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莊子(2)

장자(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장자(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夫明白於天地之德者 此之謂이니
與人和者 謂之人樂이요 與天和者 이니라
莊子
吾師乎 吾師乎 하며 澤及萬世而不爲仁하며 長於上古而하며 覆載天地하며 刻彫衆形而不爲巧하니 此之謂天樂이니라
一心 定而萬物이라하니이니


천지의 덕을 분명히 아는 것, 이것을 일러 큰 근본[大本]이라 하고 큰 종주[大宗]라 하니 하늘과 조화된 자이고 천하를 고르게 다스리는 것은 사람들과 조화된 자이다.
사람들과 조화된 것을 사람의 즐거움이라 하고 하늘과 조화된 것을 하늘의 즐거움이라 한다.
장자가 말했다.
“나의 스승이시여, 나의 스승이시여, 만물을 산산이 조각내면서도 스스로 사납다고 여기지 않으며, 은택이 만세萬世에 미쳐도 스스로 어질다 여기지 않으며, 아득히 먼 상고上古보다도 더 오래 되었으면서도 스스로 장수長壽했다고 여기지 않으며, 하늘과 땅을 덮어 주고 실어 주며 뭇 사물의 모양을 새기고서도 스스로 기술이 뛰어나다고 여기지 않으니 이것을 일컬어 자연의 즐거움[天樂]이라고 한다.”
그 때문에 이렇게 말한다.
“자연의 즐거움[天樂]을 아는 사람은 살아 있을 적에는 자연[天]과 함께 움직이고 죽어서는 사물과 동화되며 고요할 적에는 음기陰氣을 함께하고 움직일 때에는 양기陽氣와 파동을 함께한다.
그 때문에 자연의 즐거움[天樂]을 아는 사람은 하늘의 원망을 받지도 않고 사람의 비난을 받지도 않고 사물의 얽매임도 받지 않고 귀신의 책망도 받지 않는다.”
그래서 말하기를 “〈천지의 을 밝게 아는 사람은〉 움직일 때에는 하늘과 같고 고요히 머물 때에는 땅과 같은지라 그 한 사람의 마음이 안정되어 천하를 왕으로 다스릴 수 있다.
정신精神(鬼와 )은 핑계를 대지 아니하고 게으르지 않은지라 그 한 사람의 마음이 안정되어 만물이 복종한다.”고 하니 이것은 자기의 무심하고 고요한 마음을 하늘과 땅에까지 미루어 나가며 만물에 통하게 함을 말하는 것이다.
이것을 일컬어 자연의 즐거움[天樂]이라고 하는 것이니, 천락天樂이란 성인의 마음으로 천하 만물을 기르는 것이다.


역주
역주1 大本大宗 : 큰 근본과 큰 종주. 제2장의 ‘萬物之本’과 같다. 〈寓言〉편에도 “대본에서 재능을 받는다[夫受才乎大本].”라고 한 대목이 있다. 林希逸은 〈大宗師〉편 제1장에 나오는 ‘自本自根’과 같은 뜻이라고 풀이했다. 大本, 大宗, 萬物之本 등의 표현은 모두 궁극적인 근거라는 점에서 도의 근원성을 나타내는 말로 이해할 수 있다. 林希逸이 말하는 〈大宗師〉편의 自本, 自根도 마찬가지이다.
역주2 與天和者也 所以均調天下 與人和者也 : 〈대본과 대종은〉 하늘과 조화된 자이고 천하를 고르게 다스리는 것은 사람들과 조화된 자이다. 與天和, 與人和는 제6장에 나오는 天之合, 人之合과 같다(林希逸). 또 〈人間世〉편 제1장과 〈大宗師〉편 제1장의 ‘與天爲徒’와 ‘與人爲徒’와 유사한 의미이다(林希逸, 林雲銘). 均은 成玄英이 平으로 풀이한 것을 따라 ‘고르게 다스린다’는 뜻으로 보는 것이 적절하다. 與天和와 與人和의 관계에서는 郭象이 “하늘을 따르는 것이 사람들에게 호응하는 방법이다. 그 때문에 천화가 지극해지면 인화 또한 극진해진다[夫順天所以應人也 故天和至而人和盡也].”라고 한 풀이가 적절하다.
