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莊子(3)

장자(3)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장자(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할새 孔子 有憂色이어시늘
子貢 하야
小子 敢問하노이다
回 東之齊어늘 夫子 有憂色 何邪잇고
孔子曰
善哉 汝問이여
昔者 丘甚善之하노니이라하니
夫若是者 以爲命有所成而形有所適也
且女 獨不聞邪
昔者 어늘 한대 하야以爲膳한대 鳥乃眩視憂悲하야 不敢食一臠하며 不敢飮一杯하고 三日而死하니
非以鳥養으로 養鳥也일새니라
夫以鳥養으로 養鳥者 宜栖之深林하며 하며 浮之江湖하며 하고 隨行列而止하며
之樂 하면 하며 獸 聞之而走하며 魚 聞之而下入커든 하나니라
彼必相與異其好惡
異也하니라
故先聖 不一其能하며 不同其事


안연顔淵이 동쪽으로 제나라에 가려고 할 때 공자에게 걱정하는 기색이 있었다.
자공子貢이 자리에서 내려와 질문했다.
“제가 감히 묻겠습니다.
안회顔回가 동쪽으로 나라에 가는데 선생님께 근심하는 기색이 있는 것은 무엇 때문입니까?”
공자가 말했다.
“좋은 질문이다.
옛날 나라의 재상宰相 관자管子가 한 말을 내가 아주 좋아하는데 그 말은 ‘주머니가 작으면 큰 것을 담을 수 없고, 두레박줄이 짧으면 깊은 물을 퍼 올릴 수 없다.’는 말이다.
무릇 이와 같은 말은 운명은 결정된 바가 있고, 형체는 꼭 맞는 것이 있다고 하는 뜻이다.
무릇 인위人爲로 덜어낼 수도 없고 보탤 수도 없는 것이다.
내가 걱정이 되는 것은, 안회가 나라 임금을 향해 황제黃帝를 이야기하고 다시 수인씨燧人氏신농씨神農氏의 말을 더 보태게 되면 나라 임금이 장차 안으로 〈성인의 도를〉 자기에게서 찾으려다가 얻지 못할 것이고, 얻지 못하게 되면 의혹이 생길 것이니, 의혹이 생기게 되면 〈안회가 도리어〉 죽게 될 것이라는 점이다.”
“또 너는 유독 듣지 못했는가.
옛날에 해조海鳥나라 국도國都교외郊外에 날아와 머물러 있었는데 노나라 임금이 맞이하여 묘당에서 주연酒宴을 베풀고, 〈임금이 작곡했다는〉 구소九韶를 연주하여 음악으로 삼고, 태뢰太牢의 음식을 갖추어서 요리상을 차렸는데, 새는 마침내 눈이 어찔어찔해지고 두려워하고 슬퍼하여 감히 한 점의 고기도 먹지 못하고 감히 한 잔의 술도 마시지 못하다가 사흘 만에 죽고 말았다.
이는 노나라 임금이 자신을 봉양하는 방법으로 새를 기르려고 했고 새를 기르는 방법으로 해조海鳥를 길렀던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무릇 새를 기르는 방법으로 새를 기르는 자는 마땅히 깊은 숲 속에 깃들게 하고, 넓은 들판에 놀게 하며 강호江湖에 떠다니게 하며 미꾸라지나 피라미를 먹게 하고, 자기와 부류가 같은 새들의 항렬行列을 따라다니거나 함께 머물러 있게 하며, 있는 그대로 만족스럽게 지내면서 살게 해야 한다.
저들은 오직 사람의 말소리를 듣기 싫어하는데, 어찌 저 떠들썩한 시끄러운 인간의 음악을 연주해대는 것인가.
함지咸池구소九韶의 음악을 동정洞庭의 들판에서 성대하게 연주하면, 새들은 그것을 듣고 날아가 버리며 짐승들은 그것을 듣고 달아나며 물고기는 그것을 듣고 물속 깊이 내려가 버리지만, 사람들은 그것을 듣고 그 둘레를 빙 둘러 에워싸고 감상한다.
물고기는 물에 머물러 살지만 사람은 물속에 머물면 빠져 죽는다.
