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莊子(4)

장자(4)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장자(4)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하고 하야 澹然獨與神明으로하니 古之道術 有在於是者어늘
關尹호대 在己無居 形物 自著하야
同焉者 和이라
未嘗先人이오 而常隨人한대
라하니라
人皆取實이어든 己獨取虛하야 無藏也
하며 無爲也而笑巧하나니
라하야 하고 하야 라하야 常寬容於物하고 不削於人하니 이로다
關尹老聃乎 古之博大眞人哉인저


만물의 근본을 정묘精妙하다 여기며, 만물은 조잡粗雜하다고 생각하여 그런 조잡한 만물은 아무리 축적해도 충분하지 않다고 하여 담담하게 홀로 신명과 함께 머문다고 하니 옛날 도술 중에 그런 학문이 있었다.
관윤關尹노담老聃이 그 학풍을 듣고 기뻐하였다.
〈그들은〉 상무常無상유常有의 세계를 건립하고 태일太一을 세계의 주재자로 생각하여 유약柔弱겸하謙下를 밖으로 처신하는 원리로 삼고, 자기 마음을 비워 만물을 해치지 않음을 진실한 것으로 삼았다.
관윤關尹은 말하기를 “자기에게 집착하지 않으면 형체 있는 만물이 저절로 모습을 드러낸다.
그 움직임은 물과 같아서 모든 사물에 스며들고, 그 고요함은 거울과 같아서 만물을 있는 그대로 비추고 그 반응이 메아리와 같다.
그러면서도 흐릿하여 존재하지 않는 것 같고 고요하여 맑은 샘물과 같다.
이 같은 경지에 동화하면 화합할 수 있고 자기 것으로 차지하려고 하면 잃어버린다.”라고 하였다.
〈그들은〉 남보다 앞선 적이 없었고 항상 남의 뒤를 따라갔다.
노담老聃은 말하기를 “남성적인 함이 무엇인지를 알고서 여성적인 유약을 지키면 만물이 모여드는 천하의 계곡이 되며, 청백淸白의 맑고 깨끗함을 알고서 더러움을 지키면 천하의 골짜기가 된다.”라고 하였다.
그리하여 사람들이 모두 앞으로 나아가면 자기는 홀로 뒤로 처진다.
그리고는 말하기를 “천하의 모든 오욕을 내 몸에 뒤집어쓴다.”라고 하였다.
사람들이 모두 충족을 추구할 때 자기는 홀로 공허함을 추구해서 〈실리實利를〉 저장하는 일이 없었다.
그 까닭에 〈도리어〉 여유가 있는지라 높이 솟은 산처럼 넉넉하다.
자기 몸을 움직일 때 천천히 움직여 쓸데없이 정기精氣를 낭비하지 않고 아무 것도 작위하지 않으면서 기교를 부리는 행동을 비웃는다.
사람들이 모두 행복을 구하는데 자기는 홀로 몸을 구부려 온전함을 얻는다.
그리하여 노담老聃은 말하기를 “어떻게든 허물을 면할 것이다.”라고 하여 깊은 것을 근본으로 삼고 간략함을 행동의 기준으로 삼아서 “견고하면 부수어지고 날카로우면 무뎌진다.”라고 하여 언제나 만물을 너그럽게 마주하고 남에게 모질게 대하지 않으니 궁극에 도달하였다고 할 만하다.
관윤關尹, 노담老聃은 옛날의 넓고 큰 진인眞人이라 할 것이다.


역주
역주1 以本爲精 以物爲粗 : 만물의 근본을 정묘하다 여기며, 만물은 조잡하다고 생각함. 成玄英은 “本은 無이고 物은 有이다. 無를 쓰는 것은 정묘하므로 도는 정묘한 것이 되고, 有를 쓰는 것은 일이 되므로 만물은 조잡한 것이다[本 無也 物 有也 用無爲妙 道爲精 用有爲事 物爲粗].”라고 풀이했다.
역주2 以有積爲不足 : 만물은 아무리 축적해도 충분하지 않다고 함. 《老子》 81장에 “성인은 자신을 위해 축적하지 않는다. 이미 남을 위해 하는지라 도리어 자기는 더욱 갖게 되며 모든 것을 남에게 주는지라 도리어 자기는 더욱 많아진다[聖人不積 旣以爲人 己愈有 旣以與人 己愈多].”라고 한 대목이 있는데 이와 비슷한 맥락이다.
