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莊子(2)

장자(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장자(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嘗試論之하노라
世俗之所謂至知者 有不爲大盜積者乎 所謂至聖者 有不爲大盜守者乎
何以知其然邪
昔者 하며 하며 하며 하니
跖之徒 問於跖하야
盜亦有道乎
跖曰
聖也 入先 勇也 出後 義也 知可否 知也 分均 仁也
五者 不備而能成大盜者 天下未之有也라하니
由是 觀之컨댄 善人 不得聖人之道하야 不立하리며 不得聖人之道하야 不行하리라
天下之善人하고 而不善人하니 則聖人之利天下也 少하고 而害天下也多하도다
하고 라하고 聖人生而大盜起하니
掊擊聖人하며 하야서 而天下 始治矣리라
夫川竭而谷虛하고 丘夷而淵實하나니


시험 삼아 이에 대해 따져 보고자 한다.
세속에서 이른바 최고의 지혜라고 하는 것이 큰 도둑을 도와주지 않은 것이 있으며 이른바 지고의 성인이 큰 도둑을 위해 지켜 주지 않은 것이 있는가.
어떻게 그러함을 알 수 있는가.
옛적에 관룡봉關龍逢은 〈걸왕桀王에게 간하다가〉 참살斬殺되었고, 비간比干은 〈주왕紂王에게 간하다가〉 가슴을 찢겨 죽음을 당했으며, 장홍萇弘은 〈영왕靈王에게 간하다가〉 창자가 끊겨 죽음을 당했으며, 오자서伍子胥는 〈부차夫差에게 간하다가〉 시신이 물속에서 썩게 되었다.
그러므로 이 네 사람의 현명함으로도 몸이 형륙刑戮을 면치 못했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도척盜跖의 무리 중 한 사람이 도척에게 이렇게 물었다.
“도둑질하는 데도 도가 있습니까?”
도척은 이렇게 대답했다.
“어디엔들 도가 없겠느냐?
방 속에 감추어진 재화를 멀리서 바라보는 것만으로 짐작할 줄 아는 것이 이고, 도둑질할 때 먼저 들어가는 것이 이고, 맨 뒤에 나오는 것이 이고, 도둑질이 가능할지 여부를 미리 아는 것이 이고, 도둑질한 물건을 고루 분배하는 것이 이다.
이 다섯 가지를 갖추지 않고 큰 도둑이 된 자는 천하에 아직 없다.”
이로 말미암아 살펴보건대 착한 사람이 성인聖人의 도를 얻지 못하면 자신의 을 이룰 수 없지만 도척 같은 도둑도 성인의 도를 얻지 못하면 도둑질을 하지 못할 것이다.
그런데 천하에는 착한 사람이 적고 착하지 않은 사람이 많으니 성인이 천하를 이롭게 하는 것은 적고 천하를 해롭게 하는 것은 많다고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입술이 없어지면 이가 시린 것처럼 나라에서 담근 술이 시원찮자 나라의 한단邯鄲이 포위되고 성인이 나타나자 큰 도둑이 일어났다고 한다.
그러므로 성인을 배격하고 도둑들을 내버려 두어야 천하가 비로소 다스려질 것이다.
냇물이 마르면 골짜기가 비고, 언덕이 무너지면 깊은 연못이 메워진다.
성인이 죽고 나면 큰 도둑이 일어나지 않아서 천하가 다스려져서 변고가 없게 될 것이다.


역주
역주1 龍逢斬 : 關龍逢은 참살당함. 龍逢은 關龍逢을 말하며 〈人間世〉편 제1장에 이미 나왔다. 夏나라 桀王의 충신으로 걸왕에게 간언하다가 살해되었다고 하는데 〈外物〉편에도 보인다.
역주2 比干剖 : 비간은 가슴을 찢겨 죽음. 역시 〈人間世〉편 제1장에 나왔으며 〈山木〉, 〈外物〉, 〈盜跖〉편에도 보인다. 剖는 陸德明이 “심장을 가름을 말함[謂剖心也].”이라고 풀이했다.
역주3 萇弘胣 : 장홍은 창자가 끊겨 죽음. 萇弘은 周나라 靈王의 신하(司馬彪)라 하기도 하고, 《春秋左氏傳》의 기록을 들어 주나라 景王과 敬王의 신하라 하기도 한다(陸德明). 胣는 ‘창자를 끊다, 가르다’는 뜻. 陸德明은 肔로 쓴 판본이 있다고 했는데, 趙諫議본을 비롯한 몇몇 판본은 지금도 肔로 되어 있다(王叔岷). 池田知久에 의하면 萇弘은 春秋 後期 周나라 景王과 敬王의 신하로 晉 叔向의 계략에 걸려 闇愚한 周王에 의해 살해되었는데, 그를 闇愚한 군주에게 살해된 충신‧현인의 대표적인 예로 들고 있는 것은, 《韓非子》 〈內儲說 下〉, 《呂氏春秋》 〈必記〉편‧〈離謂〉편, 《韓非子》 〈難言〉편, 《莊子》 〈外物〉편 등이라 했다.
