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古文眞寶前集

고문진보전집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고문진보전집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茅屋爲秋風所破歌
杜甫
借物喩變하니 深有感傷이라
八月秋高風怒號하여
卷我屋上三重茅
茅飛渡江洒江郊하니
高者掛罥長林梢하고
下者飄轉沈塘坳
南村群童欺我老無力하여
忍能對面爲盜賊이라
公然抱茅入竹去하니
脣燋口燥呼不得하여
歸來倚杖自歎息이라
俄頃風定雲黑色하니
秋天漠漠向昏黑이라
布衾多年冷似鐵인데
嬌兒惡臥踏裏裂이라
床床屋漏無乾處하니
雨脚如麻未斷絶이라
自經喪亂少睡眠하니
長夜沾濕何由徹
安得廣廈千萬間하여
大庇天下寒士俱歡顔으로
風雨不動安如山
嗚呼何時眼前突兀見此屋
吾廬獨破受凍死亦足이로다


초가집이 가을바람에 무너진 것에 대한 노래
두보
사물을 빌어 변고를 비유하였으니, 깊이 느껴 슬퍼하는 뜻이 있다.
八月이라 가을이 깊고 바람 사납게 불어
우리 지붕의 三重 이엉 말아 올렸네.
이엉이 날아가 강을 건너 강가에 뿌려지니
높은 것은 긴 숲의 나뭇가지 위에 걸렸고
낮은 것은 바람에 나부껴 돌다가 웅덩이에 빠졌다오.
南村의 아이들 나의 늙고 힘 없음 업신여기고는
차마 대면하고서 도적질하네.
공공연히 이엉 안고 대숲으로 들어가니
입술이 타고 입이 말라 소리칠 수 없어
돌아와 지팡이에 의지해 스스로 한탄하네.
잠시 후 바람은 멎고 구름은 흑빛이니
가을 하늘 막막하게 저녁 향해 어두워지네.
삼베 이불 여러 해 되어 쇠처럼 차가운데
예쁜 아이 잠버릇 나빠 속을 밟아 찢었다오.
床마다 지붕 새어 마른 곳 없는데
빗줄기는 삼대처럼 내려 끊이지 않누나.
난리 겪은 뒤로 잠이 적어지니
긴긴 밤 축축히 젖어 어이 밤을 샐는지.
어이하면 너른 집 천만 칸 얻어
천하에 가난한 선비들 크게 비호하여 모두 즐거운 얼굴로
風雨에도 움직이지 않고 산처럼 편안히 있을런가.
아! 어느 때에나 눈앞에 우뚝히 이러한 집 볼는지
내 집만 유독 부서져 얼어 죽더라도 만족하리라.
賞析
이 시는《杜少陵集》10권에 실려 있다. 上元 2년(761) 봄에 두보가 成都 浣花溪에 茅屋을 짓고 거처하였는데, 8월에 갑자기 폭우가 쏟아지고 바람이 세차게 불어 지붕이 날아갔다. 이에 밤새도록 잠을 못 이루고 근심하는 모습을 표현하였다. 시에서의 표현은 두보 일개인의 고난이 아니라 천하의 빈한한 선비들의 고통을 대변한 것이라고 볼 수 있으니, 여기에서 두보의 憂國愛民의 충정을 엿볼 수 있다.


동영상 재생
1 모옥위추풍소파가 792

고문진보전집 책은 2017.12.2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