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莊子(2)

장자(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장자(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하야 其無不容也 니라
夫至人 不亦大乎


선생은 이렇게 말했다.
는 아무리 큰 것을 수용해도 다하지 아니하고 아무리 작은 것이라도 빠뜨리지 않는다.
그 때문에 만물이 여기에 갖추어져 넓고 넓어서 용납하지 않음이 없고 깊고 깊어서 헤아릴 수 없다.
형벌과 은덕에 의한 정치나 인의仁義에 의한 교화는 정신 중에서 지엽말절에 지나지 않으니 지인至人이 아니면 누가 이런 본말의 관계를 결정할 수 있겠는가.
지인至人이 세상을 다스리는 일은 또한 큰일이 아닌가.
그러나 그 큰일도 지인至人을 얽매이게 하기는 부족하며, 온 천하 사람들이 권세를 얻으려고 분투하더라도 그들과 함께 어울리지 아니하고, 거짓 없는 진실眞實를 잘 살펴서 이익에 따라 움직이지 아니하며, 사물의 진실을 극진히 알아서 그 근본을 지킬 줄 안다.
그 때문에 지인至人은 천지를 도외시하고 만물을 다 잊어버려도 정신精神은 조금도 괴로워하지 않는다.
에 정통하고 타고난 그대로의 에 합치하며 인의仁義를 물리치고 예악禮樂의 속박을 물리치니 〈이렇게 한 뒤에야 비로소〉 지인至人의 마음이 안정된다.”


역주
역주1 夫子 : 노자를 지칭. 老子로 되어 있는 판본이 있으나 成玄英 疏와 다른 여러 판본에 근거하여 夫子로 고치는 것이 옳다(王重民, 王叔岷). 〈天地〉편 제2장과 제3장의 夫子와 마찬가지로 老子를 가리킨다. 池田知久에 의하면, 宣穎은 孔子를 지칭한다고 했고, 福永光司와 赤塚忠은 莊子를 가리킨다고 했는데 옳지 않다. 장자로 보는 견해는, 그럴 개연성이 없지 않지만, 바로 앞 제8장과의 연속성을 고려한다면 노자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역주2 夫道於大不終 於小不遺 : 대저 도는 아무리 큰 것을 수용해도 다하지 아니하고 아무리 작은 것이라도 빠뜨리지 않음. “큰 것에 대해서[於大] 다함이 없고[不終] 작은 것에 대해서[於小] 버리지 않는다[不遺].”가 直譯. 成玄英은 終을 다함[窮]으로 풀이했다. 遺는 버리다, 빠뜨리다는 뜻. 大意는 成玄英, 呂惠卿, 陳祥道, 林希逸, 褚伯秀, 朱得之, 林雲銘 등이 해석한 것처럼 道의 넓음을 표현한 것으로 이해하는 것이 적절하다(池田知久). 특히 林希逸은 “크게는 끝이 없고 작게는 남음이 없으니 바로 큼을 말하면 무엇으로도 실을 수 없고 작음을 말하면 무엇으로도 쪼갤 수 없다[大而無極 細而無餘 卽語大莫能載 語小莫能破也].”라고 하여 《中庸》 제12장에서 “군자가 큰 것을 말하면 천하에 무엇으로도 실을 수 없고 작은 것을 말하면 천하에 무엇으로도 쪼갤 수 없다[君子語大 天下莫能載焉 語小 天下莫能破焉].”라고 한 것과 동일한 맥락으로 이해하고 있다. 〈天地〉편 제2장에서 “대저 도는 만물을 실어 주는 존재이다[夫道覆載萬物者也].”라고 언급한 것과 〈知北遊〉편에서 “이른바 도라는 게 어디에 있나요? 하고 묻자 장자가 있지 않은 곳이 없다고 대답했다[所謂道惡乎哉 莊子曰 無所不在].”라고 한 맥락과도 유사하다(赤塚忠). 또 《呂氏春秋》 〈下賢〉편에 “도를 터득한 사람은……크기로는 밖이 없고 작기로는 안이 없다[得道之人……其大無外 其小無內].”라고 한 언급, 이 책의 〈秋水〉편에 “至精은 모습이 없고 至大는 에워쌀 수 없다[至精無形 至大不可圍].”라고 한 것, 그리고 〈天下〉편에서 “지극히 큰 것은 밖이 없으니 大一이라고 일컫고 지극히 작은 것은 안이 없으니 小一이라고 일컫는다[至大無外謂之大一 至小無內謂之小一].”라고 한 언급도 참고할 필요가 있다(池田知久).