역주4 子胥靡 : 오자서는 시신이 물속에서 썩게 됨. 靡는 司馬彪의 풀이처럼 糜자의 뜻으로 썩어 문드러진다는 뜻. 崔譔이 “강 속에서 썩어 문드러짐이다[爛之於江中也].”라고 풀이한 것도 같은 뜻이다. 陸德明은 “자서는 오원이다. 부차에게 간했는데 부차가 따르지 않고 촉루라는 검을 내려 주면서 자결하게 하자 강에 빠져 죽었다[子胥 伍員也 諫夫差 夫差不從 賜之屬鏤以死 投之江也].”라고 풀이했는데 伍子胥에 대한 자세한 전기는 《史記》의 〈伍子胥列傳〉에 보인다.
역주5 四子之賢 而身不免乎戮 : 이 네 사람의 현명함으로도 몸이 형륙을 면치 못함. 이 대목은 현자가 반드시 그 정당한 대접을 받는 것은 아니며 不賢者가 날뛰고 不賢者들이 그들의 賢明함을 거꾸로 利用하게 마련임을 말하고 있다. 成玄英은 “이 네 사람은 모두 충성스러운 마음과 어진 행실을 지니고 있었는데도 형륙을 면치 못했는데 그 이유는 무도한 자들이 군주의 세력을 믿고 성인들이 남긴 자취의 위엄에 의지하였기 때문에 충신들을 넘어뜨려 죽이고 해독을 마음대로 끼칠 수 있었음을 말한 것[言此四子共有忠賢之行 而不免于刑戮者 爲無道之人 恃君人之勢 賴聖迹之威 故得躓頓忠良 肆其毒害].”이라고 풀이했다.
역주6 何適而無有道邪(야) : 어디엔들 도가 없겠는가. 王念孫이 《呂氏春秋》 〈當務〉편에 근거해서 ‘何適其有道邪’로 쓰고, 適은 啻와 같다는 주장을 한 이래 郭慶藩, 王叔岷, 阮毓崧 등이 여기에 찬성하고 있지만 본문의 맥락을 고려할 때 적절치 않다. 適은 往의 뜻으로 보는 견해(成玄英, 奚侗 등)가 고전의 용례에 부합되며 何適은 焉往과 같이 ‘어디에 간들’로 번역하는 것이 자연스럽다. 無有는 王念孫이 無를 끼어든 문자[衍文]라고 했는데 적절한 견해가 아니다. 또 武延緖는 《淮南子》에 의해서 有를 衍文이라고 했는데 굳이 연문으로 처리하지 않고 본문을 그대로 두고 번역해도 의미의 차이는 없기 때문에 따르지 않는다.
역주7 夫妄意室中之藏 : 방 속에 감추어진 재화를 멀리서 바라보는 것만으로 짐작하여 알아맞힘. 妄意는 멀리서 바라보기만 하고도 알아맞힌다는 뜻으로 여기의 妄은 멀리서 바라본다는 뜻인 望과 통용하는 글자로, 《周易》의 无妄이 《史記》에 無望으로 인용되어 있는 것이 그 예이다. 福永光司와 金谷治는 妄을 ‘함부로’라는 의미로 해석하였고, 池田知久는 妄意를 ‘대강 짐작으로 알아맞히는 것’으로 풀이하였는데 모두 적절치 않다. 室中之藏은 방 속에 감추어진 재화. 여기의 中을 알아맞힌다는 뜻으로 풀이하는 견해(馬叙倫, 王叔岷)가 있고 나름대로 근거가 있으나 意자와 중복될 뿐더러 室中의 뜻이 분명하기 때문에 따르지 않는다.
역주8 脣竭則齒寒 : 입술이 없어지면 이가 시림. 《呂氏春秋》 〈權勳〉편, 《淮南子》 〈說林訓〉편에 脣亡而齒寒이란 구절이 있고, 《韓非子》 〈十過〉편, 《春秋左氏傳》 僖公 5년에는 脣亡齒寒이란 구절이 있으며, 《墨子》 〈非攻 中〉편, 《戰國策》 趙策一, 《春秋公羊傳》 僖公 2년, 《春秋穀梁傳》 僖公 2년 등에는 脣亡則齒寒, 《戰國策》 漢策二에는 脣揭者其齒寒이라고 한 구절이 있다. 竭에 대해 兪樾은 負擧라 했고, 孫詒讓은 揭擧의 뜻으로 모두 들어 올린다는 뜻으로 보았지만 다른 문헌에 나온 것처럼 없어진다는 뜻으로 보는 것이 간명하다.
