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莊子(2)

장자(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장자(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2 천지天地
[해설]
이 편에서는 내편內篇에서 근원적인 실재로 표현되었던 ‘’를 대신해서 ‘’이 강조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는데 편명 ‘천지天地’는 편수篇首의 두 를 따서 명명命名한 것이다.
’의 강조는 도가의 문헌만이 아니라 유가의 문헌인 《중용中庸》의 ‘’은 물론 《예기禮記》 〈학기學記〉편의 ‘천리天理’, 또 《주역周易》 〈계사전繫辭傳〉의 ‘천지지도天地之道’ 등에서 두루 찾을 수 있는 것처럼 유가적 색채가 강한 범주이다. 이 때문에 이 편의 내용은 대부분의 학자들이 지적하고 있는 것처럼 유가儒家와 타협적인 색채가 강하다. 아울러 의 강조는 이 편뿐만 아니라 바로 뒤의 〈천도天道〉편에도 현저하게 나타나는데 이런 점은 유가사상과 도가사상의 융합을 모색하고 있다는 점에서 두 사상 간의 적극적인 교류의 흔적으로 간주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복영광사福永光司 같은 학자는 이 편의 저작 시기를 전국말戰國末에서 한초漢初라고 추정했다.
2章에서는 공자로 추정되는 인물을 등장시켜 “란 만물을 덮어 주고 실어 주는 것이다. 넓고도 크구나. 군자는 사심을 도려내지 않아서는 안 된다. 무위無爲로 행하는 것을 이라 일컫고 무위로 말하는 것을 일러 이라 하고 사람을 사랑하고 남을 이롭게 해 주는 것을 이라 일컫고 같지 않은 것을 같게 보는 것을 일러 라 한다.”고 하여 유가적 가치인 천지, 인 등의 개념과 도가적 가치인 무위가 혼재되고 있는 모습을 보이는데 이 또한 내편의 사상에서 크게 변화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11章에서 현실(세속)의 사회를 ‘부득이한 것’으로 일단 긍정하고, 그 속에 사는 초월자의 자유를 강조하는 철학은, 내편 특히 〈인간세人間世〉편 등에서 특별히 강조되었던 내용이기도 하다. 또 이 같은 현실 긍정의 사상은 〈산목山木〉편의 “지인은 자신을 비워서 세상에 노닐 줄 안다[至人能虛己以遊世].”라고 한 내용과 〈외물外物〉편의 “오직 지인만이 비로소 세상에 노닐면서 치우치지 않을 수 있다[唯至人乃能遊於世而不僻].”라고 한 언급에서도 한층 명확하게 표현되고 있는데, 왕강거王康琚가 “소은小隱능수陵藪에 숨고 대은大隱시조市朝에 숨는다.”고 한 유명한 말도 이 편에 나온 현실 긍정의 육조적六朝的 표현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이 때문에 자공을 질타하는 한음장인漢陰丈人은둔적隱遁的 무위無爲장자莊子의 이 같은 현실 긍정의 철학에 의해 비판받는 것으로 이해되기도 하는데(이 번역서에서는 장자莊子가 비판하는 것이 아니라 긍정하는 것으로 보았지만 주석가에 따라서 장자莊子공자孔子의 말을 빌어 한음장인漢陰丈人이 송영자 수준에 지나지 않는 인물로 비판한 것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이런 점에서 이 의 서술은 무위無爲의 사상을 장자적인 의 철학과 결합하여 전개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식기일識其一 부지기이不知其二’는 한음장인漢陰丈人에 대한 비판으로 제11장에서 사용된 말인데, 왕탄지王坦之장주莊周 철학에 대한 과격한 비판을 제기한 〈폐장론廢莊論〉에서 이 말을 오히려 장자비판莊子批判으로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는 점이 아이러니하다. 왕탄지王坦之는 〈폐장론〉에서 장주莊周의 철학을 “하나만 알고 둘은 모른다[識其一 而不知其二].”고 비판하고 공자孔子의 철학이 장주莊周의 철학에 비해 우위優位라고 주장하면서 장주의 책을 불태우는 것이 옳다고 극언하기도 했다.



장자(2)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