역주3 關尹老聃聞其風而悅之 : 關尹과 老聃이 그 학풍을 듣고 기뻐함. 關尹은 關令인 尹喜로 姓은 尹, 이름이 喜. 《關令子》 9편이 있으나 지금은 亡失되고, 현재 전해지는 판본은 僞作이다. 또 關令尹인 喜로 성은 未詳이고 이름이 喜라는 견해도 있다. 郭沫若은 《十批判書》에서 關尹을 稷下의 학자 環淵이라 하고, “남방 중국의 전설적인 哲人 老聃의 사상을 처음으로 체계적인 저작으로 만든 것이 바로 環淵일 것이다.”라고 주장했다. 成玄英은 “姓은 尹이고 이름은 喜이고 字는 公度이다. 주나라 평왕 때 함곡관의 令이었다. 그 때문에 關尹이라 한 것이다[姓尹 名喜 字公度 周平王時函谷關令 故謂之關尹也].”라고 풀이했다. 陸德明은 “老聃은 바로 노자이다. 喜를 위해 19편의 글을 저술했다[老聃 卽老子也 爲喜著書十九篇].”라고 풀이했는데, 兪樾과 池田知久 등이 지적하고 있는 것처럼 19편이라 한 것은 오류인 듯하다. 아마도 《史記》 〈老莊申韓列傳〉에 나온 기록을 따라 81편으로 고쳐야 할 것이다.
역주4 建之以常無有 : 常無와 常有의 세계를 건립함. 常無有를 두고 常無와 常有의 생략형으로 보는 견해(林自, 阮毓崧, 福永光司), 常‧無‧有의 세 개념으로 보는 견해(馬叙倫, 金谷治), 無有=無‧常無有=常無(즉 眞無)로 보는 견해(池田知久, 安東林) 등이 있다. 여기서는 첫 번째 견해를 따라 번역하였다. 한편 金谷治는 常은 不變恒常, 無는 道의 形容, 有는 存在로 풀이하고 있는데 참고할 만하다.
역주5 主之以太一 : 太一을 세계의 주재자로 생각함. 太一은 세계의 절대적 동일성, 곧 道를 뜻한다. 成玄英은 “太란 광대함을 일컬음이고 一은 둘이 아님을 말함이다. 대도는 넓고 커서 통제하고 포위하지 않음이 없어서 만물을 주머니에 집어넣어서 하나로 통합한다. 그 때문에 太一이라 한 것이다[太者廣大之名 一以不二爲稱 言大道曠蕩 無不制圍 括囊萬有 通而爲一 故謂之太一也].”라고 풀이했다.
역주6 以濡弱謙下爲表 以空虛不毁萬物爲實 : 柔弱과 謙下를 밖으로 처신하는 원리로 삼고, 자기 마음을 비워 만물을 해치지 않음을 진실한 것으로 삼음. 《呂氏春秋》 〈不二〉편에 “老聃은 柔를 중시했다[老聃貴柔].”라고 한 대목이 있다(馬叙倫). 表는 밖으로 드러나는 처신. 成玄英은 “表는 밖으로 드러남이다[表 外也].”라고 풀이했다. 實은 내면의 진실함.
역주7 關尹曰 在己無居 形物自著 其動若水 其靜若鏡 其應若響 : 關尹은 말하기를 “자기에게 집착하지 않으면 형체 있는 만물이 저절로 모습을 드러낸다. 그 움직임은 물과 같아서 모든 사물에 스며들고, 그 고요함은 거울과 같아서 만물을 있는 그대로 비추고 그 반응이 메아리와 같다. 그러면서도 흐릿하여 존재하지 않는 것 같고 고요하여 맑은 샘물과 같다. 이 같은 경지에 동화하면 화합할 수 있고 자기 것으로 차지하려고 하면 잃어버린다.”라고 하였다. 이 대목은 《列子》 〈仲尼〉편에도 關尹喜의 말로 나온다.
역주8 芴乎若亡 寂乎若淸 : 흐릿하여 존재하지 않는 것 같고 고요하여 맑은 샘물과 같음. 芴은 ‘흐릿할 홀’. 亡는 ‘무’로 읽는다. 成玄英은 “芴은 홀연이고, 亡는 無이다[芴 忽也 亡 無也].”라고 풀이했다.
역주9 同焉者和 得焉者失 : 이 같은 경지에 동화하면 화합할 수 있고 자기 것으로 차지하려고 하면 잃어버림. 《呂氏春秋》 〈不二〉편에 “關尹은 맑음을 중시했다[關尹貴淸].”라고 한 대목이 있다. 者는 語助辭.
역주10 老聃曰 知其雄 守其雌 爲天下谿 知其白 守其辱 爲天下谷 : 老聃은 말하기를 “남성적인 强함이 무엇인지를 알고서 여성적인 유약을 지키면 만물이 모여드는 천하의 계곡이 되며, 淸白의 맑고 깨끗함을 알고서 더러움을 지키면 천하의 골짜기가 된다.”라고 하였다. 《老子》 제28장에 같은 내용이 보인다. 辱은 黑의 假借字(金谷治).
역주11 人皆取先 己獨取後 : 사람들이 모두 앞으로 나아가면 자기는 홀로 뒤로 처짐. 《老子》 제67장에 나오는 “나에게는 세 가지 보배가 있는데 그것을 지키고 보존한다. 첫째가 사랑이고, 둘째가 검박함이고 셋째가 감히 천하 사람들보다 앞서지 않음이다[我有三寶 持而保之 一曰慈 二曰儉 三曰不敢爲天下先].”라고 한 대목과 유사한 표현이다.
