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莊子(3)

장자(3)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장자(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내면을 충실하게 하려는 사람은 남에게 알려지기를 바라지 않으면서 행동하고, 겉으로 드러나는 것을 중시하는 사람은 재물을 끌어 모으는 데 뜻을 둔다.
남에게 알려지기를 바라지 않으면서 행동하는 사람은 평범하게 행동해도 빛이 나지만 재물을 끌어 모으는 데 뜻을 둔 사람은 장사치에 지나지 않는데 사람들은 그가 억지로 발돋움한 것을 보고 오히려 우뚝하다고 여긴다.
사물과 함께 할 때 극진히 하는 자는 사물도 받아들여지고 사물과 상대하는 자는 자신조차도 용납되지 못하니 어찌 다른 사람을 용납할 수 있겠는가.
다른 사람을 용인하지 못하는 자는 친함이 없을 것이니 친함이 없으면 남을 지극히 괴롭힌다.
무기 중에는 사람의 마음보다 더 참혹한 것이 없으니 막야鏌鎁 같은 명검도 그보다 아래이다.
해침은 음양의 부조화보다 더한 것이 없으니 천지 사이에 도망할 곳이 없다.
그러나 사실은 음양이 해치는 것이 아니라 사람의 마음이 그렇게 하는 것이다.


역주
역주1 券內者 行乎無名 : 내면을 충실하게 하려는 사람은 남에게 알려지기를 바라지 않으면서 행동함. 券은 힘쓴다는 뜻으로 務와 같다(陳榮選). 郭象과 成玄英은 券을 分으로 풀이했지만 적절치 않다. 行乎無名은 무명을 추구한다는 뜻으로 남에게 알려지기를 바라지 않는다는 뜻이다.
역주2 券外者 志乎期費 : 겉으로 드러나는 것을 중시하는 사람은 재물을 끌어 모으는 데 뜻을 둠. 期는 거두어들인다는 뜻. 費는 재물이다. 兪樾은 “費는 財用과 같다[費 猶財用也].”라고 풀이했다. 또 馬叙倫은 “期費는 재물을 거둠과 같다[期費 猶斂財也].”라고 풀이했다.
역주3 行乎無名者 唯庸有光 : 남에게 알려지기를 바라지 않으면서 행동하는 사람은 평범하게 행동해도 빛이 남. 庸有光은 평범하게 행동해도 빛이 난다는 뜻. 庸은 平常의 뜻이다.
역주4 志乎期費者 唯賈(고)人也 : 재물을 끌어 모으는 데 뜻을 둔 사람은 장사치에 지나지 않음. 賈人은 이익만 추구하는 사람이라는 뜻이다.
역주5 人見其跂 猶之魁然 : 사람들은 그가 억지로 발돋움한 것을 보고 오히려 우뚝하다고 여김. 羅勉道는 “발돋움하고 서는 사람은 사람들이 보고 그가 우뚝하게 장대하다고 여기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跂立者 人見其魁然長大 而實不然].”라고 풀이했다.
역주6 與物窮者 物入焉 與物且者 其身之不能容 焉能容人 : 사물과 함께 할 때 극진히 하는 자는 사물도 받아들여지고 사물과 상대하는 자는 자신조차도 용납되지 못하니 어찌 다른 사람을 용납할 수 있겠는가. 與物窮者는 사물과 처음과 끝을 함께 한다는 뜻이다. 郭象은 “窮은 終始를 이름이다[窮 謂終始].”라고 풀이했다. 入은 사물이 저절로 받아들여진다는 뜻. 褚伯秀는 “入은 귀복함과 같다[入 猶歸也].”라고 풀이했다. 且는 齟齬함. 阻, 沮 등과 통하는 글자. 成玄英은 ‘苟且’의 뜻으로 풀이했지만 章炳麟이 ‘阻’의 가차자로 본 것이 타당하다.
역주7 不能容人者 無親 : 다른 사람을 용인하지 못하는 자는 친함이 없을 것임. 남을 포용할 줄 모르는 자는 다른 사람을 친애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역주8 無親者 盡人 : 친함이 없으면 남을 지극히 괴롭힘. 盡人에 대해서는 사람들이 모두 타인이라는 견해(郭象, 方勇‧陸永品), 사람의 부류를 다해도 그와 함께 무리가 될 수 없다는 뜻이라는 견해(陸西星) 등이 있으나, 아래에 사람을 해치는 내용이 나오므로 여기서는 親과 반대가 되는 뜻으로 보고 타인을 극진히 괴롭힌다는 뜻으로 번역하였다.
역주9 兵 莫憯於志 鏌鎁爲下 : 무기 중에는 사람의 마음보다 더 참혹한 것이 없으니 막야 같은 명검도 그보다 아래임. 呂惠卿이 “뜻을 병기로 삼으면 사람의 마음을 해치지만 막야 같은 명검은 사람의 몸을 해칠 뿐이다[志之爲兵 傷人之心 鏌鎁則傷人之形而已].”라고 풀이한 것이 적절하다.
역주10 寇 莫大於陰陽 無所逃於天地之間 : 해침은 음양의 부조화보다 더한 것이 없으니 천지 사이에 도망할 곳이 없음. 寇는 본래 노략질을 일삼는 도적. 여기서는 사람을 해친다는 뜻으로 쓰였다.
역주11 非陰陽賊之 心則使之也 : 그러나 사실은 음양이 해치는 것이 아니라 사람의 마음이 그렇게 하는 것임. 음양이 와서 사람을 해치는 것이 아니라 사람이 음양의 해로움을 자초한다는 뜻이다. 陸西星은 “마음이 욕심을 부리면 스스로 해칠 뿐이다[心貪則自賊耳].”라고 풀이했다.

장자(3)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