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莊子(4)

장자(4)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장자(4)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莊子曰
人有能遊인댄 且得不遊乎 人而不能遊인댄
夫流遁之志
覆墜而不反하며
하나니라
雖相與爲君臣이나 時也
이라하니라
하며 順人而不失己하나니


장자가 말했다.
“어떤 사람이 구속되지 않고 자유로이 노닐 수 있는 능력이 있다면 그 사람이야 〈어떤 처지에 놓인들〉 노닐게 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그런데 어떤 사람이 노닐 수 있는 능력이 없다면 〈아무리 애쓴들〉 노닐게 할 수 있을 것인가.”
무릇 세상으로부터 도피하여 여기저기 유랑하려는 의지와 세상과의 관계를 끊고 고독한 생활을 영위하려는 행동, 아!
그것은 아마도 최고의 지혜와 두터운 덕성을 갖춘 사람이 할 일은 아닐 것이다.
그렇게 되면 〈그들은〉 뒤집히고 굴러 떨어져도 돌아보려 하지 않고 불타오르듯 광분해도 돌아보려 하지 않는다.
비록 서로 군주가 되고 신하가 되는 관계라 하더라도 일시의 만남에 지나지 않는다.
세상이 바뀌면 〈신분이 낮은 사람이라고 해도〉 천시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러므로 “지상至上의 덕을 체득한 사람은 행보行步를 멈추지 않는다.”고 말하는 것이다.
무릇 옛것을 중시하고 지금의 것을 낮추어보는 것은 학자 선생의 무리들이다.
게다가 태고의 성인 희위씨狶韋氏 무리들의 안목으로 지금의 세상을 보면, 도대체 누가 물결처럼 흔들리지 않을 수 있겠는가.
〈그러나 지인至人만은 예외이다〉 오직 지인至人이라야만 마침내 세상 안에서 유유자적 노닐면서도 사욕邪欲에 빠지지 아니하고 사람들의 장단에 맞추면서도 자기를 잃어버리지 않는다.
〈이와 같은 지인至人은〉 저 가르침을 일부러 배우지는 않았더라도 뜻을 잘 이어서 저 가르침을 다른 것으로 여기지 않은 것이다.


