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古文眞寶前集

고문진보전집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고문진보전집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廬山高
歐陽修(永叔)
劉中允 字凝之 與歐陽公同年이라 爲潁上令이라가 棄官歸하여 徙居廬山之陽한대 歐公 高其節하여 賦廬山高以美之하니라
高哉幾千仞兮
根盤幾百里하여
嶻然屹立乎長江이라
長江西來走其下하니
是爲揚瀾
洪濤巨浪 日夕相舂撞이라
雲消風止水鏡淨하니
泊舟登岸而遠望兮
上摩靑蒼以晻靄
下壓后土之鴻龐이라
試往造乎其間兮
攀緣石磴窺空谾이라
千巖萬壑響松檜
懸崖巨石飛流淙이라
水聲聒聒亂人耳하니
六月飛雪灑石矼이라
仙翁釋子亦往往而逢兮
吾嘗惡其學幻而言哤이라
但見丹霞翠壁遠近映樓閣이요
晨鐘暮鼓杳靄羅旛幢이라
幽花野草不知其名兮
風吹霧濕香澗谷하고
時有白鶴飛來雙이라
幽尋遠去不可極하니
便欲絶世遺紛厖이라
羨君買田築室老其下하니
揷秧盈疇兮釀酒盈缸이라
欲令浮嵐曖翠千萬狀으로
坐臥常對乎軒窓이라
君懷磊砢有至寶
世俗不辨珉與玒이라
策名爲吏二十載
靑衫白首困一邦이라
寵榮聲利不可以苟屈兮

丈夫壯節似君少하니
嗟我欲說安得巨筆如長杠


여산의 높음을 읊다
구양수(영숙)
劉中允은 자가 응지이니 歐陽公과 同榜及第하였다. 영상령이 되었다가 벼슬을 버리고 돌아가 廬山 남쪽으로 옮겨가 거하니, 구양공이 그 절개를 고상하게 여겨 여산고를 지어서 찬미하였다.
廬山의 높음이여! 몇 천길이나 되는가
산기슭은 몇 백리에 서려있어
절연히 우뚝 長江 곁에 서 있네.
長江이 서쪽에서 흘러 그 아래로 달려오니
이것이 물결 일렁거리는 左里가 되어
큰 파도와 물결 밤낮으로 서로 부딪친다오.
구름 사라지고 바람 멈추자 물결 거울처럼 깨끗한데
배를 대고 언덕에 올라 멀리 바라보니
위로는 푸른 하늘에 닿아 아득하고
아래로는 크고 두터운 后土 누르고 있누나.
한번 그 사이에 나아감이여
바위 부여잡고 올라가 빈 골짝 엿보았네.
천 바위와 만 골짜기에 소나무 소리 들리고
공중에 매달린 절벽과 큰 바위엔 물이 날아 흐르네.
물소리 요란하여 사람의 귀 어지럽히니
유월에도 눈발처럼 물보라 돌다리에 뿌려지네.
신선 노인과 승려들 또한 간간이 만나지만
내 그들의 학문 허황되고 말이 잡됨 싫어하노라.
다만 보이는 것은 붉은 노을과 푸른 절벽 멀고 가까이 누각에 비추고
새벽 종소리와 저녁 북소리에 깃발이 벌여 있네.
이름 알 수 없는 그윽한 꽃과 들풀들
바람 불고 이슬 젖으니 골짜기 향기롭고
때로 白鶴이 쌍으로 날아온다오.
그윽함 찾아 멀리 가나 다할 수 없으니
곧 세속을 단절하여 紛厖함 잊고자 하노라.
부러워라 그대 밭사고 집지어 그 아래에서 늙으니
모 꽂아 밭두둑에 가득하고 술빚어 항아리에 가득하네.
떠있는 아지랑이와 희미한 푸른 빛의 온갖 모양들
앉으나 누우나 항상 창가에 마주하려 한다오.
그대의 회포 우뚝하여 지극한 보배 지녔으나
세속에서는 옥돌과 옥 분별하지 못한다오.
이름을 籍에 올려 관리된 지 이십 년에
푸른 적삼에 흰 머리로 한 고을에 곤궁하네.
영광과 명성과 이익에 구차히 굽힐 수 없음이여!
자연 푸른 구름과 흰 돌에 깊은 취미 있지 않다면
그 뜻의 불평함 어떻게 내려앉았겠나.
大丈夫의 큰 志節 그대와 같은 이 적으니
아! 내 이것 말하고자 하나 어찌 긴 깃대 같은 큰 붓 얻겠는가.
賞析
《歐陽永叔集》2책 5권에 실려 있는 바, 皇祐 3년(1051)에 지은 것이다.《詩林廣 記》後集1권에는 제목이〈여산고를 지어 동년 유응지가 남강으로 돌아갈 때에 주다[廬山高贈同年劉凝之歸南康]〉로 되어 있다. 劉凝之는 이름이 渙이며 凝之는 그의 자이다. 그는 절조가 높아 時俗에 굴하지 않고 廬山 落星渚에 은거하였는데, 歐陽修가 南康으로 돌아가는 그에게 시를 지어 준 것이다.
黃俊良1517〈(중종 12)-1563(명종 18)〉의《錦溪集》外集 4권에〈龍山高〉라는 제목의 시가 실려 있는데, 이는 구양수의〈廬山高〉를 본떠서 聾巖 李相公의 生日을 祝壽한 내용이다.


역주
역주1 廬山 : 지금의 江西省 九江縣에 있는 名山으로 경관이 빼어나고 폭포가 유명하다. 李德弘의《艮齋集》續集 4권에 “廬山은 江東道 南江軍 북쪽에 있는데, 큰 강(양자강)이 그 서쪽을 경유하고 彭蠡湖가 그 동남쪽에 있으며, 豫章과 潯陽은 모두 그 옆에 있다.” 하였다.
역주2 左里 : 호수 이름으로, 혹은 左蠡라고도 한다. 그 곁에 左蠡山이 있는데 彭蠡湖 왼쪽에 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며 그 아래가 左里이다.
역주3 自非靑雲白石有深趣 其意矹硉何由降 : 李德弘은 “이 사람이 강직하여 세상에 굽히지 않고 오직 靑雲과 白石에 깊은 취미가 있어 그 마음이 비로소 가라앉아 즐거워한다. 이 밖에는 비록 千駟와 萬鍾이라도 만일 털끝만큼의 의롭지 않은 것이 있으면 그 기개가 호방하여 맞설 것이니, 어찌 굽혀서 따르겠는가.” 하였다.

고문진보전집 책은 2017.12.2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