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莊子(4)

장자(4)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장자(4)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莊子 將死어늘 弟子 欲厚葬之러니
莊子曰호대
以天地 爲棺槨하고 以日月 爲連璧하고 星辰으로 爲珠璣하고 萬物 爲齎送하리니
葬具 豈不備邪
弟子曰호대
恐烏鳶之食夫子也하노이다
莊子曰호대


장자莊子가 막 죽으려 할 때 제자들이 장례를 하게 치르고자 했다.
장자가 말했다.
“나는 하늘과 땅을 관곽棺槨으로 삼고, 해와 달을 한 쌍의 으로 삼고, 하늘에 떠 있는 별들을 둥근 옥과 모난 옥으로 삼고, 만물을 저승길 가는 선물로 삼을 것이다.
그러니 내 장례에 필요한 도구는 완비完備되지 않았는가.
무엇을 여기다 더 보탤 것이 있겠는가.”
제자들이 말했다.
“저희들은 까마귀나 솔개가 선생님의 시신을 파먹을까 두렵습니다.”
장자가 말했다.
“〈풍장風葬을 하면〉 위에서 까마귀와 솔개의 먹이가 되고, 〈매장埋葬을 해서 땅에 묻으면〉 아래에서 땅강아지와 개미의 먹이가 될 것인데, 저쪽 것을 빼앗아 이쪽에다 주는 것은 아무래도 불공평하지 않은가.
공평하지 않은 것을 억지로 공평하다고 하면 그 공평은 참다운 공평이 되지 못하고, 명백하지 않은 것을 억지로 명백하다고 하면 그런 명백함은 참다운 명백함이 되지 못한다.
눈은 다만 정신의 심부름을 할 뿐이고, 그러면 정신精神이 이것을 명백하게 포착하는 것이니, 무릇 눈이 정신을 이기지 못한 지가 오래되었는데, 그런데도 세상의 어리석은 자들은 눈이 본 것만을 의지하여 인위人爲의 세계에 빠져들어 가서 공적을 밖으로 드러내려 하니 또한 슬프지 아니한가.”


역주
역주1 吾以天地爲棺槨 以日月爲連璧 星辰爲珠璣 萬物爲齎送 吾葬具豈不備邪 何以加此 : 나는 하늘과 땅을 棺槨으로 삼고, 해와 달을 한 쌍의 옥으로 삼고, 하늘에 떠 있는 별들을 둥근 옥과 모난 옥으로 삼고, 만물을 저승길 가는 선물로 삼을 것이다. 그러니 내 장례에 필요한 도구는 완비되지 않았는가. 무엇을 여기다 더 보탤 것이 있겠는가. 棺槨은 內棺 外槨. 連璧과 珠璣는 모두 부장품으로 死者와 함께 파묻는 送葬品이다. 齎는 ‘보낼 제’. 齎送은 送葬品을 가리킨다.
역주2 在上爲烏鳶食 在下爲螻蟻食 奪彼與此 何其偏也 : 위에서는 까마귀와 솔개의 먹이가 되고, 아래에서는 땅강아지와 개미의 먹이가 될 것인데, 저쪽 것을 빼앗아 이쪽에다 주는 것은 아무래도 불공평하지 않은가. 鳶은 솔개. 成玄英은 “鳶은 鴟이다[鳶 鴟也].”라고 풀이했다. 螻는 땅강아지. 蟻는 개미.
역주3 以不平平 其平也不平 : 공평하지 않은 것을 억지로 공평하다고 하면 그 공평은 참다운 공평이 되지 못함. 郭象은 “한쪽의 공평함을 가지고 만물을 공평하게 다스리려 하느니 만물에 맡겨 저절로 공평해짐만 못하다[以一家之平平萬物 未若任萬物之自平也].”라고 풀이했다.
역주4 以不徵徵 其徵也不徵 : 명백하지 않은 것을 억지로 명백하다고 하면 그런 명백함은 참다운 명백함이 되지 못함. 徵은 분명하게 검증한다는 뜻으로 여기서는 명백하게 입증되는 것을 말한다.
역주5 明者唯爲之使 神者徵之 : 눈은 다만 정신의 심부름을 할 뿐이고, 그러면 정신이 이것을 명백하게 포착함. 明은 ‘눈밝을 명’. 여기서는 눈의 감각, 곧 외물의 모습을 전해주는 시각을 말한다. 자신의 시각만 고집해서는 안 된다는 뜻이다. 郭象은 “자기 견해만 고집하면 부림을 당할 일이 많을 것이니 어떻게 외물을 부릴 수 있겠는가[夫執其所見 受使多矣 安能使物哉]!”라고 풀이했다.
역주6 夫明之不勝神也久矣 : 눈이 정신을 이기지 못한 지가 오래됨. 郭象은 “눈 밝음이 미치는 것은 형해에 지나지 않으며 지극한 順應은 멀고 가깝고 어둡고 깊음을 막론하고 모두 각자 스스로 터득하게 한다[明之所及 不過於形骸也 至順則無遠近幽深 皆各自得].”라고 풀이했다. 成玄英은 “눈이 밝으면 인위적인 마음을 가지고 일에 대응하게 되어 사물에 부림을 당하게 된다. 神은 무심하기 때문에 감응에 일정한 방향이 없다. 유심은 무심에 미치지 못한다[明則有心應務 爲物驅役 神乃無心 應感無方 有心不及無心].”라고 풀이했다.
역주7 愚者恃其所見入於人 其功外也 不亦悲乎 : 어리석은 자들은 눈이 본 것만을 의지하여 인위의 세계에 빠져들어 가서 공적을 밖으로 드러내려 하니 또한 슬프지 아니한가. 其功外也는 공적을 밖으로 드러냄. 王先謙은 “그 공력이 모두 밖을 따름이다[其功力皆徇外矣].”라고 풀이했다.

장자(4)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