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古文眞寶前集

고문진보전집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고문진보전집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塞上曲
黃庭堅(魯直)
十月北風燕草黃하니
燕人馬肥弓力强이라
虎皮裁鞍鵰羽箭으로
射殺山陰雙이라
靑氈帳高雪不濕하니
擊鼓傳觴令行急이라
半醉擁貂裘하니
昭君猶抱琵琶泣이라


새상곡
황정견(노직)
시월이라 北風에 燕땅의 풀 누렇게 시드니
燕땅 사람들 말 살찌고 활의 힘 강하다오.
호랑이 가죽 잘라 안장 만들고 독수리깃 단 화살로
山陰의 두 마리 흰 이리 쏘아 잡았네.
푸른 털방석 장막 높아 눈에 젖지 않으니
북치며 술잔 돌려 酒令을 급하게 행한다오.
오랑캐 임금 반쯤 취하여 초피 갖옷 끌어안으니
昭君은 아직도 비파 안고 울고 있네.
賞析
邊塞詩(변새시)는 주로 변방에 수자리간 征夫들의 괴로움, 고향과 처자에 대한 그리움을 읊은 것이 대부분인데, 이 시는 군사들의 사기를 북돋우는 내용으로 진취적인 것이 그 특징이다.
洪侃〈?-1304(충렬왕 30)〉의《洪厓遺稿》에 같은 제목으로 지은 시에 “양 치던 소무의 십년 한이요 오랑캐에게 항복한 장군의 천리 먼 고국 그리는 마음이네.[牧羊蘇武十年恨 降虜將軍千里思]”라는 시구가 보이며, 成俔의《虛白堂集》風雅錄 1권에도 같은 제목의 시가 보인다.


역주
역주1 白狼 : 흰 이리로, 犬戎에서 貢物로 바쳤는데 祥瑞로운 짐승으로 여겼다.
역주2 戎王 : 昭君의 남편인 匈奴의 單于(선우)를 이른다.
동영상 재생
1 새상곡 510

고문진보전집 책은 2017.12.2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