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莊子(4)

장자(4)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장자(4)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受乎心하며 宰乎神하나니
夫何足以上民이리오
使民離實學僞 非所以視民也
爲後世慮인댄 不若休之
難治也니라
爲外刑者 金與木也 爲內刑者 動與過也 하고 離內刑者 陰陽 食之하나니
夫免乎外內之刑者 唯眞人이아 能之하나니라


나라 애공哀公안합顔闔에게 말했다.
“나는 중니仲尼를 기용해서 나라의 근간으로 삼고자 하는데, 그렇게 하면 우리나라의 병폐가 치유될 수 있을 것인가?”
안합이 말했다.
“아니 아마도 위태로워질 것입니다.
중니는 바야흐로 아름다운 깃으로 장식한데다가 또 아름다운 채색을 덧칠하여 화려한 말을 일삼아 지엽말단枝葉末端을 근본의 뜻으로 생각하고 자연의 본성을 무리하게 교정해서 백성들에게 보이고서 믿음을 잃어버렸음을 알지 못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는 자기 마음대로 받아들이고 자기의 정신으로 재단합니다.
그러니 어찌 족히 백성들 위에 설 수 있겠습니까.
그가 임금님과 친합니까?
그와 함께 있으면 즐겁고 기쁘십니까?
그럴진댄 나라 일을 그르칠 수 있을 것입니다.
지금 백성들로 하여금 자연의 진실을 떠나 위선을 배우게 하는 것은 백성들에게 교시敎示하는 방법이 아닙니다.
후세를 위해 헤아려 볼 때 그만둠만 못합니다.
그로서는 나라를 다스리기 어렵습니다.
타인에게 은혜恩惠를 베풀고 나서 그것을 잊지 않는 것은 자연이 널리 만물萬物에 베푸는 것이 아닙니다.
상인들도 그와 나란히 서지 않습니다.
비록 일 때문에 어쩔 수 없이 함께 서는 경우가 있더라도 정신적으로는 그와 함께 서지 않습니다.
밖에서 형벌로 처벌하는 것은 금속제와 목제의 형구刑具이고, 내면에서 형벌로 처벌하는 것은 마음의 동요와 과도한 고통이니, 소인으로 밖에서 가해지는 형벌을 받는 자는 금속제와 목제의 형구로 신문訊問하고, 인간의 내면에서 가해지는 형벌에 걸린 자는 음양이기陰陽二氣의 부조화가 심신을 침식합니다.
그러니 안팎의 형벌을 피할 수 있는 것은 오직 진인眞人만이 할 수 있습니다.”


