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莊子(4)

장자(4)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장자(4)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宋人하더니
反於宋하야 見莊子하야호대
夫處窮閭陋巷하야 困窘織屨하야
一悟萬乘之主하야 而從車百乘者 商之所長也니라
莊子曰호대
豈治其痔邪인저/아
行矣하라


나라 사람 중에 조상曹商이란 자가 있었는데, 송나라 왕을 위하여 나라에 사신으로 갔다.
갈 적에는 〈송나라 왕에게서〉 몇 대의 수레를 얻었을 뿐이었는데, 진나라 왕이 그를 좋아하여 수레 100대를 보태주었다.
조상이 송나라로 돌아와 장자를 보고 말했다.
“대저 가난한 촌리村里 비좁고 지저분한 뒷골목거리에 살면서 곤궁하여 짚신을 삼아 겨우 입에 풀칠해서 비쩍 마른 목에 누런 얼굴을 하고 사는 것은 내가 잘 못하는 것일세.
한 번 만승 대국의 군주를 깨닫게 하여 따르는 수레가 100대나 되게 하는 것은 내가 잘하는 일이라네.”
장자가 말했다.
진왕秦王이 병이 나 의사를 부르니, 종기를 터뜨리고 부스럼을 없애주는 자는 수레 한 대를 얻고, 치질을 핥아 고쳐 준 자는 수레 다섯 대를 얻으니, 치료해 준 부위가 아래로 내려갈수록 수레를 더욱 많이 얻는 것이다.
그러니 그대는 아마도 진왕의 치질이라도 핥아주었나 보다.
〈아니라면〉 어떻게 수레를 그렇게 많이 얻었단 말인가.
얼른 떠나가시게.”


역주
역주1 曹商 : 인명. 成玄英은 “姓은 曹이고 이름은 商이며 宋나라 사람이다[姓曹 名商 宋人也].”라고 풀이했는데 본문에서 얻을 수 있는 정보보다 나은 게 없다.
역주2 爲宋王 使秦 : 송나라 왕을 위해 진나라에 사신으로 감. 司馬彪와 成玄英 모두 송나라 왕을 宋 偃王으로 보았다. 使는 ‘사신갈 시’.
역주3 其往也에 得車數乘이러니 王이 說之하야 益車百乘 : 갈 적에는 〈송나라 왕에게서〉 몇 대의 수레를 얻었을 뿐이었는데, 진나라 왕이 그를 좋아하여 수레 100대를 보태줌. 成玄英은 “송나라 언왕을 위해 秦나라에 사신으로 갔는데 응대함이 마땅하여 진왕이 아껴서 마침내 수레 백 대를 내렸다. 乘은 네 필 말이다[爲宋偃王使秦 應對得所 秦王愛之 遂賜車百乘 乘 駟馬也].”라고 풀이했다. 왕은 秦나라 惠王. 司馬彪는 진나라 惠王이라고 풀이했다.
역주4 槁項黃馘者 商之所短也 : 비쩍 마른 목에 누런 얼굴을 하고 사는 것은 내가 잘 못하는 것임. 馘은 ‘얼굴 혁’, ‘빰 혁’.
역주5 破癰潰痤者 得車一乘 : 종기를 터뜨리고 부스럼을 없애주는 자는 수레 한 대를 얻음. 癰은 종기. 痤는 부스럼.
역주6 舐痔者得車五乘 所治愈下 得車愈多 : 치질을 핥아 고쳐 준 자는 수레 다섯 대를 얻으니, 치료해 준 부위가 아래로 내려갈수록 수레를 더욱 많이 얻음. 舐는 ‘핥을 지’. 痔는 痔疾. 成玄英은 “치질은 아래가 새는 병이다[痔 下漏病也].”라고 풀이했다. 郭象은 “하는 일이 낮을수록 공이 높아지고, 공이 높아진 뒤에 녹봉이 무거워진다. 그 때문에 고원한 도를 추구하고 고요함을 지키는 이는 영달을 버린다[夫事下然後功高 功高然後祿重 故高遠恬淡者遺榮也].”라고 풀이했다.
역주7 子豈治其痔邪 何得車之多也 : 그대는 아마도 진왕의 치질이라도 핥아주었나 보다. 어떻게 수레를 그렇게 많이 얻었단 말인가! 治는 치료의 뜻. 여기서는 치질을 핥아서 치료한다는 뜻이다. 何는 ‘어쩌면 그렇게도’.

장자(4)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