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莊子(3)

장자(3)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장자(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曰 純粹而不雜하며 靜一而不變하며 하며 이라하나니 니라
夫有하야 寶之至也일새니라
野語 有之하니
素也者 謂其無所與雜也 純也者 謂其不虧其神也 이니라


그러므로 “인간의 육체는 혹사만 하고 쉬지 않으면 지쳐 쓰러지고, 정기精氣는 쓰기만 하고 그만두지 아니하면 피로하게 되니, 피로가 겹치면 그 육체나 정기精氣가 그만 다해 버린다.”고 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물의 본성도 이물질이 섞이지 않으면 맑은 상태를 유지하고, 흔들어 움직이게 하지 않으면 수평水平을 이루지만, 막고 닫아서 흘러가지 않게 하면 물은 또한 맑을 수 없으니, 이것이 자연 본래의 타고난 덕의 모습이다.
그러므로 〈무위자연無爲自然를 체득한 바람직한 인간人間의 모습은〉 “순수함을 지켜 잡념을 섞지 않고 고요히 한결같음을 지켜 변하지 아니하며, 염담恬淡하여 무위하며, 움직일 때에는 천행天行(자연의 운행)을 따른다.”고 하니 이것이 정신을 기르는 방법이다.
무릇 나라나 나라에서 만들어진 명검을 가지고 있는 자가 그것을 상자에 넣어 간직해 두고 감히 함부로 쓰지 않는 것은 그것이 지극한 보배이기 때문이다.
정신은 사방으로 통달하고 널리 유행流行하여 세상 끝 어디까지든지 가지 않는 곳이 없어서 위로는 하늘에 다다르고 아래로는 땅속 깊이 서려 만물을 화육化育하지만 그 모습을 알 수 없으니 그 이름을 동제同帝(上帝와 같은 존재)라 한다.
순수소박純粹素朴는 오직 정신精神을 지키니, 이것을 지켜서 잃어버리지 않으면 정신과 일체一體가 되니, 일체一體가 된 정신이 만물에 통하면 천륜天倫(자연의 질서)과 합치된다.
속담에 이런 말이 있다.
“보통 사람들은 이익을 중시하고 청렴한 사람은 명예를 중시하고 현인은 뜻을 숭상하고 성인聖人은 정신을 중시한다.”
그러므로 소박素朴이란 함께 섞이는 것이 없음을 말하고 순수純粹란 그 정신을 잘 지켜 손상하지 않음을 말하는 것이니 순수소박純粹素朴을 체득했기에 그런 사람을 진인眞人이라고 일컫는 것이다.


역주
역주1 形勞而不休則弊 精用而不已則勞 勞則竭 : 인간의 육체는 혹사만 하고 쉬지 않으면 지쳐 쓰러지고, 精氣는 쓰기만 하고 그만두지 아니하면 피로하게 되고 피로가 겹치면 그 육체나 精氣가 다 소진됨. 〈在宥〉편 제3장에서 “당신의 몸을 수고롭게 하지 말고, 당신의 정신을 흔들어대지 않아야만 비로소 장생할 수 있을 것[無勞女形 無搖女精 乃可以長生].”이라고 하여 신체와 정신의 혹사를 경계한 내용과 동일한 양생사상의 표현이다(陸長庚, 池田知久). 《淮南子》 〈精神訓〉편에도 거의 같은 문장이 보인다. 成玄英이 “기가 막히고 피폐해짐이다[困弊].”고 풀이한 것이 적절하다(池田知久).