물고기와 사람은 반드시 서로 호오好惡를 달리한다.
그 때문에 〈이와 같이〉 다른 것이다.
그러므로 옛날 선성先聖들도 그 능력이 한결같지 아니하며 사적事績도 같지 않은 것이다.
명칭은 사실에서 멈추며 올바른 도리는 꼭 맞는 경우에 성립되니 이런 경우를 일러 만사에 조리條理가 통달해서 행복이 유지된다고 말한다.”


역주
역주1 顔淵東之齊 : 顔淵이 동쪽으로 제나라에 가려고 할 때. 之는 갈 지. 여기서 문맥으로 보아 떠나간 것이 아니고 가려고 할 때를 뜻한다.
역주2 下席而問 : 자리에서 내려와 여쭘. 下席은 避席과 같이 질문하거나 대답할 때 상대를 공경하는 표시이다.
역주3 管子有言 : 《管子》에 이런 말이 있음. 管仲이 한 말 중에 이런 말이 있다는 뜻. 成玄英은 “이 말은 《管子書》에 나온다[此言出管子之書].”고 했지만 지금의 《管子》에는 보이지 않는다(池田知久).
역주4 褚小者는 不可以懷大오 綆短者는 不可以汲深 : 주머니가 작으면 큰 것을 담을 수 없고, 두레박줄이 짧으면 깊은 물을 퍼 올릴 수 없음. 褚는 옷을 장식하는 호주머니[袋]. 綆은 두레박줄. 汲深은 깊은 우물 속의 물을 길어 올림.
역주5 夫若是者는 以爲命有所成而形有所適也라 夫不可損益 : 무릇 이와 같은 말은 운명은 결정된 바가 있고 형체는 꼭 맞는 것이 있다고 하는 뜻이다. 무릇 〈人爲로〉 덜어낼 수도 없고 보낼 수도 없는 것이다. ‘以爲……’는 ‘……라는 뜻이다.’로 보면 되고, 命有所成은 운명에는 결정[成]된 바가 있다, 만물은 모두 운명에 의해 지배되고 있다는 뜻이고, 形有所適은 형체 있는 모든 것은 그에 適合한 適應性이 있다는 뜻이고, 夫不可損益의 夫는 ‘대저’ ‘무릇’이고 不可損益은 人爲로, 멋대로 損益하고 변경할 수 없다는 뜻이다. 곧 형체에 맞는 국량의 크기는 人爲로 증감할 수 없다는 뜻. 또한 命有所成 즉 사람의 운명에는 정해진 바가 있다는 생각은 〈天運〉편 제7장에 “본성을 바꾸어서는 아니 되고 운명을 변화시켜서는 안 된다[性不可易 命不可變].”고 보이고, 〈秋水〉편 제3장에 “나의 운명은 이미 정해져 있는 것이다[吾命有所制矣].”라고 있는 것이 類似한 예이다. 한편 不可損益과 유사한 것으로는 〈騈拇〉편 제2장에 보이는 “오리의 다리가 비록 짧지만 〈무리하게〉 이어주면 슬퍼하고 학의 다리가 길지만 〈억지로〉 자르면 슬퍼한다[鳧脛雖短 續之則憂 鶴脛雖長 斷之則悲].”고 한 예를 들 수 있다.
역주6 吾恐回與齊侯 言堯舜黃帝之道 而重以燧人神農之言 : 내가 걱정이 되는 것은, 안회가 齊나라 임금과 더불어 堯‧舜‧黃帝의 道를 이야기하고 다시 燧人氏‧神農氏의 말을 더 보태게 되면. 걱정이 된다는 ‘恐’字가 걸리는 것은 그 다음의 문장 彼將……이하 人惑則死로 끝나는 마지막까지이다. “……다시 燧人氏‧神農氏의 말을 더 보태게 되면 …… 얻지 못하게 되면 의혹이 생기고 의혹이 생기게 되면 〈顔回가〉 죽게 될까봐 걱정이 된다.”라고 읽어야 한다. 與齊侯 즉 ‘제나라 임금과 더불어’의 與는 向과 같다(方勇‧陸永品). 重은 ‘거듭’ 즉 더 보탠다는 뜻이다.
