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莊子(1)

장자(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장자(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孔子 適楚하야늘 遊其門曰
天下有道어든 하고
天下無道어든 하나니
福輕乎羽어늘 莫之知載하고
已乎已乎인저
殆乎殆乎인저
迷陽이여
이어다
하야 無傷吾足하리라


공자孔子나라에 갔을 때 초나라의 미치광이 접여接輿가 공자가 묵고 있던 숙소의 문앞에서 노닐면서 이렇게 노래했다.
봉새여 봉새여 어찌하여 덕이 이렇게 쇠미하였는가.
앞으로 오는 세상은 기다릴 수 없고, 지나간 옛날은 따라갈 수 없네.
천하에 도가 있으면 성인은 그것을 완성시키고,
천하에 도가 없으면 성인은 자신의 생명이나 지키며,
지금 같은 때를 만나서는 겨우 형벌을 면할 뿐이네.
복은 깃털보다도 가벼운데 그것을 손바닥 위에 올려놓을 줄 모르며,
재앙은 땅덩어리보다도 무거운데 피할 줄 모르는구나.
그만둘지어다 그만둘지어다.
도덕으로 세상 사람들에게 나아감이여.
위태롭고 위태롭다.
땅에 금을 그어 놓고 달려가는구나.
가시풀이여! 가시풀이여!
내 다리를 찌르지 마라.
내 물러나기도 하고 돌아가기도 하여 내 발을 다치게 하지 않으리.


역주
역주1 楚狂接輿 : 초나라의 미치광이 접여. 〈逍遙遊〉편의 註에 자세하다. 이 故事는 《論語》 〈微子〉편과 《史記》 〈孔子世家〉에도 나오지만 내용과 문자에 異同이 있다. 韓元震은 “이 문단은 무도한 세상에서는 출사해서는 안 됨을 말한 것이다[接輿一段 言無道之世不可出也].”라고 풀이했다.
역주2 鳳兮鳳兮 : 봉새여 봉새여. 내용상으로는 봉새로 孔子를 비유한 것인데, 聞一多는 鳳과 孔의 발음이 유사하다는 점을 들어 공자를 은유적으로 嘲笑한 것이라고 풀이했다.
역주3 何如德之衰也 : 어쩌면 그렇게도 덕이 쇠미하였는가. 何如는 何와 같다. 《論語》 〈微子〉편에는 如자가 빠져 있다. 德之衰也何如의 倒置形. 그런데 兪樾은 ‘如’를 ‘女’ 또는 ‘而’와 같은 字로 보고 ‘너’의 뜻으로 보았다. 女德之衰也何의 도치형 문장으로 볼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는 글자 그대로 해석한다.
역주4 來世不可待 往世不可追也 : 앞으로 오는 세상은 기다릴 수 없고 지나간 옛날은 따라갈 수 없음. 혹 《論語》 〈微子〉편에 ‘往者不可諫 來者猶可追’로 되어 있음을 들어 문맥상 ‘來者猶可追’로 보는 것이 더 자연스럽다고 하는 주석가도 있으나, 과거의 일은 이미 부질없고 미래의 일도 기약할 수 없는 암담한 상황을 나타낸 것이라면 來世不可待가 도리어 자연스럽다. 來世는 아직 오지 않은 未來의 세상. 往世는 이미 지나간 과거의 일.
역주5 聖人成焉 : 성인은 그것을 완성시킴. 곧 천하에 도가 있으면 성인이 그 도를 완성한다는 뜻.
역주6 聖人生焉 : 성인은 자신의 생명을 지킴. 몸을 숨기고 그저 살아갈 따름이라는 뜻. 林希逸은 ‘성인은 자신의 생명을 온전히 지킬 뿐[聖人全其生而已]’이라고 풀이했다.
역주7 方今之時 僅免刑焉 : 지금 같은 때를 만나서는 겨우 형벌을 면할 뿐임. 方은 當과 같이 만난다는 뜻.
역주8 福輕乎羽 莫之知載 禍重乎地 莫之知避 : 복은 깃털보다도 가벼운데 실을 줄 모르고, 화는 땅덩어리보다 무거운데 피할 줄 모름. 福輕乎羽는 복을 잃어버리기 쉬움을 비유한 표현이고, 禍重乎地는 재앙의 정도가 심함을 비유한 표현이다. 章炳麟은 이 구절을 먼 길을 떠나는 일을 비유한 것으로 보았는데, 그의 주장을 따르면 길 가는 사람이 가벼운 복은 싣지 않고 도리어 무거운 재앙을 싣고 가는 어리석은 태도를 비유한 것으로 풀이할 수 있다. 莫之의 之는 어조사.
역주9 臨人以德 : 도덕으로 세상 사람들에게 나아감. 자신의 덕을 드러내고서 사람들을 대한다는 뜻.
역주10 畵(획)地而趨 : 땅에 금을 그어놓고 달려감. 쓸데없이 規範主義를 내세움으로써 스스로 한계 속에 갇힘을 비유한 표현이다.
역주11 迷陽 : 가시풀. 池田知久는 王應麟의 《困學紀聞》에 인용된 胡明仲의 주장을 따라 迷陽을 초나라 지역에서 자라는 풀로 줄기에 가시가 있다고 풀이했는데 이 해석을 따른다. 曹礎基도 ‘一種多棘的草’라 하였으며, 方勇‧陸永品 등도 모두 이같은 해석을 따랐다. 郭象과 成玄英은 모두 迷陽을 亡陽으로 보아 자신의 덕을 감춘다는 뜻으로 보았고, 司馬彪는 거짓 미친 체하는 행위[詐狂]로 보아 迷陽迷陽 無傷吾行을 “거짓 미치광이 노릇하면 나의 가는 길 재앙 없으리” 라고 해석하였으나 모두 취하지 않는다.
역주12 無傷吾行 : 내 다리를 찌르지 마라. 無는 禁止辭. 傷은 가시가 찌르는 것(池田知久). 行은 胻의 假借字(聞一多, 高亨).
역주13 吾行卻(각)曲 : 내 걸음을 물러나기도 하고 돌아가기도 함. 郭慶藩, 馬敍倫 등은 卻曲을 屈曲으로 풀이했다. 吾行卻曲 無傷吾足은 나의 걸음걸이를 정면충돌로 부딪쳐 가지 않고 屈曲시켜 後退하기도 하고 迂回하기도 하여 나의 발을 다치게 하지 않는다는 뜻.
동영상 재생
1 제8장(1) 770

장자(1)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