역주2 水之性 不雜則淸 莫動則平 : 물의 본성은 이물질이 섞이지 않으면 맑은 상태를 유지하고, 흔들어 움직이게 하지 않으면 水平을 이룸. 고요히 정지하고 있는 물에 대한 긍정적 비유는 이 외에도 〈德充符〉편 제4장에 “평평한 것으로는 정지하고 있는 물이 가장 성대하다[平者水停之盛也].”고 한 내용이 보이고, 〈天道〉편 제1장에도 “물이 고요하면 〈水面을 바라보는 사람의〉 수염이나 눈썹까지도 분명하게 비추어 주고 그 평평함은 水準器에 딱 들어맞아 목수가 기준으로 채택한다[水靜則明燭鬚眉 平中準 大匠取法焉].”고 한 내용이 나온다. 또 맥락은 다소 다르지만 《呂氏春秋》 〈本生〉편에 “무릇 물이란 본래 맑은 것이 본성인데 흙이 휘저어 놓기 때문에 맑은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는 것이고 인간의 생명은 장수를 누리게 되어 있는데 물욕이 휘저어 놓기 때문에 장수하지 못하게 된다[夫水之性淸 土者抇之 故不得淸 人之性壽 物者抇之 故不得壽].”고 한 내용이 보이며, 비슷한 글이 《淮南子》 〈俶眞訓〉편에도 보인다(池田知久).
역주3 鬱閉而不流 亦不能淸 : 막고 닫아서 흘러가지 않게 하면 물은 또한 맑을 수 없음. 赤塚忠은 이 “흘러가지 않게 하면 물이 맑을 수 없다.”는 비유를 종전에는 없는 비유라고 하면서 流動을 重視하는 것을 표시한다고 하였다. 池田知久도 역시 赤塚忠뿐만이 아니고 林雲銘까지 참조하기를 권하면서 이 부분의 뜻을 精神의 流動을 중시하기 시작한 종전에 없는 사상이라고 하고 있다.
역주4 天德之象也 : 이것이 본래 타고난 덕의 모습임. 天은 武延緖, 李勉이 문맥으로 미루어볼 때 失의 誤字라고 보고 문장 전체를 반대로 해석하지만 근거가 충분치 않기 때문에 설득력이 부족하다(池田知久 참조).
역주5 惔而無爲 : 恬淡하여 무위함. 담박함을 지켜 무위한다는 뜻.
역주6 動而以天行 : 움직일 때에는 天行(자연의 운행)을 따름. 이 편 제2장에 나온 “성인은 살아 있을 때에는 자연의 운행을 따른다[聖人之生也 天行].”고 한 내용을 이어 받아서 작성한 듯하다. 武延緖, 嚴靈峯, 李勉, 陳鼓應, 金谷治 등은 잘못 끼어든 문자라고 했지만 근거가 박약하며 林雲銘이 말하는 것처럼 바로 위의 ‘鬱閉而不流 亦不能淸’을 이어 작성한 글이다(池田知久 참조).
역주7 此養神之道也 : 이것이 정신을 기르는 방법임. 成玄英이 “앞에서 나온 天行(자연의 운행) 등을 총괄한 것이니 이것이 몸을 다스리는 기술이고 정신을 기르는 방도이다[總結以前天行等法 是治身之術 養神之道也].”고 풀이한 것처럼 이상의 내용을 마무리 짓는 결론부분이다. 이하의 내용은 구체적인 사례를 예시하고 있다.
역주8 干越之劍 : 吳나라나 越나라에서 만들어진 名劍. 干越은 吳越과 같다. 干은 吳의 干溪(地名). 吳越 지방은 고래로 名劍의 산지로서 유명하였음.
역주9 者 柙而藏之 : 상자에 넣어 간직해 둠. 柙은 상자. 여기서는 ‘상자에 넣다’는 동사로 쓰였다. 押으로 표기되어 있는 판본(馬叙倫)도 있다. 《淮南子》 〈精神訓〉편에 이 부분과 유사한 내용이 보인다(楊樹達, 池田知久 참조).
역주10 不敢用也 : 감히 함부로 쓰지 않음. 馬其昶과 劉文典 등이 用자가 輕用 두 글자로 표기된 인용문이 있다고 소개했는데 郭象 注에도 “하물며 감히 정신을 함부로 쓰겠는가[況敢輕用其神乎].”라고 하였으며, 郭慶藩의 《莊子集釋》에서는 郭象 注나 成玄英本에는 敢字 아래에 모두 輕字가 있다고 校閱하고 있다. 馬其昶과 劉文典은 물론이고 馬其昶과 馬叙倫, 劉文典, 王叔岷, 王孝魚, 陳鼓應, 金谷治 등도 모두 輕자를 보충하고 있지만 그대로 두어도 그런 뉘앙스를 문맥에서 찾을 수 있기 때문에 굳이 본문을 고치면서까지 보충할 필요는 없다. 池田知久도 輕字 보충 說을 근거가 불충분하다고 하고 있다.