역주3 謂之天樂 : 하늘의 즐거움이라 일컬음. 다음 편인 〈天運〉편 제3장에도 ‘天樂’이라는 말이 보인다(池田知久).
역주4 莊子曰 : 이 이하의 인용문은 〈大宗師〉편 제6장에 許由가 意而子에게 말한 말로 나와 있음. 그것을 ‘莊子曰’이라고 하고 있는데 池田知久는 이 ‘莊子’는 인명이 아니고 書名으로 보아야 할 것이라고 하고 있다. 그는 또한, 그렇다면 이 장의 작자는 이미 성립되어 있었던 원래의 《莊子》를 보았다는 말이 된다고 하고 있다.
역주5 䪠(제)萬物而不爲戾 : 만물을 산산이 조각내면서도 스스로 사납다고 여기지 않음. 즉 만물을 산산이 조각내어 差別 지우면서도 스스로를 포학하다고 여기지 않는다는 뜻이다. 錢穆은 〈大宗師〉편 제6장에 ‘不爲義’로 표기되어 있는 것을 근거로 戾자를 義자로 고치는 것이 옳다고 했지만 池田知久가 말한 것처럼 이 편의 작자는 〈大宗師〉편의 작자와 다르고 또 〈大宗師〉편의 해당 부분을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하고 저술한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에 ‘不爲戾’로 두는 것이 옳다. 陸德明도 戾를 사나움[暴]으로 풀이하였으며, 福永光司는 仁의 반대개념이라고 풀이했다.
역주6 不爲壽 : 스스로 장수했다고 여기지 않음. 〈大宗師〉편에는 壽자가 老자로 표기되어 있다(池田知久).
역주7 故曰 知天樂者 其生也天行 其死也物化 靜而與陰同德 動而與陽同波 : 그 때문에 “자연의 즐거움[天樂]을 아는 사람은 살아 있을 적에는 자연[天]과 함께 움직이고 죽어서는 사물과 동화되며 고요할 적에는 陰氣와 德을 함께하고 움직일 때에는 陽氣와 파동을 함께한다.”라고 말함. 故曰은 “그 때문에 古人도 이렇게 말한다.”로 번역할 수도 있으나, 그럴 경우에는 古人의 말은 ‘與陽同波’에서 끝난다. 아래 문장에 또 보이는 ‘故曰’도 “그래서 古人은 말하기를”로 볼 수도 있다. 〈刻意〉편 제2장과 《淮南子》 〈精神訓〉편에도 같은 내용이 보인다(池田知久). 天行은 자연의 운행, 褚伯秀는 ‘자연스러운 운동[自然運動]’이라고 풀이했다. 《周易》 乾卦의 象傳에도 “하늘의 운행은 건실하다[天行 健].”라고 하여 天行이 보인다. ‘物化’는 〈齊物論〉편 제6장의 내용과 같다(陸樹芝, 池田知久). 同波는 林希逸이 “함께 유행함이다[同流也].”라고 풀이한 것이 참고가 될지 모르겠다(池田知久). 좀 더 풀어서 해설을 하면, 죽어서 사물과 동화한다는 物化는 만물의 하나로서 生成變化의 理法에 그대로 맡긴다는 뜻이 되고 物體轉生에 그대로 따른다는 뜻이기도 하다. 또한 與陽同波는 밖으로 작용하여 움직일 때에는 動과 剛의 원리인 陽의 氣와 그 물결, 그 파동을 함께한다는 뜻이다.
역주8 無天怨 無人非 無物累 無鬼責 : 하늘의 원망을 받지도 않고 사람의 비난을 받지도 않고 사물의 얽매임도 받지 않고 귀신의 책망도 받지 않음. 〈刻意〉편 제2장에도 보이는데 怨자가 災자로 표기되어 있다. ‘無天怨 無人非’는 《論語》 〈憲問〉편의 ‘不怨天 不尤人’과 같은 뜻으로 해석하는 주석가(林希逸, 宣穎, 阮毓崧)들이 많지만 《論語》의 경우는 ‘하늘’과 ‘다른 사람’이 원망을 받는 대상이지만, 여기는 반대로 ‘하늘’과 ‘다른 사람’이 원망하고 비난하는 주체이기 때문에 옳지 않다. ‘無鬼責’은 〈天地〉편 제1장에 “無心의 경지에 도달하면 鬼神들까지도 感服한다[無心得而鬼神服].”라고 한 것과 유사하고, 〈庚桑楚〉편에 “남의 눈에 띄지 않는 데서 不善을 저지르면 귀신이 잡아 죽인다[爲不善乎幽閒之中者 鬼得而誅之].”라고 한 내용과 관련이 있다(福永光司).
