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莊子(3)

장자(3)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장자(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第12章
然而하며 事君 不遇世하야 하며 逐於州部호니 則胡罪乎天哉
扁子曰
獨不聞夫至人之自行邪
往矣어다
孫子 出이어늘
扁子 入坐하얏다가 이오 仰天而歎이어늘
弟子問曰
先生 何爲歎乎잇고
扁子曰
向者 休來커늘 吾告之以至人之德호니 恐其驚而遂至於惑也하노라
弟子曰
不然하니이다
扁子曰
不然하니라
昔者 어늘 魯君 說之하야 爲具太牢以饗之하며 奏九韶以樂之한대 鳥乃始憂悲眩視하야 不敢飮食하니
此之謂以己養으로 養鳥也니라
어늘 吾告以至人之德호니 又惡能無驚乎哉리오


12章
나라의 손휴孫休라는 사람이 편경자扁慶子 선생의 문하에 이르러 탄식하면서 이렇게 말했다.
“저는 고향에 살면서 사람들에게서 부도덕하다고 하는 악평을 듣지 않았으며, 전쟁터에 나아가서는 비겁하다는 악평을 듣지도 않았습니다.
그런데도 들에서 농사를 지음에 풍년을 만나지 못하고 나아가 벼슬하여 임금을 섬김에 제때를 만나지 못하여, 향리鄕里에서도 빈척擯斥되고 의 관청으로부터 추방되었으니 하늘에 무슨 죄를 지은 것일까요?
저는 어찌하여 이 같은 운명을 만나게 되었을까요?”
편자扁子가 말했다.
“그대도 지인至人이 어떻게 자유롭게 행동하는지 들어서 알고 있겠지?
지인至人은 자기의 의 활동을 잊어버리며, 귀와 눈에 의한 감각작용을 잊어버리고서 멍하니 세속의 티끌 밖에 방황하며, 아무 것도 일삼지 않는 일에 소요逍遙한다고 한다.
이것을 일컬어 하면서도 자기의 공로를 뽐내지 아니하며, 길러 주면서도 주재主宰하지 않는다고 한다.
그런데 지금 그대는 잘 알지도 못하는 지식을 꾸며 어리석은 자들을 놀라게 하고, 몸을 깨끗하게 닦아서 타인의 오점을 밝게 드러내는데 그 행동이 밝고 밝아서 마치 해와 달이라도 내건 듯하니 그대와 같은 사람은 그대의 몸뚱이를 온전히 갖고 그대 몸의 각종 기관을 온전히 갖추고서 귀머거리‧장님‧절름발이‧앉은뱅이 등으로 중도에 요절함 없이 사람들 무리 속에 나란히 서 있는 것만으로도 다행인데 또 어느 겨를에 하늘을 원망하겠는가.
그대는 어서 돌아가라.”
손자孫子가 나갔다.
편자扁子는 〈손자를 전송하러 나갔다가〉 다시 안으로 들어와 잠깐 앉아 있다가 하늘을 우러러보면서 탄식하였다.
제자가 물었다.
“선생님께서는 어찌하여 탄식하십니까?”
편자扁子가 말했다.
“아까 손휴孫休가 찾아왔기에 내가 그에게 지인至人에 대해 말해주었는데, 나는 아무래도 그가 놀라 드디어 혼란에 빠질까 걱정이다.”
제자가 말했다.
“그렇지 않습니다.
만약 손자孫子가 말한 것이 옳고 선생님이 말씀하신 것이 그른 것이라면 그른 것은 진실로 옳은 것을 혼란에 빠뜨릴 수 없고, 반대로 손자孫子가 말한 것이 그르고 선생님이 말씀하신 것이 옳은 것이라면 그는 본시 혼란한 상태로 찾아온 것이니, 〈선생님에게〉 또 무슨 죄가 있겠습니까.”
편자扁子가 말했다.
“그렇지 않다.
옛날 나라 도성 밖에 새 한 마리가 날아와 앉았는데 노나라 임금이 기뻐하여 최고급요리를 갖추어 향응하고, 구소九韶의 음악을 연주하여 즐겁게 하였는데 새는 처음부터 근심하고 슬퍼하며 눈이 어찔어찔 어지러워하다가 감히 마시지도 먹지도 못했다.