역주11 四達 : 사방으로 통달함. 《老子》 제10장에서 “明白하게 사방으로 통달하여 無爲할 수 있겠는가[明白四達 能無爲乎].”라고 하여 비슷한 내용이 보이며, 〈知北遊〉편 제5장에도 “사방으로 도달함에 끝없이 넓다[四達之皇皇也].”는 표현이 나온다(池田知久).
역주12 竝流 : 널리 流行함. 竝은 ‘널리, 두루’의 뜻으로 旁과 같다. 奚侗은 《說文解字》에서 “旁은 널리 미침이다[旁 溥也].”고 풀이한 것을 따라 旁의 假借字라 했다.
역주13 無所不極 上際於天 下蟠於地 : 세상 끝 어디까지든지 가지 않는 곳이 없어서 위로는 하늘에 다다르고 아래로는 땅속 깊이 서림. 주장하는 내용은 상당히 다르지만 《孝經》 〈感應〉장에서 “효제를 지극하게 실천하면 신명과 교통하고 사해에 빛나 통하지 않는 곳이 없다[孝悌之至 通於神明 光于四海 無所不通].”고 한 내용이나 《禮記》 〈樂記〉편에서 “예악이 하늘에 도달하고 땅에 서림에 이르러서……[及夫禮樂之極乎天而蟠乎地……].”라고 한 내용은 모두 동일한 방식으로 효제의 지극한 효용 또는 예악의 극치가 가져오는 편재성을 강조한 수사법이다. 池田知久는 福永光司를 참조하여 이상의 인용문들이 本章과 同類의 사상을 답습한 것이라 했지만 사상적 동질성까지 확인하기에는 다소 무리일지 모르겠다. 다만 동류의 表現임은 틀림없다. 《淮南子》 〈道應訓〉편에 유사한 문장이 보인다(池田知久). 蟠은 서리다는 뜻으로 陸德明은 盤이라고 읽어야 한다고 했는데, 盤으로 표기되어 있는 인용문도 있다(王叔岷).
역주14 化育萬物 : 만물을 化育함. 이와 유사한 표현으로 《管子》 〈心術 上〉편에 “만물을 화육하는 것을 德이라 일컫는다[化育萬物謂之德].”고 한 기술이 있고, 《中庸》에도 “오직 천하에서 지극히 진실한 성인만이……천지의 화육을 도울 수 있다[惟天下至誠……可以贊天地之化育].”고 한 내용이 나온다(福永光司).
역주15 不可爲象 其名爲同帝 : 그 모습을 알 수 없으니 그 이름을 同帝라 함. 《老子》 제14장에 “끊임없이 이어져 있어서 이름을 붙일 수 없으며 사물이 없는 상태로 돌아가니 이것을 일러 형상 없는 형상이라 하고 물상 없는 물상이라 한다[繩繩不可名 復歸於無物 是謂無狀之狀 無物之象].”고 한 내용이 있으며, 제25장에도 “나는 그 이름은 알지 못하겠고 字를 붙여(通稱하여) 道라 하며 억지로 이름을 붙여 大라 한다[吾不知其名 字之曰道 强爲之名曰大].”고 한 내용이 보인다. 敦煌본에 同帝의 同이 없다. 同帝는 上帝와 같은 존재라는 뜻. 위대한 精神의 작용을 上帝와 같은 존재 즉 同帝라고 이름 붙인 것이다. 林希逸이 “공용이 천제와 같음을 말한 것이다[謂功用與天帝同也].”라고 풀이한 것도 같은 해석이다.
