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古文眞寶前集

고문진보전집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고문진보전집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李伯時畵圖
邢居實(敦夫)
山谷之弟黃知命 衣白衫하고 騎驢緣道하여 搖頭而歌어든 陳履常 負杖하고 挾囊于後하니 一市大驚이라 李伯時因畵爲圖하고 邢敦夫爲作長歌하니라
長安城頭烏欲棲하니
長安道上行人稀
浮雲卷盡暮天碧하니
但有明月流淸輝
君獨騎驢向何處
頭上倒白接䍦注+白接䍦 : 世說 接䍦 乃襴衫이요 非帽也라하니라
長吟搔首望明月하니

到得城中燈火鬧하니
小兒拍手攔街笑注+ 到得城中燈火鬧 小兒拍手攔街笑 : 事見襄陽歌하니라
道傍觀者那得知
相逢疑是
龍眠居士畵無比하니
搖毫弄筆長風起
酒酣閉目望窮途하니
紙上軒昻無乃似
君不學長安遊俠誇年少하여
臂鷹挾彈章臺道하고

君不能提携長劒取靈武하여
指揮猛士驅貔虎
胡爲脚踏하여
終日飄飄無定所
武陵桃源春欲暮하니
白水靑山起烟霧
竹杖芒鞋歸去來하니
頭巾好掛三花樹


李伯時의 그림을 보고 짓다
형거실(돈부)
黃山谷의 아우 黃知命(黃叔達)이 흰 적삼을 입고 나귀를 타고 길을 따라가면서 머리를 흔들며 노래하면 陳履常(陳師道)이 지팡이로 뒷짐을 지고서 뒤에 시 담는 주머니를 끼고 가니, 온 시장 사람들이 크게 놀랐다. 李伯時가 인하여 이것을 그려 그림으로 만들고 邢敦夫가 長歌를 지었다.
長安의 城 위에 까마귀 깃들려 하니
長安의 길가에는 행인이 적어라.
뜬구름 다 걷혀 저녁 하늘 푸른데
오직 밝은 달이 맑은 빛 흘리누나.
그대는 홀로 나귀 타고 어느 곳으로 향하는가.
머리 위에 흰 接䍦注+《世說新語》에 “接䍦는 바로 난삼이요 모자가 아니다.” 하였다. 뒤집어 쓰고 있네.
길게 읊고 머리 긁적이며 밝은 달 바라보니
山翁의 泥蟲처럼 취한 것 배우지 않았네.
성 안에 이르니 등잔불 요란한데
아이들 손뼉치며 길거리 막고 웃누나.注+이 내용은〈襄陽歌〉에 보인다.
길 옆에서 구경하는 자 어찌 이것을 알겠는가
서로 만남에 商山四皓인가 의심하네.
龍眠居士의 그림 솜씨는 견줄 이 없으니
털끝 흔들고 붓 희롱함에 긴 바람 일어난다오.
술에 취하여 눈 감고는 아득한 길 상상하니
종이 위에 나열함 그와 같지 않겠는가.
그대는 長安의 遊俠들 年少함 과시하여
팔뚝에 새매 올려 놓고 탄환 끼고 章臺의 길에서 노는 것 배우지 않고


그대는 長劍 차고 靈武 지방 취하여
猛士 지휘해 豼貅와 호랑이 몰아내듯 하지 않고는
어찌하여 다리로 梁宋 지방의 먼지 밟아
종일토록 표류하여 정처가 없는가.
武陵의 桃源에 봄 저물려 하니
맑은 물과 푸른 산에 烟霧 일어나네.
竹杖芒鞋로 돌아가서
頭巾을 세 꽃나무에 아름답게 걸어 놓으리라.
賞析
이 시는 李伯時가 그린 黃知命의 모습을 보고 읊은 것이다. 황지명은 黃庭堅의 아우로 세속에 얽매이지 않고 詩才가 있었던 인물인데, 그의 이러한 모습을 李伯時가 그림으로 그리고 邢居實이 시로 읊은 것이다.


역주
역주1 : 착
역주2 不學山翁醉似泥 : 山翁은 晉나라의 名士인 山簡을 이르며, 泥는 泥蟲으로 南海에 산다는 뼈없는 벌레인데 물에 있을 때에는 살아 움직이지만 물이 없는 곳에서는 진흙같이 된다고 한다.
역주3 商山皓 : 商山四皓를 가리키는 바, 商山은 중국 陝西省 商縣 동쪽에 있는 산이며, 사호는 秦나라 말기 상산에 은둔했던 네 노인으로 東園公ㆍ夏黃公ㆍ綺里季ㆍ甪里先生(녹리선생)을 이르는데, 나이가 80을 넘어 머리가 희었으므로 四皓라 칭하였다.《史記留侯世家》
역주4 梁宋塵 : 梁은 陝西省, 宋은 河南省에 있던 나라 이름으로 이들 지역을 가리킨다.
동영상 재생
1 이백시화도 627

고문진보전집 책은 2017.12.2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