역주3 萬物備 : 만물이 여기에 갖추어져 있음. 羅勉道는 아래의 廣을 여기에 연속시켜 “萬物備廣”으로 絶句하였다(池田知久). 굳이 따르지 않는다.
역주4 廣廣乎 : 넓고 넓은 모양. 廣乎로 표기된 판본이 있다(王叔岷). 王念孫은 《讀書雜志》 〈爰盎鼂錯傳〉에서 “廣은 曠과 같으니 曠은 비었다는 뜻이다[廣與曠同 曠 空也].”라고 했지만 여기에는 맞지 않는다(池田知久).
역주5 淵乎其不可測也 : 깊고 깊어서 헤아릴 수 없음. 연못처럼 깊다는 비유이다. 陳景元의 《莊子闕誤》에 인용된 江南古藏本에는 淵乎가 淵淵乎로 표기되어 있고, 武延緖, 奚侗, 馬叙倫, 劉文典, 王叔岷, 楊明照 등이 이를 따라 淵淵乎로 표기해야 한다고 했지만 따르지 않는다(池田知久). 〈天地〉편 제3장에도 “夫道 淵乎其居也”라는 표현이 있고, 《老子》 제4장에도 “깊어서 마치 만물의 으뜸인 듯하다[淵兮似萬物之宗].”라고 하여 淵 한 글자만으로도 깊다는 뜻으로 쓰인다(福永光司).
역주6 形德仁義 神之末也 : 형벌과 은덕에 의한 정치나 仁義에 의한 교화는 정신 중에서 지엽말절에 지나지 않음. 形은 제5장에 나온 刑으로, 형벌의 뜻이다(阮毓崧, 馬叙倫). 德은 은덕. 《韓非子》 〈二柄〉편에 “〈나라를 다스리는〉 두 가지 도구는 刑罰과 恩德이다. 무엇을 일러 刑德이라 하는가. 살육하는 것을 刑이라 하고 상주는 것을 德이라 한다[二柄者 刑德也 何謂刑德 曰殺戮之謂刑 慶賞之謂德].”라고 풀이한 것을 참고하면 이해하기가 쉽다(福永光司). “神之末也”는 제5장의 “이 다섯 가지 말절은 정신이 운행되고 심술이 작용하기를 기다린 뒤에야 따라가는 것이다[此五末者 須精神之運 心術之動 然後從之者也].”라고 한 것과 같은 의미일 것이다(池田知久). 여기의 神은 아래 문장에 나오는 神, 心 등과 같은 뜻(池田知久).
역주7 非至人孰能定之 : 지인이 아니면 누가 이런 본말의 관계를 결정할 수 있겠는가. 〈天地〉편 제3장의 “만물을 누가 결정할 수 있겠는가[萬物孰能定之].” 하고 말한 것과 같은 의미이다(池田知久). ‘孰能定之’는 成玄英이 “누가 거칠고 교묘한 것을 결정할 수 있겠는가[誰能定其粗妙耶].”라고 풀이했고, 林希逸은 “누가 그 본과 말을 결정할 수 있겠는가[孰能定其本末也].”라고 풀이했다.
역주8 有世 : 세상을 다스리는 일. 有는 다스린다는 뜻. ‘有國有家’의 有와 같다. 武延緖와 馬叙倫은 用으로 바꿔야 한다고 했지만 취하지 않는다(池田知久). 林希逸이 “有는 천하를 다스림이다[有也 有天下也].”라고 풀이한 것이 定說이다(池田知久).
역주9 不足以爲之累 : 〈至人을〉 얽매이게 하기는 부족하다. 爲之累는 至人의 마음을 번거롭게(얽매이게) 하는 걱정거리가 되는 것을 말한다.