역주7 彼將內求於己而不得 : 저 사람은 장차 안으로 자기에게서 찾으려다가 얻지 못할 것임. 彼는 제나라 임금을 지칭한다. 곧 齊나라 임금이 성인의 도를 자기에게서 찾다가 찾지 못할 것이라는 뜻.
역주8 不得則惑 人惑則死 : 얻지 못하게 되면 의혹이 생길 것이니 의혹이 생기게 되면 〈안회가〉 죽게 될 것임. 惑은 疑惑의 뜻으로 제나라 임금이 안회의 진의를 의심하게 된다는 뜻이다. 한편 曹礎基는 “제후가 의혹이 생겼는데 풀어 주지 않으면 근심하고 고민하다가 심지어는 사망에 이른다[疑惑而不解則憂愁苦悶 甚至死亡].”고 하여 사망하는 주체가 제나라 임금이라고 보았는데 옳지 않다. 사망의 주어는 안회이다. 또한 위의 吾恐의 恐은 이 문장의 끝인 人惑則死에 걸리므로 번역도 “내가 걱정이 되는 것은 …… 얻지 못하게 되면 의혹이 생길 것이니 제나라 임금에게 의혹이 생기면 〈안회가〉 죽게 될 것이라는 점이다.”라고 하였음.
역주9 海鳥 止於魯郊 : 海鳥가 魯나라 國都의 郊外에 날아와 머묾. 海鳥와 관련된 기록으로 《國語》 〈魯語 上〉에 “爰居라고 하는 海鳥가 노나라 성 동문 밖에 사흘 동안 머물러 있었는데 장문중이 국인들로 하여금 제사를 지내게 했다[海鳥曰 爰居 止於魯東門之外三日 臧文仲使國人祭之].”고 한 내용이 있고, 邢昺의 《爾雅疏》에는 “원거는 해조이다. 크기는 망아지만 하다[爰居 海鳥也 大如馬駒].”고 원거를 묘사하고 있다. 해조 문답은 〈達生〉편 마지막장에도 거듭 나온다.
역주10 魯侯御而觴之于廟 : 노나라 임금이 맞이하여 묘당에서 酒宴을 베풂. 御는 맞이함. 맞이한다는 뜻일 때에는 音은 ‘어’가 아니고 ‘아’. 觴은 술잔으로 여기서는 주연을 베풀었다는 뜻.
역주11 奏九韶以爲樂 : 九韶를 연주하여 음악으로 삼음. 九韶는 순임금이 작곡했다는 음악. 《書經》 〈益稷〉편에 “소악을 아홉 번 연주하자 봉황새가 날아와서 춤을 췄다[簫韶九成 鳳凰來儀].”는 기록이 있는데 이 기록을 흉내 낸 듯하다.
역주12 太牢 : 太牢의 음식. 牛‧羊‧豕의 三牲을 모두 사용한 요리. 또는 牛‧羊‧豕 중에서 쇠고기를 사용한 요리를 지칭하기도 한다. 羊 또는 豕만 사용한 요리를 少牢라고 한다.
역주13 以己養養鳥 : 자신을 봉양하는 방법으로 새를 기름. 己養은 사람을 기르는 방법. 己자가 人자로 표기된 인용문이 있다(方勇‧陸永品).
역주14 遊之壇陸 : 넓은 들판에서 놀게 함. 壇陸은 〈達生〉편에 나온 ‘平陸’과 같은 뜻으로 보는 것이 적절하며, 모래톱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司馬彪는 “본래 澶으로 되어 있었는데 음은 단이고 물가의 모래톱을 말함이다[本作澶 音但 云水沙澶也].”고 풀이했고, 成玄英은 “강과 호수이다[江湖也].”라고 풀이했는데 뚜렷한 근거가 있는 것은 아니다.
역주15 食之鰌䱔 : 미꾸라지나 피라미를 먹임. 鰌䱔는 미꾸라지와 피라미.䱔는 鰷와 같은 字로 둘 다 뜻은 피라미, 音은 ‘조’. 食(사)는 먹인다, 먹게 한다.
