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孔子家語(2)

공자가어(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공자가어(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孔子曰 管仲 鏤簋而朱紘注+ 祭器 刻而飾之也 朱紘 天子冕之紘이라하며 旅樹而反坫注+ 施也 屛也 天子外屛이요 諸侯內屛이라 反坫 在兩楹之間하여 人君好會 獻酢禮畢하고 反爵於其上이라하며 山節藻梲注+ 栭也 刻爲山雲이요 梁上短柱 畫藻文也하니 賢大夫也 而難爲上注+管仲 賢大夫也 難於爲上이라이요
晏平仲 祀其先祖 而豚肩不揜豆注+祭祀 惟用豚肩이로대 不揜所盛之豆하며 一狐裘三十年注+衣一狐裘三十年不換이라하니 賢大夫也 而難爲下注+晏子 亦賢大夫 難於爲下
君子 上不僭下注+居上位 不僭下하고 下不偪上注+在下位 不陵上이라하니라


42-7 管仲(궤)에 조각하고 朱紘(주굉)을 썼으며,注+는 제기이고 는 새겨 꾸미는 것이다. 朱紘은 천자가 쓰는 면류관의 끈이다. 병풍을 설치하고 反坫을 두었으며,注+는 설치하는 것이고 는 병풍이니, 反坫은 두 기둥 사이에 있는 것으로, 군주끼리 우호를 다질 때 술을 올리는 예를 마친 다음 그 위에 술잔을 도로 갖다 놓는 받침대이다. 기둥머리 斗拱에는 산 모양을 새기고 들보 위 동자기둥에는 마름을 그렸으니,注+은 두공이니 산과 구름 모양을 새기고, 은 들보 위 동자기둥이니 마름 문양을 그린다. 어진 대부이지만 注+관중은 어진 대부이지만 그 윗사람은 견디기 어렵다는 것이다.
管仲管仲
晏平仲은 선조를 제사 지낼 때에 제기를 덮지 않을 만큼의 작은 돼지 어깨를 사용하였고注+제사에는 돼지 어깨만 사용하는데 담는 제기를 덮지 않은 것이다. 여우 갖옷 한 벌을 30년 동안 입었으니,注+여우 갖옷 한 벌로 30년 동안 바꾸지 않고 입은 것이다. 어진 대부이지만 注+晏子 또한 어진 대부이지만 그 아랫사람은 견디기 어렵다는 것이다.
군자는 윗자리에 있을 때에는 아랫사람을 참람하게 대하지 않고注+윗자리에 있을 때에는 아랫사람을 참람하게 대하지 않는 것이다. 아랫자리에 있을 때에는 윗사람을 능멸하지 않는다.”
注+아랫자리에 있을 때에는 윗사람을 능멸하지 않는 것이다.


역주
역주1 공자가 말하였다 : 이 부분은 “管仲은 너무 사치하고 晏子는 너무 검소한 잘못이 있는데 그중에서 누가 더 낫습니까?”라는 자공의 질문에 공자가 답한 말이다.(≪孔子家語≫ 四部叢刊本)
역주2 천자는……內屛이다 : ≪禮記正義≫ 〈曲禮 上〉에 “천자는 外屛이니 屛이 路門 밖에 있고, 제후는 內屛이니 屛이 노문 안에 있다.”라고 하였다.
역주3 그……것이다 : 천자나 제후만이 할 수 있는 것들을 관중이 참람하게 하였기 때문에 이렇게 말한 것이다. ≪禮記≫ 〈禮器〉에 “군자가 〈관중에 대해서〉 참람하다고 평가하였다.[君子以爲濫矣]”라고 하였다.
역주4 그……것이다 : 안평중이 자신이 하던 것처럼 아랫사람들에게 그렇게 하도록 강요하였기 때문에 이렇게 말한 것이다. ≪禮記≫ 〈禮器〉에 “군자가 〈안평중에 대해서〉 속이 좁다고 평가하였다.[君子以爲隘矣]”라고 하였다.
역주5 군자는……않는다 : 이 부분은 ≪禮記≫ 〈雜記 下〉에 “군자는 위로는 윗사람이 하는 일을 참람하게 하지 않고, 아래로는 아랫사람을 핍박하지 않는다.[君子上不僭上 下不偪下]”라고 되어 있다.

공자가어(2) 책은 2020.11.3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