역주10 天下奮棅而不與之偕 : 온 천하 사람들이 권세를 얻으려고 분투하더라도 그들과 함께 어울리지 아니함. 棅은 權柄의 뜻. 陸德明은 “棅은 음이 柄이다. 司馬彪는 권위라고 했다[棅 音柄 司馬云 威權也].”라고 풀이했는데 이것이 적절하다. 池田知久는 棅이 棟으로 된 판본이 있다 하나 잘못일 것(吳承仕)이라고 하였다. 또 奮은 奚侗과 馬叙倫이 奪의 誤字라고 했지만 그대로 두는 것이 오히려 자연스럽다(池田知久). 林希逸은 “비록 천하 사람들이 일어나 천하의 권병을 잡으려 하더라도 이 마음이 또한 그들과 함께 가지 않으니 마음이 움직이지 않음을 말한 것이다[雖奮而執天下之棅 此心亦不與之偕往 言心不動也].”라고 풀이했는데 林雲銘, 胡方, 陸樹芝 등의 견해도 이와 비슷하고, 王敔는 “사람들은 각자 일어나 권병을 쟁탈하려 하지만 나는 그렇지 않다[人各奮起爭權柄 而己否].”라고 풀이했는데 宣穎, 陳壽昌, 王先謙, 阮毓崧 등이 이 견해에 동의하고 있는데, 池田知久에 의하면 이 說들이 通說이다. 池田知久는 그러나 이들 通說에도 결점이 있으니 褚伯秀가 “대상 사물은 비록 움직이더라도 나는 스스로 고요함을 말한 것이다[言物雖動而我自靜也].”라고 풀이한 것을 보충하는 것이 좋다고 하였다. 池田知久는 또한 《韓非子》 〈二柄〉편에서 “신하된 자는 주벌을 두려워하고 경상을 좋아한다. 그 때문에 인주가 스스로 형벌과 은덕을 이용하면 여러 신하들이 그 위엄을 두려워하고 이익으로 돌아갈 것이다[爲人臣者畏誅罰而利慶賞 故人主自用其刑德 則群臣畏其威而歸其利矣].”라고 한 법가의 이념을 漢代의 道家식으로 표현한 것이 이 구절이라고 하였다.
역주11 審乎無假而不與利遷 極物之眞 能守其本 : 거짓 없는 眞實의 道를 잘 살펴서 이익에 따라 움직이지 아니하며, 사물의 진실을 극진히 알아서 그 근본을 지킴. 無假는 거짓 없는 道. 〈德充符〉편 제1장에 “거짓 없는 참된 도를 잘 살펴서, 事物과 함께 옮겨 다니지 않고, 만물의 변화를 命으로 받아들여 근본인 道를 지킨다[審乎無假 而不與物遷 命物之化 而守其宗也].”라고 하여 道를 ‘無假’로 표현했는데 그것을 그대로 답습한 것이다(陸樹芝). 阮毓崧, 于省吾 등은 假를 瑕의 뜻으로 보았지만 이어지는 極物之眞이 對句가 됨을 미처 살피지 못한 견해일 뿐이다. 奚侗, 馬叙倫, 楊樹達 등은 利자를 物자의 잘못이라 했는데 〈德充符〉편 제1장에 ‘不與物遷’이라고 되어 있는 데 근거한 것이지만 利자와 物자의 뜻이 서로 어긋나지 않으므로 같은 내용의 다른 표현으로 이해하는 편이 무난하다. 敦煌본에는 能守其본 밑에 者也 두 글자가 붙어 있다(池田知久). 林雲銘은 ‘能守其본’의 ‘本’자가 위 문장에 나온 ‘神之末也’의 末자와 對句가 된다고 했는데 적절한 견해이다.
역주12 外天地 遺萬物 而神未嘗有所困也 : 천지를 도외시하고 만물을 다 잊어버려도 精神은 조금도 괴로워하지 않음. 困은 困苦의 뜻. 林雲銘은 ‘未嘗有所困也’의 ‘困’자가 위 문장에 나온 ‘不足以爲之累’의 累자와 對句가 된다고 했는데 적절한 견해이다.
역주13 通乎道 合乎德 退仁義 賓禮樂 : 道에 정통하고 타고난 그대로의 德에 합치하며 仁義를 물리치고 禮樂의 속박을 물리침. 賓은 擯으로 물리친다는 뜻. 賓은 兪樾, 郭慶藩, 章炳麟, 武延緖, 王叔岷 등이 주장하는 것처럼 擯의 假借로 보는 견해가 적절하다(池田知久). 〈大宗師〉편 제7장에서 공자와 안회의 대화 중에서 “회는 인의를 잊어버렸습니다……대통의 도와 같아진다[回忘仁義矣……同於大通].”라고 한 부분을 참고하는 것이 이 부분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赤塚忠).
역주14 至人之心 有所定矣 : 至人의 마음이 안정됨. 제3장에 나온 ‘一心定而王天下’ 이하의 내용을 이어 받은 사상이다(赤塚忠, 池田知久).

장자(2)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