역주12 受天下之垢 : 천하의 모든 오욕을 내 몸에 뒤집어씀. 《老子》 제78장에 나오는 “이 때문에 성인은 말하기를 ‘나라의 더러움을 뒤집어쓰는 이가 사직의 주인이고 나라의 불길함을 감수하는 이가 천하의 왕이다. 올바른 말은 마치 반대인 것처럼 보인다.’고 말한다[是以聖人云 受國之垢 是謂社稷主 受國不祥 是謂天下王 正言若反].”라고 한 대목과 유사하다.
역주13 無藏也故有餘 : 저장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도리어 여유가 있음. 《老子》 제44장에 나오는 “많이 간직하고 있으면 반드시 크게 망한다[多藏必厚亡].”라고 한 대목과 유사한 맥락이다. 또 제81장에 나오는 “성인은 자신을 위해 축적하지 않는다. 이미 남을 위해 하는지라 도리어 자기는 더욱 갖게 되며 모든 것을 남에게 주는지라 도리어 자기는 더욱 많아진다[聖人不積 旣以爲人 己愈有 旣以與人 己愈多].”라고 한 대목과도 비슷한 맥락이다. 郭象은 “만물에 맡겨 각자 스스로 지키게 하기 때문에 적은 것을 걱정하지 않는다[付萬物使各自守 故不患其少].”라고 풀이했다.
역주14 巋然而有餘 : 높이 솟은 산처럼 넉넉하다. 郭象은 “홀로 서서 스스로 만족함을 말함이다[獨立自足之謂].”라고 풀이했다. 巋然은 높은 산처럼 우뚝 선 모습. 홀로 서 있는 모습. 成玄英은 “巋然은 홀로 섬을 말함이다[巋然 獨立之謂也].”라고 풀이했다.
역주15 其行身也 徐而不費 : 자기 몸을 움직일 때 천천히 움직여 쓸데없이 精氣를 낭비하지 않음. 徐는 安徐. 《老子》 제44장에 나오는 “심하게 사랑하면 반드시 크게 낭비하게 된다[甚愛必大費].”라고 한 대목과 유사하다. 郭象은 “백성들이 이롭게 여기는 것을 따라 움직이고 사계절을 따라 이루어서 늘 도리와 함께 한다. 그 때문에 빨리 움직이는 경우도 없고 낭비하는 일도 없다[因民所利而行之 隨四時而成之 常與道理俱 故無疾無費也].”라고 풀이했다.
역주16 人皆求福 己獨曲全 : 사람들이 모두 행복을 구하는데 자기는 홀로 몸을 구부려 온전함을 얻음. 郭象은 “지극한 도리에 자신을 맡기고 따르면 늘 온전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복을 구함이 없어도 복이 이미 충분하다[委順至理則常全 故無所求福 福已足].”라고 풀이했다. 《老子》 제22장에 나오는 “구부리면 온전해질 수 있다[曲則全].”라고 한 대목과 유사하다.
역주17 苟免於咎 : 어떻게든 허물을 면할 것임. 郭象은 “다른 사람을 따르기 때문에 다른 사람이 탓하지 못한다[隨物 故物不得咎也].”라고 풀이했다. 《老子》 제46장에 나오는 “허물은 얻고자 하는 욕심보다 더 큰 것이 없다[咎莫大於欲得].”고 한 대목과, 제52장에 나오는 “자기 몸에 재앙을 끼치는 일이 없다[無遺身殃].”라고 한 대목과 유사하다.
역주18 以深爲根 : 깊은 것을 근본으로 삼음. 根은 자기의 근본. 《老子》 제59장에 나오는 “이를 일러 뿌리를 깊게 하고 단단하게 한다고 하니 장생구시의 도리이다[是謂深根固柢 長生久視之道].”라고 한 대목과 유사하다.
역주19 以約爲紀 : 간략함을 행동의 기준으로 삼음. 約은 簡約. 《老子》 제29장에 나오는 “이 때문에 성인은 심하고 사치스럽고 태연한 것을 없앤다[是以聖人去甚 去奢 去泰].”라고 한 대목과 유사하다.
역주20 堅則毁矣 : 견고하면 부수어짐. 《老子》 제76장에 나오는 “견고하고 강한 것은 죽음의 무리에 해당한다[堅强者死之徒].”라고 한 대목과 유사하다.
역주21 銳則挫矣 : 날카로우면 무뎌짐. 《老子》 제9장에 나오는 “갈아서 뾰족하게 하면 오랫동안 보존할 수 없다[揣而銳之 不可長保].”라고 한 대목과, 제4장에 나오는 “뾰족한 것을 무디게 한다[挫其銳].”라고 한 대목과 유사한 맥락이다.
역주22 可謂至極 : 궁극에 도달하였다고 할 만함. 至極은 窮極과 같다. 여기서는 老聃에 대해 ‘至極’이라고 형용했는데, 뒤의 제6장에서는 莊周를 평가하면서 스스로 ‘未之盡者’라고 형용하고 있는 점이 이채롭다.

장자(4)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