역주9 魯酒薄而邯鄲圍 : 魯나라에서 담근 술이 시원치 않자 趙나라의 수도 邯鄲이 포위됨. 전혀 상관이 없을 것 같은 두 가지 일이 사실은 서로 연관되어 일어난다는 뜻으로 뜻밖의 因果관계로 인한 사건의 전개를 비유한다. 陸德明은 이에 관한 두 가지 고사를 소개하고 있는데 첫 번째는 “초나라 선왕이 제후들의 조공을 받을 때 노나라 공공이 나중에 도착한데다 바친 술마저 시원치 않자 선왕이 노해 공공을 모욕하려 했다. 그러자 공공이 명령을 받지 않고 마침내 말하기를 ‘우리 노나라는 주공의 맏이로 제후들의 어른이고 천자의 예악을 시행하며 주나라 왕실에 공훈을 세웠다. 내가 술을 보낸 것이 이미 실례한 것인데 바야흐로 술이 시원치 않다고 질책하는 것은 너무 심하지 않은가.’ 하고는 마침내 인사도 하지 않고 노나라로 돌아가 버렸다. 선왕이 노하여 마침내 군대를 출동시켜 제나라와 함께 노나라를 쳤다. 당시 梁나라 惠王은 일찍이 趙나라를 치려고 했지만 楚나라가 趙나라를 구원할까 두려워서 하지 못했는데 초나라가 노나라와 전쟁을 하게 되었기 때문에 양나라가 조나라의 수도 한단을 포위할 수 있게 되었으니 상관없는 일이 서로 말미암음을 말한 것이다[楚宣王朝諸侯 魯恭公後至而酒薄 宣王怒 欲辱之 恭公不受命 乃曰我周公之胤 長於諸侯 行天子禮樂 勳在周室 我送酒已失禮 方責其薄 無乃太甚 遂不辭而還 宣王怒 乃發兵與齊攻魯 梁惠王常欲擊趙 而畏楚救 楚以魯爲事 故梁得圍邯鄲 言事相由也].”라고 했고, 두 번째는 “허신 주 《淮南子》에 이르기를 ‘楚나라가 제후들과 회맹할 때 노나라와 조나라가 모두 초왕에게 술을 바쳤는데 노나라의 술은 시원찮았고 조나라의 술이 좋았다. 초나라에서 술을 담당하는 관리가 조나라에 술을 달라고 하자 조나라가 주지 않았다. 그 때문에 초나라 관리가 노하여 마침내 조나라의 좋은 술과 노나라의 시원찮은 술을 바꿔서 초왕에게 올렸다. 초왕은 조나라가 바친 술이 시원찮다고 여겼기 때문에 한단을 포위하였다.’고 했다[許愼注淮南云 楚會諸侯 魯趙俱獻酒於楚王 魯酒薄而趙酒厚 楚之主酒吏求酒於趙 趙不與 吏怒 乃以趙厚酒易魯薄酒 奏之 楚王以趙酒薄 故圍邯鄲也].”라고 풀이했다.
역주10 縱舍盜賊 : 도둑들을 내버려 둠. 곧 성인의 법으로 도둑을 없애려 하는 것은 도리어 도둑들을 가르치는 것이므로 차라리 그냥 내버려 두는 것이 도둑을 막는 길이라는 뜻이다. 縱舍는 내버려 둔다는 뜻. 《老子》 제57장의 “법령이 드러날수록 도적이 더 많아진다[法令滋彰 盜賊多有].”는 내용과 유사한 취지이다.
역주11 川竭而谷虛 丘夷而淵實 聖人已死 則大盜不起 : 냇물이 마르면 골짜기가 비고, 언덕이 무너지면 깊은 연못이 메워지고 성인이 죽고 나면 큰 도둑이 일어나지 않음. 냇물과 언덕은 성인을 비유하고, 골짜기와 연못은 도적을 비유한 것으로 성인이 만든 법도가 도둑을 없어지게 하기는커녕 도둑을 도와주는 것임을 풍자한 내용이다. 곧 냇물이 마르면 골짜기가 비고, 언덕이 무너지면 연못이 메워지는 것처럼 성인이 죽고 나면 큰 도둑이 나타나지 않을 것이라는 뜻. 丘夷의 夷는 平이니 丘夷는 곧 언덕이 무너져 평평해진다는 뜻.
역주12 天下平而無故 : 천하가 다스려져서 변고가 없게 될 것임. 故는 事와 같은 의미로 여기서는 事故, 變故의 뜻으로 쓰였다.

장자(2)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