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古文眞寶前集

고문진보전집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고문진보전집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薄薄酒
蘇軾
兩章 此選其首章이라
薄薄酒勝이요
粗粗布勝無裳이요
醜妻惡妾勝空房이라
五更待漏靴滿霜
不如三伏日高睡足北窓凉이요
珠襦玉匣萬人祖送歸北邙
不如獨坐負朝陽이라
등에 쬐는 것만 못하다오.
生前富貴死後文章이나
百年瞬息萬世忙이라
하니
不如眼前一醉하여
是非憂樂都兩忘이라


맛없는 술
소식
두 章 중에 이것은 첫째 章을 뽑은 것이다.
맛없는 술도 茶湯보다는 낫고
거친 삼베옷도 치마가 없는 것보다는 낫고
추악한 妻妾도 空房보다는 낫다네.
五更에 시간 기다리느라 신에 서리 가득한 것이
三伏에 해 높이 솟도록 시원한 북쪽 창 아래에서 실컷 자는 것만 못하고
구슬로 만든 壽衣와 옥으로 만든 棺속에 萬人들
路祭 지내며 전송하여 北邙山으로 돌아가는 것이
메추라기처럼 다 해진 옷 입고 홀로 앉아 아침 햇볕
生前엔 부귀요 死後엔 문장이라지만
百年이 순식간이요 萬世 바삐 지나가네.
伯夷 叔齊와 盜跖 모두 허무하니
눈앞에 한번 취하여
是非와 憂樂 모두 잊는 것만 못하다오.
賞析
이 시는《蘇東坡集》3책 7권에 실려 있는〈薄薄酒〉시 2수 중 첫째수이다. 東坡가 42세 때인 熙寧 9년(1076) 6월 密州에서 지은 것으로, 밀주의 鄕貢進士인 趙明叔(名 杲卿)의 말을 소재로 그 뜻을 미루어 樂府體로 지은 것이다. 동파의 自註에 “膠西의 조명숙 선생은 집이 가난하였는데, 술을 좋아하여 종류를 따지지 않고 취하도록 마시고는 항상 말하기를 ‘맛없는 술도 茶湯보다는 낫고, 못생긴 아내라도 공방보다는 낫다’고 하였다. 그의 말이 비록 비속하지만 통달한 말인 듯하다. 그러므로 그 뜻을 미루어 東州의 樂府에 보탰으나 또 미흡하게 여겨 다시 스스로 한 편을 지어 화답해서 그런 대로 보는 자의 一笑를 자아내고자 한다.[膠西先生趙明叔 家貧好飮 不擇酒而醉 常云 薄薄酒勝茶湯 醜醜婦勝空房 其言雖俚而近乎達 故推而廣之 以補東州之樂府 旣又以爲未也 復自和一篇 聊以發覽者之一噱云爾]” 하였다.
薄薄酒를 소재로 하여 지은 시가 徐居正〈1420(세종 2)-1488(성종 19)〉의《四佳集》 詩集 28권과 權擘〈1520(중종 15)-1593(선조 26)〉의《習齋集》1권에도 실려 있다.


역주
역주1 茶湯 : 茶와 湯, 또는 찻물을 이른다.
역주2 懸鶉百結 : 懸鶉은 옷이 다 해져 누덕누덕 기운 것이 메추라기를 매단 것과 같은 것이고 百結은 옷을 백 군데나 기운 것이다.
역주3 夷齊盜跖俱亡羊 : 伯夷와 叔齊는 형제간으로 옛날 孤竹國 군주의 아들인데 不義한 周나라 곡식을 먹지 않겠다면서 首陽山에 들어가 고사리를 캐어 먹다가 굶주려 죽었고, 盜跖은 고대의 大盜로 柳下惠의 아우라는 설이 있다. ‘亡羊’은 양을 잃는 것으로 인생의 덧없음을 비유한 것으로,《莊子》〈騈拇〉에 “臧과 穀 두 종이 양을 치다가 장은 독서에 정신이 팔려 양을 잃고 곡은 노름에 정신이 팔려 양을 잃었다.” 한 고사에서 유래한 것이다.
동영상 재생
1 박박주 498

고문진보전집 책은 2017.12.2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