이것을 일컬어 노군魯君 자신의 양생법을 가지고 새를 기른 것이라고 하는 것이다.
새를 기르는 데 알맞은 방법으로 새를 기르려면 마땅히 깊은 수풀 속에 살게 하며 강호江湖에 떠다니게 하며 미꾸라지나 피라미를 먹게 하고, 자기와 부류가 같은 새들의 항렬行列을 따라다니거나 함께 머물러 있게 하며, 있는 그대로 만족스럽게 지내면서 살게 하면 새가 편안하게 살 것이다.
그런데 지금 저 손휴孫休는 작은 구멍 열어보듯 보는 것이 좁고, 들은 것이 적은 사람인데 내가 지인至人을 이야기해 주었으니 비유하면 새앙쥐를 수레나 말에 태우고 메추라기를 종 치고 북 치는 음악으로 즐겁게 해주려는 격이니 그가 또 어찌 능히 놀람이 없을 수 있겠는가?”


역주
역주1 孫休 : 인명. 成玄英은 “성은 孫, 이름은 休, 노나라 사람이다[姓孫 名休 魯人也].”고 풀이했다.
역주2 踵門而詫(타)子扁慶子 : 扁慶子 선생의 문하에 이르러 탄식함. 踵門은 〈德充符〉편의 踵見과 같이 문하에 이르렀다는 뜻. 《孟子》 〈滕文公 上〉에 ‘踵門而告文公’이라는 구절이 있는데 여기서의 ‘踵門’과 마찬가지로 “발이 문에 닿다[足至門也].”는 뜻(朱熹)으로 쓰였다. 詫는 告함(司馬彪), 탄식함(成玄英), 괴이하게 여겨서 물음(怪問
역주3 居鄕 不見謂不脩 臨難 不見謂不勇 : 고향에 살면서 사람들에게서 부도덕하다고 하는 악평을 듣지 않았으며, 전쟁터에 나아가서는 비겁하다는 악평을 듣지도 않았음. 不脩는 《論語》 〈述而〉편에서 “덕이 닦여지지 않음[德之不脩].”이라고 한 구절에서 나왔고, 不勇 또한 〈爲政〉편에서 “올바른 도리를 보고 실천하지 않는 것은 용기가 없는 것이다[見義不爲 無勇也].”고 한 데서 나온 표현이다.
역주4 田原不遇歲 : 들에서 농사를 지음에 풍년을 만나지 못함. 田原의 原은 들, 田은 농사짓는다는 뜻이고 歲는 풍년을 뜻한다.
역주5 賓於鄕里 : 鄕里에서 擯斥당함. 賓은 擯의 가차자로 擯斥당한다는 뜻으로 쓰였다.
역주6 休惡遇此命也 : 저(休)는 어찌하여 이 같은 운명을 만나게 되었을까요? 惡는 어찌. 也는 의문사로 쓰였다.
역주7 忘其肝膽 遺其耳目 芒然彷徨乎塵垢之外 逍遙乎無事之業 : 자기의 肝과 膽의 활동을 잊어버리며, 귀와 눈에 의한 감각작용을 잊어버리고서 멍하니 세속의 티끌 밖에 방황하며, 아무 것도 일삼지 않는 일에 逍遙함. 彷徨과 逍遙에 대한 표현은 〈逍遙遊〉에 나온 내용을 답습한 것이며 忘其肝膽 이하의 네 구는 같은 표현이 〈大宗師〉에 그대로 나오는데 無事之業은 〈大宗師〉편에는 無爲之業으로 되어 있다. 자세한 함의에 대해서는 이 책의 〈逍遙遊〉편과 〈大宗師〉편을 참조할 것.
역주8 爲而不恃 長而不宰 : 하면서도 자기의 공로를 뽐내지 아니하며, 길러 주면서도 主宰하지 않음. 《老子》 제10장과 제51장의 내용과 똑같다.
