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古文眞寶前集

고문진보전집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고문진보전집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嘲王歷陽不肯飮酒
李白
地白風色寒하니
雪花大如手
陶淵明
不飮盃中酒

浪撫一張琴하고
虛栽五株柳
空負頭上巾하니
注+ 吾於爾何有 : 語 何有於我哉리오하니라 太白 謂旣不飮酒 則虛負張琴五柳與葛巾耳


술마시기를 좋아하지 않는 王歷陽을 조롱하다
이백
땅은 희고 바람 기운 차가운데
눈꽃 크기 손바닥만 하네.
陶淵明이
잔의 술 마시지 않는 것 참 우습구려.
부질없이 거문고 하나 어루만지고
헛되이 버드나무 다섯 그루 심어 놓았네.
부질없이 머리 위의 頭巾 저버리니
내 그대에게 어쩌겠나.注+《論語》에 “무엇이 나에게 있는가” 하였다. 李太白이 이르기를 “이미 술을 마시지 못하면 거문고 한 개와 버드나무 다섯 그루와 갈건을 헛되이 저버리는 것이다.” 하였다.
賞析
이 시는《李太白集》23권에 실려 있다. 王歷陽이 누구인지는 분명히 알 수 없다. 다만 《唐書》 〈地理志〉에 “和州 歷陽郡에 歷陽縣이 있다.”고 하였으니, 왕역양은 歷陽縣令으로 王氏姓을 가진 이백의 친구인 듯하다. 시에 나오는 浪, 虛, 空 세 글자는 모두 왕역양이 술을 마시려 하지 않음을 조롱해서 한 말이다.
趙任道〈1585(선조 18)-1664(현종 5)〉의 《澗松集》2권에 ‘舟中에서 道夫와 술을 권하며 서로 해학을 하였는데, 道夫가 술을 마시려고 하지 않으므로 희롱하여 지었다’는 한 絶句가 보인다.
“忘憂亭 위에 사람은 이미 떠났고 망우정 아래에 물만 부질없이 흘러가네. 세상을 피해 신선을 배웠지만 오히려 이와 같으니 그대 지금 취하지 않고 무엇을 구하려 하는가.[忘憂亭上人已去 忘憂亭下水空流 逃世學仙猶若是 君今不醉欲何求]”


역주
역주1 笑殺(쇄)陶淵明 不飮盃中酒 : 殺(쇄)는 煞로도 쓰는 바 ‘매우’라는 뜻이다. 이는 陶淵明을 王歷陽에게 비유한 것이다.
역주2 : 쇄
역주3 吾於爾何有 : 金隆의 《勿巖集》4권에 “술을 마시지 않고 부질없이 머리 위의 頭巾을 저버리니 내 그대에게 어쩌겠냐고 말한 것이니, 어찌할 수 없음을 이른다.” 하였다. 옛날 陶淵明은 삼베 두건을 쓰고 다니다가 술을 빚은 항아리를 만나면 두건으로 술을 걸러 마셨다고 하므로 ‘머리 위의 두건을 저버렸다’고 말한 것이다.
동영상 재생
1 조왕력양불긍음주 227

고문진보전집 책은 2017.12.2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