역주
역주1 魯哀公問乎顔闔 : 魯나라 哀公이 顔闔에게 물음. 魯 哀公은 〈德充符〉편 제4장에 이미 나왔고 顔闔은 〈人間世〉편 제3장 등에 이미 나왔다.
역주2 吾以仲尼爲貞幹 國其有瘳乎 : 나는 중니를 기용해서 나라의 근간으로 삼고자 하는데, 그렇게 하면 우리나라의 병폐가 치유될 수 있을 것인가? 貞, 幹 두 글자는 모두 ‘根幹’의 뜻. 呂惠卿은 “貞은 일의 근간이다[貞者 事之幹也].”라고 풀이했는데 이는 《周易》 〈乾卦 文言傳〉의 말을 빌린 것이다. 林雲銘은 《莊子因》에서 ‘棟梁’으로 풀이했다.
역주3 殆哉圾乎 : 아마도 위태로워질 것임. 殆는 아마도, 圾은 위태로움(成玄英). 〈天下〉편 제5장에도 “殆哉圾乎天下”라고 하여 유사한 표현이 나온다.
역주4 方且飾羽而畫 : 바야흐로 아름다운 깃으로 장식한데다가 또 아름다운 채색을 덧칠함. 羽는 자연 그대로 아름다운 羽毛(福永光司). 林希逸은 “畫은 채색함이다. 물건에 이미 채색을 입히고 또 깃으로 장식함이다[畫 采色也 物旣加以采色 而又以羽飾之].”라고 풀이했다. 而는 爲와 같다(林希逸).
역주5 從事華辭 以支爲旨 : 화려한 말을 일삼아 지엽말단을 근본의 뜻으로 생각함. 林希逸은 華辭를 “화려하고 사치스런 표현이다[華靡之言].”라고 풀이했다. 支는 枝葉(林雲銘). 旨는 ‘근본’(林希逸), 陳景元은 ‘旨要’라 했고, 阮毓崧은 ‘本旨’, 王敔는 ‘宗旨’라 했는데 大同小異하다.
역주6 忍性以視民而不知不信 : 자연의 본성을 무리하게 교정해서 백성들에게 보이고서 믿음을 잃어버렸음을 알지 못함. 林雲銘은 忍性을 “교만한 본성이라고 말한 것과 같다[猶云矯性].”라고 풀이했고, 陳壽昌은 “자연의 본성을 교만하게 꾸밈이다[矯飾其自然之性].”라고 풀이했고, 林希逸은 “교만이 넘침이다[矯激也].”라고 풀이했다. 視는 ‘보여줌’. 示와 같다.
역주7 彼宜汝與 : 그가 임금님과 친합니까? 汝는 哀公. 郭象과 成玄英은 彼를 백성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지만, 陶鴻慶이 지적한 것처럼 仲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林希逸도 “彼는 공자를 지칭하고, 汝는 애공을 지칭한다[彼指夫子 汝指哀公].”라고 풀이했다. 宣穎이 “중니가 과연 당신과 친합니까[仲尼果與汝相宜乎]?”라고 풀이한 것이 적절함. 宜는 友誼의 誼와 같다. 친하다는 뜻.
역주8 予頤與 : 그와 함께 있으면 즐겁고 기쁘십니까? 予는 豫의 假借字. 즐겁다는 뜻이다. 頤는 怡로 기쁘다는 뜻이다. 予를 與(예)로 보고 頤를 養으로 보는 견해(郭象, 成玄英)도 있는데, 이에 따르면 “그를 봉양하여 키우려는 것입니까.”라는 뜻이 된다.
역주9 誤而可矣 : 나라 일을 그르칠 수 있을 것입니다. 誤則有之矣와 같다.
역주10 施于人而不忘 非天布也 : 타인에게 은혜를 베풀고 나서 그것을 잊지 않는 것은 자연이 널리 만물에 베푸는 것이 아님. 布는 林希逸이 “베풂이다[陳也].”라고 풀이한 것이 적절하다. 林雲銘은 “하늘이 널리 만물에게 입힘이다[天之普被萬物].”라고 풀이한 것과 金谷治가 ‘敷와 같은 뜻’이라고 풀이한 것도 같은 견해이다.
역주11 商賈不齒 : 상인들도 그와 나란히 서지 않음. 齒는 ‘함께 함’ 同列의 의미. 商賈가 士와 不齒한다는 뜻(呂惠卿, 褚伯秀)으로 상인들도 그런 사람과 나란히 서지 않는다는 뜻이다. 士가 商賈와 不齒한다는 뜻(林希逸, 陳壽昌)으로 이해한 견해가 있고, 商賈가 大道에 不齒(陸長庚, 林雲銘)한다는 뜻으로 이해한 견해가 있으나 池田知久의 지적처럼 모두 문맥을 잘못 짚은 것이다. 商은 돌아다니며 장사하는 행상. 賈는 한 곳에 머물러 점포를 가지고 장사하는 사람.
역주12 雖以事齒之 神者弗齒 : 비록 일 때문에 어쩔 수 없이 함께 서는 경우가 있더라도 정신적으로는 그와 함께 서지 않음. 神은 정신. 林希逸은 “흉중의 정신이다[胸中之神].”라고 풀이했다.
역주13 宵人之離外刑者 金木訊之 : 소인으로 밖에서 가해지는 형벌을 받는 자는 금속제와 목제의 형구로 訊問함. 宵人은 小人. 兪樾은 “宵人은 小人과 같다[宵人猶小人也].”라고 풀이했는데, 이미 林自, 羅勉道, 林希逸 등도 같은 견해를 제시했다. 《禮記》 〈學記〉편에 나오는 宵雅를 두고 鄭玄은 “宵의 말뜻은 小이다[宵之言小也].”라고 풀이하고 있다.

장자(4)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