 삼는다는 뜻이다. 제2장의 “夫虛靜恬淡寂漠無爲者 天地之平而道德之至……以此處上 帝王天子之德也”를 받는 내용이다(呂惠卿). 또 〈天下〉편의 “以天爲宗 以德爲本 以道爲門 兆於變化 謂之聖人”과도 유사하다. 天地가 天下로 된 판본이 있다(馬叙倫).
역주2 是下與上同德 : 이는 아랫사람이 윗사람과 德을 함께하는 것임. 이때의 德은 작용이란 뜻이니, 아랫사람과 윗사람이 같은 작용을 한다는 뜻이다. 德자 아래에 也자가 붙어 있는 인용문이 있다(劉文典).
역주3 是上與下同道 : 이는 윗사람이 아랫사람과 道를 함께하는 것임. 道를 함께한다는 것은 같은 길을 걷는다는 뜻이다. 道자 아래에 也자가 붙어 있는 인용문이 있다(劉文典).
역주4 上必無爲而用天下 下必有爲 爲天下用 此不易之道也 : 윗사람은 반드시 無爲해서 천하의 사람들을 부리고 아랫사람은 有爲해서 천하를 위해 일하는 것, 이것이 바꿀 수 없는 道이다. 제2장에서 “무위하게 되면 일을 담당한 자들이 책임을 완수할 것이다[無爲也則任事者 責矣].”라고 한 것, 〈在宥〉편 제7장에서 “아무런 작용 없이 존귀한 것은 천도이고 인위적으로 움직여서 번거롭게 얽매이는 것이 인도이다. 군주는 천도를 실천해야 하는 자이고 신하는 인도를 실천해야 할 자이다[無爲而尊者 天道也 有爲而累者 人道也 主者天道也 臣者人道也].”라고 한 것과 같은 맥락의 주장이다(呂惠卿). 이 밖에 《呂氏春秋》, 《韓非子》, 《管子》 등에 類似한 思想이 보이며 법가의 중심 주장임은 福永光司와 赤塚忠이 말한 것과 같다(池田知久). 池田知久는 또한 “제4장의 이 ‘無爲’는 제왕의 무위에 의해 신하‧만민이 ‘無不爲(有爲)’한다고 하는 法家流의 刑名參同의 政術로 변질되어 버린 것이다. 여기에는 이미 哲學은 없다. 그리고 道家의 장래도 없다.”까지 말하고 있다.
역주5 知雖落天地不自慮也 : 비록 天地를 다 망라할 정도의 지식을 가지고 있다 하더라도 스스로 생각하지 않음. 천지 사이의 만물을 망라할 정도로 지식이 넓어도 스스로 생각하지 않는다는 뜻. 落은 絡의 뜻으로 ‘망라하다, 포괄하다’의 뜻. 落자는 洛 또는 絡으로 표기된 인용문이 있는데(馬叙倫) 세 글자는 통한다(王叔岷). 《淮南子》 〈俶眞訓〉편에서 “지식은 천지 사이의 만물을 다하고…… 변론은 이어진 고리를 풀 수 있다[智終天地……辯解連環].”라고 한 말은 장자의 이 편에서 따온 것으로 추정된다. 王敔는 落을 “다함이다[盡也].”라고 풀이했는데 같은 뜻이다.
역주6 辯雖彫萬物 不自說也 : 비록 만물을 두루 다 논할 정도의 말재주를 가지고 있다 하더라도 스스로 말하지 않음. 彫자가 雕자로 표기된 인용문이 있다(馬叙倫). 成玄英이 “만물을 새겨서 꾸민다[彫飾萬物].”라고 한 풀이가 정설로 지지받았지만 근대의 章炳麟, 奚侗, 馬叙倫, 楊樹達 등이 周의 假借字라고 한 것이 간편하다. 辯雖彫萬物은 곧 辯雖周萬物, “비록 만물을 두루 다 논할 정도의 말재주를 가지고 있다 하더라도”의 뜻이 된다. 《論語》 〈陽貨〉편에서 孔子가 “하늘이 무슨 말을 하던가. 하늘이 무슨 말을 하던가. 사계절이 운행되고 만물이 생성되지만 하늘이 무슨 말을 하던가[天何言哉 天何言哉 四時行焉 百物生焉 天何言哉].” 하고 말한 것과 같은 맥락의 주장이다.
역주7 能雖窮海內 不自爲也 : 비록 사해 안의 모든 일을 맡아 처리할 능력을 가지고 있다 하더라도 스스로 일하지 않음. 窮자가 蓋자로 표기된 인용문이 있는데(王叔岷) 蓋자를 따르면 힘이 해내를 덮는다는 의미가 된다.
역주8 天不産 而萬物化 地不長而萬物育 : 하늘이 스스로 낳지 않아도 만물이 저절로 化生하며 땅이 스스로 키워 주지 않아도 만물은 저절로 화육함. 《老子》 제7장의 “천지가 장구할 수 있는 까닭은 스스로 낳지 않기 때문이니 그 때문에 장생할 수 있다[天地所以能長且久者 以其不自生 故能長生].”라고 한 내용과 유사한 맥락이다.
역주9 帝王無爲 而天下功 : 제왕은 하는 일이 없지만 천하의 일이 저절로 이루어짐. 功은 일이 이루어진다는 뜻이다. 功자 밑에 成자가 붙어 있는 판본이 있고(王叔岷), 인용문도 있다(馬叙倫). 王念孫은 《爾雅》를 인용하여 功자를 成자로 풀이했는데 타당한 견해이다(池田知久).
역주10 莫神於天 莫富於地 莫大於帝王 : 하늘보다 신묘한 것이 없고 땅보다 풍부한 것이 없고 제왕보다 위대한 것이 없음. 《老子》 제25장의 “道가 크고 하늘이 크고 땅이 크고 왕 또한 크다. 이 세상에 큰 것이 네 가지 있는데 그중에 왕이 하나를 차지한다[道大 天大 地大 王亦大 域中有四大 而王居其一焉].”라고 한 말과 유사한 맥락이다.
역주11 帝王之德 配天地 : 제왕의 德은 天地에 짝함. 池田知久는 “〈天地〉편 제5장에 ‘配天’이란 말이 나온다.”라고 하고 있다.
역주12 此乘天地 馳萬物 而用人羣之道也 : 이것이 천지를 타고 만물을 몰아서 사람의 무리를 부리는 道임. 此자가 없는 판본이 있다(馬叙倫). 逍遙遊편 제1장의 “천지의 바른 기를 탄다[乘天地之正].”라고 한 사상을 답습한 것이다(陸樹芝). 羣자가 君으로 표기된 인용문이 있다(劉文典). 用은 使役한다는 뜻(方勇‧陸永品). 《荀子》 〈榮辱〉편에 “무리 지어 살면서 하나로 조화시키는 도리[群居和一之道也].”라고 한 것과 유사한 맥락의 주장이다. 《老子》 제68장의 “이것을 일러 다른 사람의 힘을 부린다고 하는 것이고 이것을 일러 하늘에 짝한다고 일컫는다[是謂用人之力 是謂配天].”라고 말한 내용과도 유사한 맥락이다(王先謙, 阮毓崧, 池田知久).

장자(2)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