역주
역주1 人有能遊 且得不遊乎 人而不能遊 且得遊乎 : 어떤 사람이 구속되지 않고 자유로이 노닐 수 있는 능력이 있다면 그 사람이야 〈어떤 처지에 놓인들〉 노닐게 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그런데 어떤 사람이 노닐 수 있는 능력이 없다면 〈아무리 애쓴들〉 노닐게 할 수 있을 것인가. 많은 주석가들이 여기의 遊를 초기 道家 이래 지속되어온 ‘추상적인 遊’의 관념을 넘어선 것으로 보고 있다(褚伯秀, 羅勉道, 金谷治, 池田知久). 人有能遊는 아래 문장의 ‘至知厚德’, ‘至人’ 등의 사람을 염두에 둔 표현이고, 人而不能遊는 아래 문장의 ‘流遁之志 決絶之行’을 하는 사람을 염두에 둔 표현이다. 대의는 遊의 능력을 체득하기만 하면 세상의 內外에 관계없이 遊할 수 있다는 뜻. 그러므로 세상 안에서 도피하지 않고 遊해야만 한다는 주장이 담겨 있다. 池田知久는 郭象과 成玄英이 宿命論的 견해를 제시한 것은 부적당하다고 비판하면서 여기의 遊는 옛 타입의 遊, 곧 세상 밖으로의 초탈을 지향하는 타입에서 궤도를 수정한 것으로 풀이했는데 참고할 만하다. 且는 ‘도대체’. 여기까지를 莊子의 말로 보고 이하를 장자의 뜻을 부연한 것으로 보는 것이 成玄英의 풀이인데 우선 成玄英의 견해를 따르지만 金谷治의 주장처럼 전부를 장자의 말로 볼 수도 있다.
역주2 流遁之志 決絶之行 : 세상으로부터 도피하여 여기저기 유랑하려는 의지와 세상과의 관계를 끊고 고독한 생활을 영위하려는 행동. 流遁之志는 ‘세상으로부터 도피하는 의지’, 決絶之行은 ‘세상과의 인연을 끊는 행동’. 成玄英은 “방탕하게 이리저리 흘러 다니며 도망하고 은둔해서 돌아오지 않음이다[流蕩逐物 逃遯不反].”라고 풀이했고, 林希逸은 “세상과는 판연히 스스로 다르게 살려고 함이다[與世判然自異也].”라고 풀이했고, 阮毓崧은 “결연히 인간세상과 사절함을 말함이다[謂決然謝絶人間].”라고 풀이했는데 의미에 큰 차이는 없다.
역주3 其非至知厚德之任與 : 아마도 최고의 지혜와 두터운 덕성을 갖춘 사람이 할 일은 아닐 것임. ‘其~與’는 ‘아마도 ~일 것’으로 추정을 나타내는 표현. 林希逸에 의하면 任은 爲와 같다.
역주4 覆墜而不反 火馳而不顧 : 뒤집히고 굴러 떨어져도 돌아보려 하지 않고 불타오르듯 광분해도 돌아보려 하지 않음. 覆墜는 뒤집히고 굴러 떨어짐. 福永光司의 지적처럼 〈德充符〉편 제1장에 이미 나왔다. 〈德充符〉 ‘火馳’는 불타오르듯 광분한다는 뜻으로 〈天地〉편 제5장에서 許由가 齧缺을 비판하는 이야기 속에 이미 나왔다. 成玄英은 “물욕을 말달리듯 쫓아가는데 급하기가 타오르는 불길 같음이다[馳逐物情 急如煙火].”라고 풀이했다.
역주5 易世而無以相賤 : 세상이 바뀌면 〈신분이 낮은 사람이라고 해도〉 천시할 수 없을 것이다. 易世는 혁명이 일어나 세상이 바뀐다는 뜻. 곧 혁명이라도 일어나 세상이 바뀌면 신분이 낮은 사람도 천시할 수 없다는 뜻이다.
역주6 至人不留行焉 : 至上의 덕을 체득한 사람은 行步를 멈추지 않음. 지인은 일시적인 일 때문에 행보를 멈추지 않는다는 뜻. 池田知久는 不留行의 行은 ‘세속에 머물러 있으면서 자유로이 행동하는 것’, ‘무위자연의 행동’, ‘遊의 행동’을 의미한다고 했는데 참고할 만하다. 아울러 ‘至人은 자유의 광야를 활보한다.’고 풀이한 福永光司의 해석도 참고할 만하다. 한편 安東林은 王先謙의 《莊子集解》와 成玄英의 풀이를 근거로 삼아 “至人은 행적을 남기지 않는다.”는 뜻으로 해석했지만 취하지 않는다. 唐寫本에는 故曰의 ‘曰’字가 빠져 있다(池田知久).
역주7 尊古而卑今 學者之流也 : 옛것을 중시하고 지금의 것을 낮추어보는 것은 학자 선생의 무리들임. 流는 무리. 徒輩의 뜻. 郭象은 “옛것이라고 높일 것도 없고 지금의 것이라고 낮추어볼 것도 없다. 그런데 학자들이 옛것을 중시하고 지금의 것을 낮추어 본다면 근원을 잃어버리게 될 것이다[古無所尊 今無所卑 而學者尊古而卑今 失其原矣].”라고 풀이했다.
역주8 且以狶韋氏之流觀今之世 夫孰能不波 : 게다가 태고의 성인 狶韋氏 무리들의 안목으로 지금의 세상을 보면, 도대체 누가 물결처럼 흔들리지 않을 수 있겠는가. 且는 ‘게다가’. 여기의 流는 ‘一派의 안목’. 波는 물결처럼 요동친다는 뜻. 安東林은 “어느 누가 지금 세상에 순순히 따라가지 않겠는가.”라고 해석했는데 취하지 않는다. 狶韋氏는 고대의 제왕으로 〈大宗師〉편과 〈則陽〉편에 이미 나왔다. 成玄英은 “삼황 이전 시기의 帝號이다[三皇已前帝號也].”라고 풀이했다.
역주9 唯至人乃能遊於世而不僻 : 오직 至人이라야만 마침내 세상 안에서 유유자적 노닐면서도 邪欲에 빠지지 아니함. 唐寫本에는 ‘乃’字가 없다. 不僻은 邪欲에 빠지지 않음. 치우치지 아니함.
역주10 彼敎不學 承意不彼 : 저 가르침을 일부러 배우지는 않았더라도 뜻을 잘 이어서 저 가르침을 다른 것으로 여기지 않은 것임. 池田知久는 彼를 ‘장자’로 보았고, 福永光司와 金谷治는 세속의 學者로 보았다. 대부분의 주석가들이 모두 ‘세속의 학자들의 가르침’으로 보지만 장자로 보는 池田知久의 견해가 유력하다. 다만 장자를 직접 가리키는 말은 아니고 이 장 첫머리에 나오는 장자의 가르침을 지시한 것이다. 不學의 주어는 至人. 林希逸 현토본에는 ‘彼敎를 不學이나’로 되어 있는데 정확하게 현토한 것이다. 不彼는 ‘저것으로 하지 않음’의 뜻으로 결국 他者의 것으로 보지 않고 ‘자기 것’으로 체득했다는 뜻이다.

장자(4)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