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古文眞寶前集

고문진보전집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고문진보전집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三五七言
李白
秋風淸하고
秋月明이라
落葉聚還散이요
寒鴉栖復驚이라
相思相見知何日
此時此夜難爲情이라


삼오칠언
이백
가을 바람 시원하고
가을 달 밝구나
낙엽은 모였다 다시 흩어지고
갈가마귀는 나무에 깃들었다 다시 놀랜다오.
서로 그리워하며 서로 만날 날 언제일지 알겠는가
이때 이 밤의 심정 가누기 어려워라.
賞析
《李太白集》25권에 실려 있는 바, 달 밝은 가을밤에 벗을 그리는 마음이 잘 표현되어 있다. 삼오칠언은 詩體의 이름이고 제목이 아니다. 옛날에는 이러한 체가 없었는데, 이백의 創意에 의해 지어진 것으로 三言, 五言, 七言의 형식으로 차례차례 내려가며 二句가 對偶를 이룬다.
金世濂〈1593(선조 26)-1646(인조 24)〉의《東溟集》2권에 三五七言으로 지은 다음과 같은 시가 실려 있다.
“복숭아꽃은 붉고 오얏꽃은 흰데. 하늘 높으니 구름이 멀리 떠가고 해 지니 층층의 봉우리 저 멀리 보이네. 우선 한 잔 술로 봄바람에 취하고 홀로 깨어 있는 강담의 나그네 되지 마오.[桃花紅 李花白 天空雲海遠 日落層峰隔 且將樽酒醉春風 莫爲獨醒江潭客]”
이외에 林悌〈1549(명종 4)-1587(선조 20)〉의《林白湖集》1권, 申欽의《象村稿》20권, 朴世堂〈1629(인조 7)-1703(숙종 29)〉의《西溪集》3권, 趙泰采〈1660(현종 1)-1722(경종 2)〉의《二憂堂集》2권 등에도 삼오칠언의 형식을 따라 지은 시가 실려 있다.


동영상 재생
1 삼오칠언 207

고문진보전집 책은 2017.12.2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