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古文眞寶前集

고문진보전집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고문진보전집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雜詩
陶潛
秋菊有佳色하니
裛露掇其英이라
汎此하여
遠我遺世情이라
一觴雖獨進이나
盃盡壺自傾이라
日入群動息하니
歸鳥趨林鳴이라
嘯傲東軒下하니
聊復得此生이라注+ 嘯傲東軒下 聊復得此生 : 以無事自適으로 爲得此生이면 則見役於物者 非失此生耶


잡시
도잠
가을 국화 아름다운 빛이 있으니
이슬 머금은 꽃 따노라.
이것을 시름 잊게 하는 물건에 띄워
나의 세상 버린 情 멀리하네.
한 잔 술 비록 홀로 들지만
잔이 다하면 술병 스스로 기울인다오.
해 지자 모든 움직임 쉬니
돌아오는 새들 숲속으로 울며 날아오네.
東軒 아래에서 휘파람불며 노니
애오라지 이 삶을 얻었노라.注+일없이 스스로 즐거워하는 것을 이 삶을 얻은 것이라고 여긴다면 물건에 사역당하는 자는 이 삶을 잃은 것이 아니겠는가.
賞析
위의 〈雜詩〉두 수는 《文選》30권에는 본서와 같은 제목으로 실려 있지만 《陶靖節集》3권에는〈飮酒〉라는 제목으로 실려 있는 바, 〈飮酒〉시 20수 중 제5수와 제7수이다. 이 때문에 이 시는 일반적으로〈飮酒〉시로 본다. 도연명은 自序에서 “내가 한가로이 거처하여 즐거운 일이 없는데 밤도 벌써 길어졌다. 우연히 좋은 술이 있어 밤마다 마셨다.……취하고 나서 몇 구절을 지어 스스로 즐긴다.” 하였으니, 가을밤 술을 마신 뒤에 지은 것임을 알 수 있다. 이 시는 도연명의 수 많은 명편 중에서도 걸작으로 꼽히며, 특히 ‘採菊東籬下 悠然見南山’의 두 구는 人口에 膾炙되는 名句이다.
任守幹〈1665(현종 6)-1721(경종 1)〉의 《遯窩遺稿》에 이 시에 화답한 시 12首가 실려 있다.


역주
역주1 忘憂物 : 시름을 잊게 하는 물건이란 뜻으로 곧 술을 가리킨다.

고문진보전집 책은 2017.12.2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