역주9 其動也天 其靜也地 : 움직일 때에는 하늘과 같고 고요히 머물 때에는 땅과 같음. 郭象은 “움직임과 고요함이 비록 다르지만 무심하기는 마찬가지이다[動靜雖殊 無心一也].”라고 풀이하여 하늘과 땅을 모두 무심한 존재로 이해하였다. 成玄英도 “천지로 동정에 무심하다는 뜻을 마무리했다[天地以結動靜無心之義也].”라고 풀이하여 같은 맥락으로 이해하였다. 呂惠卿은 “하늘의 움직임은 아무런 목적 없이 무위로 움직이는 것이고……땅의 고요함은 아무런 목적 없이 무위로 고요한 것이다[天之動 則無爲而動者也……地之靜 則無爲而靜者也].”라고 풀이했는데 역시 같은 맥락이다.
역주10 一心定而王天下 : 한 사람의 마음이 안정되어 천하를 왕으로 다스릴 수 있음. 王天下는 以王治天下의 줄임. 곧 왕으로 천하를 다스린다, 천하에 왕 노릇 한다는 뜻. ‘一心定而天地定’이라고 표기된 판본도 있다. 이 때문에 武延緖는 ‘王’자는 ‘正’자가 와전된 것이고 뒤의 ‘天下’ 또한 ‘天地’가 잘못된 것이라고 했는데 嚴靈峯과 陳鼓應 등이 이 견해를 지지하지만 확증은 없다. 池田知久에 의하면, 〈天地〉편 제1장의 “하나[道]에 통달하면 만사가 모두 잘 이루어진다[通於一而萬事畢].”라고 한 기록, 《管子》 〈心術 下〉편의 “하나를 붙잡아서 잃어버리지 않으면 만물을 다스릴 수 있다[執一而不失 能君萬物].”라고 한 기록, 〈內業〉편의 “한마디 말이 적중하여 천하가 복종하고 한마디 말이 안정되어 천하가 따른다[一言得而天下服 一言定而天下聽].”라고 한 기록들과 거의 동시대[前漢]의 기록으로 추정된다.
역주11 其鬼不祟(수) 其魂不疲 : 그 精神(鬼와 魂)은 핑계를 대지 아니하고 게으르지도 않음. 祟는 핑계. 병으로 보는 견해나 재앙으로 보는 견해가 있지만 정신과 관련된 문제를 표현하기에는 다소 지나친 견해들이며 疲자와 함께 정신적 나태함을 드러내는 표현으로 보는 것이 옳다. ‘其鬼不祟’는 池田知久의 지적처럼 위 문장의 ‘無鬼責’과 같이 귀신의 재앙으로 풀이하는 것이 成玄英 이래의 정설이지만 뜻이 중복되므로 적절치 않다. 〈刻意〉편 제2장에도 “그 정신이 순수하고 그 혼이 쉬지 않는다[其神純粹 其魂不罷].”라고 한 내용이 있으며, 《淮南子》 〈精神訓〉편에도 “정신이 담담히 다함이 없어서 다른 사물과 함께 흩어지지 않으면 천하가 저절로 복종할 것이다[精神澹然無極 不與物散 而天下自服].”라고 한 내용이 있으므로 鬼와 魂은 모두 聖人의 精神을 말하는 것으로 보는 것이 적절하다. 따라서 林希逸이 “鬼라 하고 魂이라 한 것은 바로 정신이다[曰鬼曰魂 卽精神是也].”라고 한 것을 따라 번역하였다. 〈刻意〉편에도 ‘精神不倦’이란 말이 보인다(林希逸).
역주12 以虛靜 推於天地 通於萬物 : 무심하고 고요한 마음을 하늘과 땅에까지 미루어 나가며 만물에 통하게 함. 〈天地〉편 제1장에 “천지 사이에 널리 通하는 것은 德이고 만물 가운데에서 널리 작용하는 것은 천지자연의 도이다[通於天地者 德也 行於萬物者 道也].”라고 한 기록이 있다(福永光司). 通於萬物의 物자에 也자가 붙어 있는 인용문이 있다(王叔岷).