역주16 委虵而處 : 있는 그대로 만족스럽게 지냄. 委虵는 스스로 만족해하는 모양. 虵는 蛇의 俗字인데 委虵라고 할 때는 音이 ‘이’.
역주17 彼唯人言之惡聞 : 저들은 오직 사람의 말소리를 듣기 싫어함. 彼는 해조를 지칭. 之는 목적격조사로 이해하는 것이 간편하다. 人言之惡聞을 逐字譯하면 “사람이 말하는 것을 이것(之)을 듣기 싫어함.”이다.
역주18 奚以夫譊譊爲乎 : 어찌 譊譊함을 하는가. 즉 어찌 저 떠들썩한 시끄러운 인간의 음악을 연주해대는 것인가 라는 뜻. 譊는 말다툼할 뇨, 시끄럽고 소란할 뇨 字이다. 譊譊는 시끄럽고 소란한 인간의 음악을 뜻하고 爲는 한다, 연주한다는 뜻.
역주19 咸池九韶 : 모두 악곡의 명칭. 咸池는 黃帝의 음악이고 九韶는 舜의 음악이다.
역주20 張之洞庭之野 : 洞庭의 들판에서 성대하게 연주함. 張은 ‘펴다, 연주하다’는 뜻.
역주21 鳥聞之而飛 : 새들이 그것을 들으면 날아가 버림. 〈齊物論〉편에서 “毛嬙(모장)과 麗姬(이희)를 사람들은 아름답다고 여기지만 물고기는 그들을 보면 물속으로 깊이 도망하고, 새는 그들을 보면 하늘로 높이 날아가고, 사슴은 그들을 보면 힘껏 달아난다[毛嬙麗姬人之所美也 魚見之深入 鳥見之高飛 麋鹿見之決驟].”고 한 내용을 계승한 표현이다.
역주22 人卒聞之 相與還而觀之 : 사람들은 그것을 듣고 그 둘레를 빙 둘러 에워싸고 감상함. 人卒은 衆人과 같은 뜻. 卒은 사람이 많은 모양. 相與還의 還을 成玄英은 “에워싼다[繞].”고 하였는데 이것이 定說이다. 還을 環의 가차자로 보더라도 같은 뜻이 된다. 觀은 咸池나 九韶의 음악을 ‘감상한다’는 뜻. 그런데 이것이 연주된 洞庭의 들판을 荊蠻 쪽의 현실의 지명으로 보고, “새나 짐승이나 물고기는 말할 것도 없고 형만 쪽의 미개한 백성들조차도 이 음악을 듣고는 서로 더불어 빙 둘러 에워싸고 그저 바라보기[觀]만 할 뿐이었다.”라고 해석하는 註解(池田知久)도 있다. 定說과 다른 特異한 註解이기는 하나, 鳥‧獸‧魚 등과 인간을 대비하며 말하고 있는 이 부분의 문맥과는 상치되기 때문에 그 註解의 특이함을 참고삼아 소개하는 데 그친다.
역주23 魚處水而生 人處水而死 : 물고기는 물에 머물러 살지만 사람은 물속에 빠지면 죽음. 역시 〈齊物論〉편에서 “사람은 습한 데서 자면 허리병이 생기고 반신불수가 되는데, 미꾸라지도 그러한가[民溼寢 則腰疾偏死 鰌然乎哉].”라고 한 표현을 답습한 표현이다.
역주24 名止於實 義設於適 : 명칭은 사실에서 멈추며 올바른 도리는 꼭 맞는 경우에 성립됨. 만물 각각의 名과 實이 一致하고 道理가 適性에 맞게 된다는 뜻이니, 곧 만사는 모든 존재의 자연성을 따른다는 뜻.
역주25 是之謂條達而福持 : 이런 경우를 일러 만사에 條理가 통달해서 행복이 유지된다고 말함. 阮毓崧은 “條達은 조리가 분명하고 자세하다고 말하는 것과 같다[條達 猶言條理詳明].”고 풀이했다. 福持는 행복한 상태가 유지된다는 뜻. 林希逸은 “복이 유지된다고 한 것은 복이 늘 있게 됨을 말한 것이다. 持는 보존한다는 뜻이다[福持者 言福常在也 持 保也].”고 풀이했다.

장자(3)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