역주16 純素之道 唯神是守 : 純素之道는 唯神을 是守 즉 純粹素朴한 道는 오직 精神을 지킨다는 뜻. 純素는 純粹素朴의 줄임. 道의 모습을 素로 표현한 경우는 일일이 거론하기 어려울 정도로 많지만 〈天地〉편 제11장에서는 “명백한 지혜로 소박한 곳으로 들어가고 무위로 순박함으로 돌아가서 본성을 체득하고 정신을 지킨다[夫明白入素 無爲復朴 體性抱神].”고 하여 이 문장과 유사한 사상적 표현이 나오는데 이 문장은 〈天地〉편의 내용을 토대로 작성한 듯하다. 또 〈達生〉편에서 “이것은 純氣를 지키는 것이다[是純氣之守也].”라고 한 것과도 관계가 있을 것이다(池田知久 참조).
역주17 與神爲一 : 〈순수 소박한 道는 오직 精神을 지키니 이것을 지켜서 잃어버리지 않으면 사랑은 높이 昇化해서〉 精神과 一體가 된다는 뜻. 〈達生〉편에는 “무릇 형체가 완전해지고 정신이 회복되면 하늘과 일체가 된다[夫形全精復 與天爲一].” 하여 이 문장과 유사한 내용이 보인다(褚伯秀 참조). 池田知久는 이 부분의 大意를, 成玄英이 “신체와 정신이 일체가 됨이다[身神爲一也].”라고 풀이한 것보다는 林希逸이 “지키는 존재(주체)와 지켜지는 존재(객체)가 합쳐서 하나가 됨이다[守之與所守者 合而爲一矣].”라고 풀이한 쪽이 낫다고 하였는데 참고할 만하다. 神은 精神 또는 精神의 靈妙한 作用을 뜻한다.
역주18 一之精通 : 一體가 된 정신이 만물에 통함. 精은 위 문장의 神, 精神과 같다. 通은 만물과 통한다는 뜻. 通과 관련된 표현은 《周易》 〈繫辭傳 上〉에서 “왕래함에 다함이 없는 것을 通이라 한다[往來不窮謂之通].”고 한 내용과, “미루어 시행하는 것을 일러 通이라 한다[推而行之謂之通].”고 한 기술을 참고할 만하다(福永光司).
역주19 合於天倫 : 天倫과 합치됨. 天倫은 자연의 질서. 제2장에서 “자연의 이법을 따른다[循天之理].”고 한 내용과 “自然 본래의 작용(天德)과 합치된다[合天德].”고 한 내용을 함께 참고할 필요가 있다. 成玄英은 “자연의 이법과 冥合한다[冥乎自然之理].”고 풀이했는데 적절한 견해이다(池田知久).
역주20 野語有之曰 : 속담에 이런 말이 있음. 野語는 民間의 속담. 《孟子》 〈萬章 上〉에 나오는 “이것은 군자의 말이 아니다. 제나라 동쪽 야인의 말이다[此非君子之言 齊東野人之語也].”라고 했을 때의 野語는 뚜렷한 근거 없이 돌아다니는 말로 믿을 수 없다는 의미이지만 여기서는 긍정적인 의미로 썼기 때문에 나름대로 진리를 표현하고 있는 속담의 뜻으로 이해해야 한다. 〈秋水〉편 제1장에도 같은 句, ‘野語有之’가 보인다.
역주21 廉士重名 賢人尙志 聖人貴精 : 청렴한 사람은 명예를 중시하고 賢人은 뜻을 숭상하고 聖人은 정신을 중시함. 精은 精神. 林希逸이 “바로 神이다[卽神也].”라고 풀이한 것이 적절하다(池田知久).
역주22 能體純素 謂之眞人 : 純粹素朴을 체득했기에 그런 사람을 眞人이라고 일컫는 것임. 體는 체득함. 成玄英은 體를 “깨닫고 이해함이다[悟解也].”고 풀이했는데 다소 미흡하다(池田知久는 부적당하다고 함). 純素는 앞의 純素之道와 마찬가지로 위 문장의 ‘恬淡寂漠’, ‘虛無無爲’ 등을 두 글자로 대표한 것이다(陸樹芝). 대의는 池田知久의 註解에 의거, 林雲銘이 “이 문단은 성인이 순수 소박한 도로 정신을 기르기 때문에 천도와 함께할 수 있음을 말한 것이다[此段言聖人以純素 養其精神 所以能與天道].”고 풀이한 것을 따라 해석하였다.

장자(3)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