역주13 天樂者 聖人之心 以畜天下也 : 天樂이란 성인의 마음으로 천하 만물을 기르는 것임. ‘畜’은 ‘기르다’는 뜻으로 養과 같다. 이상의 내용에 관해서는 장자의 사상과 어긋난다는 지적이 고래로 많았다. 宋代의 歐陽修는 “이상의 내용은 모두 莊子 같지 않다.”라고 했고(劉鳳苞, 《南華雪心編》, 吳汝綸, 《莊子點勘》), 王夫之는 《莊子解》에서 “이 편의 주장은 장자의 지향과 서로 부합하지 않는 것이 있고 단지 노자가 고요함을 지킨다고 한 말을 따라 부연하고 있는데 그렇다고 노자와 다 부합하는 것도 아니다. 아마도 진한 시기의 황로술을 가지고 군주에게 알아주기를 구한 자가 저술한 것 같다[此篇之說 有與莊子之旨逈不相侔者 特因老子守靜之言而演之 亦未盡合於老子 蓋秦漢間學黃老之術以干人主者之所作也].”라고 했는데 일찍부터 이 편의 저작자에 대한 설득력 있는 견해를 제시하고 있다. 王夫之는 계속해서 “無爲를 君道라 하고 有爲를 臣道라 한 것은 道를 둘로 쪼갠 것이다. 또 이미 유위를 신도라 해 놓고 다시 ‘이것을 분명히 알아서 남쪽을 바라보며 천하를 다스린 것이 요의 임금 노릇이었고 이것을 분명히 알아서 북쪽을 바라보고 임금을 섬긴 것이 순의 신하 노릇이었다.’고 했으니 스스로 모순된다……절대 장자의 글이 아닐 뿐만 아니라 또 장자를 잘 배운 자가 모방해서 지은 것도 아니니 독자들은 마땅히 구분해야 할 것이다[……以無爲爲君道 有爲爲臣道 則剖道爲二 且旣以有爲臣道矣 又曰 以此南鄕 堯之爲君也 以此北面 舜之爲臣也 則自相刺謬…定非莊子之書 且非善爲莊子者之所擬作 讀者所宜辨也].”라고 비판했다. 王夫之는 또 이 문단 뒤에 다음과 같이 평했다. “그 뜻은 병형, 법도, 예악은 아랫사람에게 맡겨서 분수에 편안하고 명법을 지켜서 공과를 자세하게 고찰하는 것이니 이것은 형명가의 말이자 호해와 독이의 술책이니 이런 뜻을 본받는 것은 장자의 뜻이 아니다[其意以兵刑法度禮樂委之於下 而安分守執名法以原省其功過 此刑名家之言 而胡亥督夷之術 因師此意 要非莊子之旨].” 또 胡文英은 《莊子獨見》에서 “의론이 자못 한비자, 신도의 근본 취지와 비슷하다[議論頗似韓非愼到根底].”라고 했고, 錢穆은 《莊子纂箋》에서 “이는 말세의 유생들이 한 말일 뿐이니 어찌 참으로 장자의 말이겠는가[此皆晩世儒生語耳, 豈誠莊生之言哉].”라고 했으며, 關鋒도 《莊子外篇初探》에서 “여기에 표현된 사상은 윤문자와 완전하게 일치한다……이것은 이미 노자나 장자 일파의 주장이 아니며 또한 유가의 주장도 아니다[這裏所表述的思想和尹文子完全一致……這旣不是老子或莊子一派的主張 也不是儒家的主張].”라고 했다. 또 李勉은 《莊子總篇及分篇評注》에서 “존비와 선후를 따지는 말은 자못 노장의 뜻과 비슷하지 않다[尊卑先後之言 則頗不類老莊之旨].”라고 하였다. 심지어 陳鼓應은 이 아래의 ‘夫帝王之德’에서부터 ‘非上之所以畜下也’까지는 莊子학파의 사상에 어긋나므로 이 몇 문단은 삭제하는 것이 마땅하다고까지 주장하였다.

장자(2)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