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古文眞寶前集

고문진보전집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고문진보전집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明妃曲和王介甫
歐陽修
胡人
以鞍馬爲家射獵爲俗하니
泉甘草美無常處하여
鳥驚獸駭爭馳逐이라
誰將漢女嫁胡兒
風沙無情面如玉이라
身行不遇中國人하니
馬上自作이라
推手爲琵却手琶하니
胡人共聽亦咨嗟
玉顔流落死天涯하나
琵琶却傳來漢家
漢宮爭按新聲譜하니
遺恨已深聲更苦
纖纖女手生洞房하여
學得琵琶不下堂이라
不識黃雲出塞路하니
豈知此聲能斷腸


明妃曲을 지어 王介甫에게 화답하다
구양수
오랑캐들은
안장한 말 집 삼고 활쏘기와 사냥을 풍속 삼으니
샘물 달고 풀 아름다운 곳 찾아 일정한 곳 없어
새 놀라고 짐승 놀라니 다투어 달려가 쫓는다오.
누가 漢나라 여인 오랑캐에게 시집보냈는가
바람에 날리는 모래 무정하게 白玉같은 얼굴 때렸네.
이 몸이 가면 中國 사람 만나지 못하니
말 위에서 스스로 돌아가고픈 곡조 지었다오.
손을 밀면 琵가 되고 손을 당기면 琶가 되니
오랑캐들도 함께 듣고 또한 한탄하였네.
白玉같은 얼굴로 天涯 멀리 流落하다 죽었으나
비파곡 전하여 漢나라로 들어왔네.
漢나라 궁중에서는 다투어 樂譜 맞추어 연주하니
遺恨 이미 깊어 소리가 더욱 애처로워라.
곱고 고운 여인의 손 깊은 골방에서 자라
비파만 배우며 堂에서 내려오지 않았네.
黃雲 이는 변방길로 나갈 줄 몰랐으니
이 비파 소리 애끊을 줄 어이 알았으랴.
賞析
이 시는 왕안석의 명비곡 제2수에 화답한 것으로《歐陽文忠公集》8권에 실려 있는바, 王昭君이 漢나라 궁궐을 그리워하여 지은 琵琶曲인〈昭君怨〉을 중심으로 하여 왕소군의 비극을 노래하였다.


역주
역주1 思歸曲 : 고향으로 돌아가고픈 생각을 담은 곡으로 비파곡인〈昭君怨〉을 가리킨다.
동영상 재생
1 명비곡화왕개보 565

고문진보전집 책은 2017.12.2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