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孔子家語(1)

공자가어(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공자가어(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子夏侍坐於孔子曰 敢問詩云 愷悌君子 民之父母라하니 何如라야 斯可謂民之父母니잇고
孔子曰 夫民之父母 必達於禮樂之源하여 以致五至而行三無하여
以橫於天下하여 四方有敗 必先知之하나니 此之謂民之父母니라
子夏曰 敢問何謂五至니잇고 孔子曰 志之所至 詩亦至焉하고 詩之所至 禮亦至焉하고
禮之所至 樂亦至焉하고 樂之所至 哀亦至焉이라 詩禮相成하고 哀樂相生하나니
是以正明目而視之라도 不可得而見하고 傾耳而聽之라도 不可得而聞하며 志氣塞于天地하고 行之克于四海하나니 此之謂五至矣니라
子貢曰 敢問何謂三無니잇고 孔子曰 無聲之樂 無體之禮 無服之喪 此之謂三無니라
子夏曰 敢問三無 何詩近之잇고 孔子曰 夙夜基命宥密 無聲之樂也注+夙夜 恭也 始也 信也 寬也 寧也行與民信하여 在寬하면 民以安寧이라 故謂之無聲之樂也
威儀逮逮 不可選也 無體之禮也 凡民有喪 扶伏救之 無服之喪也니라


자하가 공자를 모시고 앉아 물었다. “감히 묻습니다. ≪詩經≫에 라고 하였는데, 어떻게 해야 백성의 부모라고 할 수 있습니까?”
공자가 대답하였다. “백성의 부모는 반드시 의 근원에 통달하여 五至를 이루고 三無를 행하여
이것을 천하에 시행하여 사방에 재앙의 조짐이 있으면 반드시 먼저 안다. 이것을 백성의 부모라고 한다.”
자하가 물었다. “감히 묻습니다. 무엇을 五至라고 합니까?” 공자가 대답하였다. “가 이르는 바에 또한 이르고, 시가 이르는 바에 또한 이르고,
예가 이르는 바에 음악 또한 이르고, 음악이 이르는 바에 슬픔 또한 이른다. 그리하여 시와 예가 서로 이루어 주고, 슬픔과 즐거움이 서로 생긴다.
이 때문에 바로 눈을 크게 뜨고 보아도 볼 수 없고 귀를 기울여 들어도 들을 수 없으며, 天地에 가득차고 행하는 것이 四海에까지 미친다. 이것을 오지라고 한다.”
자공이 물었다. “감히 묻습니다. 무엇을 三無라고 합니까?” 공자가 대답하였다. “소리가 없는 음악과 형체가 없는 예와 이 없는 , 이것을 삼무라고 한다.”
자하가 물었다. “감히 묻습니다. 삼무는 어떤 시가 여기에 가깝습니까?” 공자가 대답하였다. “라는 말은 소리가 없는 음악이고,注+밤낮으로 한다는 것은 공경한다는 뜻이다. 는 시작한다는 뜻이다. 信義라는 뜻이다. 는 관대하다는 뜻이다. 은 편안하다는 뜻이다. 자신이 백성과 함께 신의를 행하여 왕의 가르침을 너그럽게 베풀면 백성들이 이것으로 편안해하기 때문에 소리가 없는 음악이라고 이른 것임을 말한 것이다.
라는 말은 형체가 없는 예이고, 라는 말은 이 없는 이다.”


역주
역주1 27-4 : 이 부분은 四部叢刊本을 저본으로 하였다.
역주2 화락한……부모로다 : ≪詩經≫ 〈大雅 泂酌〉에 보인다.
역주3 밤낮으로……한다 : ≪詩經≫ 〈周頌 昊天有成命〉에 보인다.
역주4 威儀가……없다 : ≪詩經≫ 〈邶風 柏舟〉에 보인다. ≪詩經≫에는 ‘逮逮’가 ‘棣棣’로 되어 있다.
역주5 백성들에게……준다 : ≪詩經≫ 〈邶風 谷風〉에 보인다. ≪詩經≫에는 ‘扶伏’이 ‘匍匐’으로 되어 있다.
역주6 (以)[己] : 저본에는 ‘以’로 되어 있으나, 四庫全書本에 의거하여 ‘己’로 바로잡았다.
역주7 王敎 : 四庫全書本에는 ‘五敎’라고 되어 있다.

공자가어(1) 책은 2020.12.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