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莊子(3)

장자(3)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장자(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侍坐於하야서 數稱한대
文侯曰 谿工 子之師邪
子方曰
非也
無擇之里人也
稱道 數當할새 故無擇 稱之하노이다
文侯曰
然則子 無師邪
子方曰
하니이다
子之師 誰邪
子方曰
니이다
文侯曰
然則夫子 何故 未嘗稱之
子方曰
其爲人也 眞이라 하며 緣而葆眞하며 淸而容物하야 無道어든 正容以悟之하야 使人之意也케하나니 리잇고
子方出이어늘 文侯 終日不言이라가 召前立臣而語之曰
遠矣
全德之君子
始吾 以聖知之言 仁義之行으로 爲至矣라니 吾聞子方之師하고 吾形解而不欲動하며 口鉗而不欲言호니 吾所學者로소니 夫魏 眞爲我 累耳로다


전자방田子方 문후文侯를 모시고 앉아서 이야기할 때 계공谿工을 자주 칭찬했더니,
문후文侯가 말했다. “계공谿工은 선생의 스승입니까?”
자방子方이 대답하였다.
“아닙니다.
저와 같은 마을에 사는 사람입니다.
에 대해 일컫는 말이 자주 합당했기 때문에 제가 그를 칭찬한 것입니다.”
문후文侯가 말했다.
“그렇다면 선생에게는 스승이 없습니까?”
자방子方이 말했다.
“있습니다.”
문후文侯가 말했다.
“누구입니까?”
자방子方이 말했다.
동곽순자東郭順子입니다.”
문후文侯가 말했다.
“그렇다면 선생은 무슨 까닭으로 아직 한번도 스승에 대해 일컬은 적이 없었습니까?”
자방子方이 말했다.
“그분은 사람됨이 진실한지라 사람의 모습을 하고 있지만 하늘처럼 텅 비어 있으며, 사물을 따르지만 자연의 참된 본성을 잃지 아니하며, 맑으면서도 사물을 포용하여 사물이 무도하면 자신의 행동을 바로 함으로써 그들을 깨우쳐 다른 사람이 비난하려는 의지를 소멸케 하니 제가 어찌 그를 일컫기에 충분한 사람이겠습니까?”
자방子方이 나가고 나자 문후는 멍하니 종일토록 말하지 않다가 앞에 서 있던 신하를 불러 이렇게 말했다.
“원대하구나!
덕을 온전히 갖춘 군자여!
처음에 나는 성스럽고 슬기로운 말과 인의의 행동을 지극하다 여겼더니만 내가 자방의 스승에 관한 이야기를 듣고 나자 내 몸은 해체되어 움직이려 하지 아니하고, 입은 재갈 물린 것처럼 말하지 않으려 하니 내가 지금까지 배웠던 것은 단지 흙으로 만든 인형일 뿐이었으니 위나라는 참으로 나를 얽어매는 물건이로다.”


역주
역주1 田子方 : 인명. 위나라의 현인. 李頤는 “위문후의 스승이다. 이름은 무택이다[魏文侯師也 名無擇].”고 풀이했고, 成玄英은 “성은 田이고 이름은 무택이며 자는 자방이고 위나라의 현인으로 문후의 스승이다[姓田 名無擇 字子方 魏之賢人也 文侯師也].”고 풀이했다. 郭慶藩은 無擇은 無斁(역)으로 표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일찍이 韓愈는 〈送王塤序〉에서 田子方과 莊周의 관계에 대해 고찰하고 있다(池田知久).
역주2 魏文侯 : 위나라 임금. 成玄英은 “文侯는 필만의 7세손이고 武侯의 아버지이다[文侯是畢萬七世孫 武侯之父也].”고 풀이했다.
역주3 谿工 : 인명. 역시 위나라의 賢人. 成玄英은 “성은 谿이고 이름은 工이며 역시 위나라의 현인이다[姓谿 名工 亦魏之賢人].”라고 풀이했다.
역주4 東郭順子 : 인명. 전자방의 스승. 成玄英은 “성곽 동쪽에 살기 때문에 그것을 따라 氏로 삼았다. 이름은 順子이다. 자방의 스승이다[居在東郭 因以爲氏 名 順子 子方之師也].”라고 풀이했다. 한편 馬叙倫은 동곽순자를 실제 인물로 보고 자공의 제자라고 했지만 赤塚忠의 지적처럼 실제 인물로 보는 것은 무리이다.
역주5 人貌而天虛 : 사람의 모습을 하고 있지만 하늘처럼 텅 빔. 郭象 이래 ‘人貌而天’으로 절구하는 경우가 많지만 兪樾이 天虛에서 斷句해야 한다고 한 주장이 타당하다.
역주6 無擇何足以稱之 : 무택이 어찌 그를 일컫기에 충분한 사람이겠습니까. 동곽순자가 일컫기에 부족한 사람이기 때문에 일컫지 않았던 것이 아니라 참으로 위대한 것은 말로 표현하기에 부족하다는 뜻으로 자신의 표현이 부족함을 이야기한 대목이다.
역주7 儻然 : 멍한 모습. 司馬彪는 “뜻을 잃어버린 모양이다[失志貌].”고 풀이했다.
역주8 土梗 : 흙으로 빚어 만든 인형. 비를 맞으면 뭉개지고 마는 흙 인형처럼 헛된 존재라는 뜻. 梗은 馬叙倫에 의하면 偶의 가차자. 司馬彪는 “土梗은 土人이다. 비를 맞으면 뭉개진다[土梗 土人也 遭雨則壞].”고 풀이했다.

장자(3)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