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古文眞寶前集

고문진보전집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고문진보전집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將進酒
李白(太白)
君不見黃河之水天上來하여
奔流到海不復廻
又不見高堂明鏡悲白髮하여
朝如靑絲暮如雪이라
人生得意須盡歡이니
莫把金樽空對月하라
天生我材必有用이니
千金散盡還復來
烹羔宰牛且爲樂이니
會須

與君歌一曲하니
請君爲我聽하라
不足貴
但願長醉不願醒이라
古來賢達皆寂寞호되
惟有飮者留其名이라
할새
恣歡謔이라
主人何爲言少錢
且須沽酒對君酌이라

呼兒將出換美酒하여
與爾同銷萬古愁


술을 올리려 하다
이백(태백)
그대는 보지 못하였는가 黃河의 물이 天上에서 와서
달려가 바다에 이르면 다시 돌아오지 못하는 것을.
또 보지 못하였는가 高堂의 거울에 白髮 슬퍼하여
아침에는 푸른 실 같다가 저녁이면 눈처럼 흰 것을.
인생이 뜻을 얻으면 모름지기 실컷 즐길 것이니
금술잔 잡고 부질없이 달을 대하지 말라.
하늘이 나를 낳음 반드시 쓸 데가 있어서이니
千金을 모두 흩으면 다시 돌아온다네.
염소 삶고 소 잡아 우선 즐거워할 것이니
응당 모름지기 한 번에 삼백 잔은 마셔야 한다오.
岑夫子와 丹丘生아!
그대와 한 곡조 노래하리니
그대는 나 위해 귀 기울여 들으라.
鍾鼎과 玉帛도 귀할 것 없으니
다만 항상 취하여 깨기를 원하지 않노라.
고래로 어진이와 통달한 이 모두 적막하나
오직 술 마신 자만이 이름 남겼어라.
陳王이 옛날 平樂觀에서 잔치할 때에는
한 말 술에 萬錢 주고 실컷 즐기고 농담하였다오.
主人은 어이하여 돈이 적다고 말하는가
우선 술을 받아다 그대와 대작하리라.
五花馬와 千金의 갖옷
아이 불러내다가 좋은 술과 바꾸어
그대와 萬古의 시름 잊어보세.
賞析
《李太白集》3권에 실려 있다.〈將進酒〉는 漢나라 短簫鐃歌 22曲 중의 하나로, 李白이 樂府體을 모방하여 지은 것이다. 이 시는 술 마시는 흥취를 표현하였는데, 이백이 재능을 품고 있으면서도 인정받지 못하는 불만을 술로써 위안하는 내용이다.
李奎報〈1168(의종 22)-1241(고종 28)〉의《東國李相國集》16권에〈續將進酒歌〉라는 제목의 시가 실려 있는데, 그 序文에 이르기를, “李賀의〈장진주〉시에 ‘술은 劉伶의 무덤 위 흙에는 이르지 않나니’라고 하였으니, 이는 진실로 道를 통달한 말이다. 그래서 그 뜻을 넓혀서〈續將進酒〉라고 명명하였다.”라고 하였다. 그 시의 내용 역시 이 시와 마찬가지로 及時行樂의 의미가 있으므로 아래에 소개한다.
“술잔 속의 쪽빛술에 말하노니 백년 동안 서로 만남 싫어하지 말게나. 검은 머리 붉은 얼굴 그 얼마나 유지되나. 약하디 약한 이내몸 아침 이슬 같다네. 하루아침에 죽어 소나무 아래 묻히면 만고토록 그 누가 돌아보리오. 기약하지 않아도 잡초와 쑥대 자라나고 부르지 않아도 여우와 토끼들 온다네. 술이 비록 평소 수중의 물건이었으나 어찌 한번 와서 내게 술 한 잔 부어주겠는가. 달인이여! 달인이여! 劉伯倫은 술병 차고서 길이 취하여 쓰러졌네. 그대 나의 말을 따라 술마시는 것 사양하지 마오. 술은 劉伶의 무덤 위 흙에는 이르지 않나니.[寄語杯中藍色酒 百年莫厭相逢遇 綠髮朱顔能幾時 此身危脆如朝露 一朝去作松下墳 千古萬古何人顧 不期而生蒿與蓬 不速而至狐與兎 酒雖平生手上物 爭肯一來霑我味 達哉達哉劉伯倫 載酒自隨長醉倒 請君聽此莫辭飮 酒不到劉伶墳上土]”
이외에도 金麟厚〈1510(중종 5)-1560(명종 15)〉의《河西全集》4권에도 李賀의 이 시에 次韻한 시가 실려 있으며, 그밖에 成俔〈1439(세종 21)-1504(연산군 10)〉의《虛白堂集》風雅錄 2권과 申欽〈1566(명종 21)-1628(인조 6)〉의《象村稿》3권에도 이와 유사한 내용의 시가 실려 있다.


역주
역주1 一飮三百杯 : 《世說新語》의 注에 “〈鄭玄列傳〉에 ‘袁紹가 鄭玄을 불렀는데 떠날 무렵 그를 성 동쪽에서 餞別하면서 반드시 취하게 하려 하였다. 모인 사람들이 3백여명이었는데 모두 아침부터 저녁까지 차례로 잔을 올리니, 정현은 3백여 잔을 마셨으나 온화하고 참을성 있는 용모를 온종일 유지하였다. 이에 陳暄이 형의 아들인 秀에게 편지를 보내면서 鄭康成은 ‘一飮三百杯’라고 했다.” 하였다. 康成은 鄭玄의 자이다.
역주2 岑夫子丹丘生 : 잠부자는 岑勛(잠훈)이고 단구생은 元丹丘를 가리킨 것으로 당시에 李白이 이들과 함께 모였으므로 말한 것이다.
역주3 鍾鼎玉帛 : 부귀하고 호화로운 생활을 비유한다. 鍾鼎은 鍾鳴鼎食의 줄임말로 식사 때 종을 울려 식솔들을 모으고 寶鼎에 음식을 진열하여 먹는 것을 이르며, 玉帛은 옥과 비단으로 財富를 뜻한다.
역주4 陳王昔日宴平樂 : 陳王은 曹操의 셋째 아들인 曹植으로 진왕에 봉해지고 시호를 思王이라 하였다. 平樂은 鄴땅에 있는 樓觀의 이름이다.
역주5 斗酒十千 : 술 한 말의 값이 萬錢이나 나가는 좋은 술로, 魏나라의 陳思王 曹植이 平樂觀에서 연회를 베풀 때 이런 술을 썼다고 한다.
역주6 五花馬千金裘 : 五花馬는 말의 털빛이 오색 무늬를 띤 것이라 하며, 一說에는 말의 갈기를 잘라 다섯 갈래로 땋아 장식한 말이라 하는데, 唐나라 사람들이 이런 말 장식을 좋아하였다 한다. 千金裘는《史記》〈孟嘗君傳〉에 맹상군이 “흰여우 갖옷 한 벌을 가지고 있었는데 실로 값이 천금이요 천하에 견줄 것이 없었다.” 라고 하였다. 五花馬와 千金裘는 모두 진귀한 물건을 의미한다.
동영상 재생
1 장진주 673
동영상 재생
2 장진주 208

고문진보전집 책은 2017.12.2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