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莊子(3)

장자(3)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장자(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第12章
子將奚之
將逃堯하노라
奚謂邪
夫堯하니 吾恐其爲天下笑하노라
夫民 不難聚也
愛之則親하고 利之則至하고 譽之則勸하고 致其所惡則散하나니라
夫仁義之行 이며
夫堯知賢人之利天下也하고 而不知其賊天下也하니 夫唯外乎賢者 知之矣리라


12章
어느 날 설결齧缺이 〈길에서 우연히〉 허유許由와 만났다.
설결齧缺이 말했다.
“그대는 장차 어디로 가려는 것이오?”
허유가 말했다.
임금의 세상에서 도망가려고 합니다.”
설결이 말했다.
“그게 무슨 말입니까?”
허유가 말했다.
“저 요임금은 돌보고 사랑하면서 을 행하고 있으니, 나는 임금이 〈언젠가는〉 천하의 웃음거리가 될까 두렵습니다.
의 정치를 행하면 그 폐단이〉 말세末世에 가서는 반드시 사람과 사람이 서로 잡아먹게 될 것입니다.
무릇 백성들이란 모으기가 어렵지 않습니다.
군주가 백성들을 사랑하면 백성들은 군주를 친애親愛하고, 군주가 백성들을 이롭게 해주면 백성들은 군주에게 가까이 오고, 군주가 백성들을 칭찬하면 백성들은 자발적으로 일을 하고, 백성들이 싫어하는 일을 행하면 도망가 흩어집니다.
그런데 백성들을 사랑하고 이롭게 해주는 행위는 인의仁義의 마음에서 나오는 것인데 인의仁義를 던져버리는 자는 드물고 이롭다고 여겨서 방편으로 이용하는 사람이 많습니다.
〈진심에서 인의仁義를 추구하지 않고 이롭다고 여겨서 억지로 인의를 행하는지라〉 무릇 인의의 실천은 오직 장차 진실함이 없는 위선으로 타락할 수밖에 없으며 도리어 장차 짐승처럼 탐욕貪欲스러운 권력자에게 집권욕 충족의 도구를 빌려주게 되고야 말 것입니다.
그러므로 집권자 한 사람의 재단으로 천하를 이롭게 하려는 것은 비유하자면 사물의 일면을 얼핏 보는 것과 같을 뿐입니다.
임금은 〈인의를 좋아하는〉 현인賢人이 천하 만민에게 이익을 주는 일면만을 알고 그것이 천하 만민을 해치는 점은 알지 못하나니, 무릇 오직 현지賢知를 버린 사람이라야만 이 같은 인의仁義의 양면을 알 수 있을 것입니다.”


역주
역주1 齧缺 : 인명. 許由와의 관계는 〈逍遙遊〉편 제5장에 자세히 나왔다.
역주2 許由 : 인명. 堯와의 관계는 〈逍遙遊〉편 제2장에 자세하다.
역주3 畜畜然仁 : 돌보고 사랑하면서 仁을 행함. 백성들을 돌보고 사랑한다는 뜻이다. 畜畜然은 돌보고 사랑하는 모양. 李頤는 “인을 행하는 모양이다[行仁貌].”라고 풀이했고, 王叔之는 “가엾게 여기고 사랑하기를 부지런히 애쓰는 모양이다[卹愛勤勞之貌].”라고 풀이했는데 王叔之의 풀이가 적절하다.
역주4 後世其人與人相食與 : 末世에 가서는 반드시 사람과 사람이 서로 잡아먹게 될 것임. 仁은 서로 다투고 숭상하는 근원이므로 仁의 정치를 행하면 그 폐단이 이 지경에 이를 것이라는 뜻이다. 陸德明은 “장차 인의로 달려가게 되면 농사를 짓지 않게 될 것이니 그래서 주리게 되면 서로 잡아먹게 됨을 말한 것이다[言將馳走於仁義 不復營農 飢則相食].”라고 풀이했는데 이보다는 郭象이 “인이란 서로 다투고 숭상하는 근원이기 때문이다[仁者爭尙之原故也].”라고 풀이한 것이 타당하다(池田知久). 유사한 문장이 〈庚桑楚〉편 제1장에도 나왔다(林雲銘). 後世는 末世.
역주5 愛利出乎仁義 : 백성들을 사랑하고 이롭게 해주는 행위는 仁義의 마음에서 나옴. 愛利는 현실적 방책이고 仁義는 원리적인 精神이므로 인의가 근원이고 愛利는 구체적인 행위이다.
역주6 捐仁義者寡 : 仁義를 던져버리는 자는 드묾. 捐은 忘의 뜻에 가깝다. 이 구절은 아래의 外乎賢과 거의 같은 뜻이다.
역주7 利仁義者衆 : 仁義를 이롭다고 여겨서 방편으로 이용하는 사람이 많음. 진심으로 인의를 좋다고 여겨서 실천하는 것이 아니라 그게 이로운 도구라고 생각해서 인을 이용하는 이가 많다는 뜻이다.
역주8 唯且無誠 : 오직 장차 진실함이 없게 될 것임. 위선으로 타락할 수밖에 없다는 뜻이다.
역주9 且假乎禽貪者器 : 장차 짐승처럼 貪欲스러운 권력자에게 집권욕 충족의 도구를 빌려주게 될 것임. 司馬彪는 “짐승처럼 탐내는 자는 사람을 죽여 끝이 없으며 인의를 탐내는 자는 사람을 해쳐 끝이 없다[禽之貪者殺害無極 仁義貪者傷害無窮].”라고 풀이했다. 禽貪者는 禽獸와 같이 탐욕스러운 권력자. 또는 禽자가 凶의 가차자일 수도 있다(奚侗, 馬叙倫, 福永光司).
역주10 一人之斷制利天下 : 집권자 한 사람의 재단으로 천하를 이롭게 하려 함. ‘利’字는 唐寫本에는 없고(羅振玉, 楊明照), 없는 것이 옳은 것 같지만 굳이 바꿀 것까지는 없다(池田知久). 斷制는 《尙書》 〈呂刑〉편에도 보이는데 ‘制’를 끼어든 문자라고 하는 주장도 있다(馬叙倫).
역주11 譬之猶一覕也 : 비유하자면 사물의 일면을 얼핏 보는 것과 같을 뿐임. 覕은 一覕함. 司馬彪는 “잠깐 보는 모양이다[暫見貌].”라고 풀이했고, 羅勉道는 “아주 짧은 시간 동안 보는 것만으로는 결정을 짓기에 부족하다[一頃刻之見 不足爲定也].”라고 풀이했다. 宣穎도 거의 같은 견해를 제시했다.

장자(3)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