역주9 今汝飾知以驚愚 脩身以明汙 昭昭乎若揭日月而行也 : 지금 그대는 잘 알지도 못하는 지식을 꾸며 어리석은 자들을 놀라게 하고, 몸을 깨끗하게 닦아서 타인의 오점을 밝게 드러내는데 그 행동이 밝고 밝아서 마치 해와 달이라도 내건 듯함. 明汙는 다른 사람의 오점을 밝게 들추어낸다는 뜻. 汙는 汚와 같다. 昭昭는 밝게 드러난 모양.
역주10 具而九竅 : 그대 몸의 각종 기관을 온전히 갖춤. 九竅는 사람 몸에 있는 아홉 개의 구멍으로 耳目口鼻 따위의 각종 기관을 지칭한다.
역주11 無中道夭於聾盲跛蹇 : 귀머거리, 장님, 절름발이, 앉은뱅이 등으로 중도에 요절함 없음. 聾盲跛蹇은 각각 귀머거리, 장님, 절름발이, 앉은뱅이.
역주12 比於人數 亦幸矣 : 사람들 무리 속에 나란히 서 있는 것만으로도 다행임. 比於人數는 온전한 사람들의 數에 나란히 낄 수 있음을 말한다.
역주13 有間 : 잠깐의 시간이 흐름.
역주14 孫子之所言是邪 先生之所言非邪 非固不能惑是 孫子所言非邪 先生所言是邪 彼固惑而來矣 又奚罪焉 : 만약 孫子가 말한 것이 옳고 선생님이 말씀하신 것이 그른 것이라면 그른 것은 진실로 옳은 것을 혼란에 빠뜨릴 수 없고, 孫子가 말한 것이 그르고 선생님이 말씀하신 것이 옳은 것이라면 그는 본시 혼란한 상태로 찾아온 것이니, 또 무슨 죄가 있겠습니까. 제자가 편자의 자책감을 위로하려는 뜻에서 억지로 만들어 낸 일종의 궤변으로 상식과 어긋나는 주장이다.
역주15 有鳥止於魯郊 : 魯나라 도성 밖에 새 한 마리가 날아와 앉음. 이 부분의 문장은 〈至樂〉편 제5장의 海鳥問答을 거의 그대로 인용하고 있다. 자세한 함의에 대해서는 이 책의 〈至樂〉편을 참조할 것.
역주16 浮之江湖 食之以〈鰌鰷隨行列而止〉 委蛇〈而處〉 則〈安〉平陸而已矣 : 江湖에 떠다니게 하며 미꾸라지나 피라미를 먹게 하고, 자기와 부류가 같은 새들의 行列을 따라다니거나 함께 머물러 있게 하며, 있는 그대로 만족스럽게 지내면서 살게 하면 새가 편안하게 살 것임. 본래 浮之江湖 食之以委蛇 則平陸而已矣로 되어 있었으나 그대로는 문의가 통하지 않으므로 〈至樂〉편에서 “江湖에 떠다니게 하며 미꾸라지나 피라미를 먹게 하고, 자기와 부류가 같은 새들의 行列을 따라다니거나 함께 머물러 있게 하며, 있는 그대로 만족스럽게 지내면서 살게 한다[浮之江湖 食之鰌鰷隨行列而止 委蛇而處].”고 한 내용을 따라 ‘鰌鰷隨行列而止’, ‘而處’ 두 구를 보완하고 번역하였다. 陳景元의 《莊子闕誤》에서 인용한 劉得一본에는 則자 아래에 安자가 붙어 있다(方勇‧陸永品).
역주17 今休款啓寡聞之民也 : 지금 저 孫休는 작은 구멍 열어보듯 보는 것이 좁고, 들은 것이 적은 사람임. 款啓는 작은 구멍을 열어본다는 뜻. 李頤는 “款은 빈 구멍이고 啓는 연다는 뜻이니 마치 빈 구멍을 열어보는 것처럼 소견이 좁음이다[款 空也 啓 開也 如空之開 所見小也].”라고 풀이했다.
역주18 譬之若載鼷以車馬 樂鴳以鐘鼓也 : 비유하면 새앙쥐를 수레나 말에 태우고 메추라기를 종 치고 북 치는 음악으로 즐겁게 해주려는 격임. 새앙쥐[鼷]와 메추라기[鴳]는 각각 가장 작은 종류를 든 것으로 모두 孫休의 좁은 식견을 비유한 것이다.

장자(3)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