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孔子家語(2)

공자가어(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공자가어(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啓聖公孔叔梁紇 英廡侯曾點注+子皙이라 泗水侯孔鯉注+伯魚 曲阜侯顔無繇注+季路 ○唐本弟子解 作顔繇 孔子始敎學於闕里할새 受學이라 孟激公宜
大成殿享祀 每年春秋仲月初丁 釋奠하고 奏樂하고 用八佾舞
○謹按皇明釋奠制儀컨대 迎神奠帛初獻及亞終獻徹饌送神凡六 各奏樂一章이라
自初獻으로 至終獻 不言拜禮하고 瘞幣 言奏樂이로대 而不錄樂章하니 可疑


啓聖公 英廡侯 注+증점의 자는 子皙이다. 泗水侯 孔鯉,注+공리의 자는 伯魚이다. 曲阜侯 注+안무요의 자는 季路이다. ○중국본 ≪孔子家語≫의 〈七十二弟子解〉에는 顔繇로 되어 있다. 공자가 처음 闕里에서 가르칠 때 수학하였다. 를 〈啓聖祠에 모신다.〉
대성전 향사는 매년 춘추 仲月 初丁日釋奠을 올리고 음악을 연주하며 팔일무를 춘다.
○삼가 ≪皇明釋奠制儀≫를 살펴보니, 迎神, 奠帛, 初獻亞獻終獻, 徹饌, 送神의 모두 여섯 가지 절차에 각기 음악 1장을 연주한다.
초헌부터 종헌까지 拜禮를 말하지 않았고 폐백을 태울 때 음악을 연주하라고 말하였으나 악장을 기록하지 않았으니, 의심스럽다.


역주
역주1 孔叔梁紇 : B.C.622~B.C.548. 郰人紇 또는 鄹叔紇이라고도 한다. 성은 孔, 이름이 紇, 자는 叔梁이며, 춘추시대 노나라 출신이다. 魯 襄公 때 郰邑(鄹邑)의 대부가 되었다. 처음에 施氏를 아내로 얻어 딸 아홉을 낳았는데, 다시 顔氏의 딸 徵在를 아내로 얻어 공자를 낳았다.
역주2 曾點 : ?~? 자는 子晳. 춘추시대 노나라 南武城 출신이다. 아들 曾子와 함께 공자의 문하에 있었다. 唐나라 玄宗 때 宿伯에 봉해졌고, 宋나라 眞宗 때 萊蕪伯에 봉해졌다. 南宋 度宗 때 문묘에 종사되었고, 明나라 英宗 때 공의 작위를 받았다.
역주3 顔無繇 : B.C.545~? 자는 路, 顔路라고 부르기도 한다. 춘추시대 노나라 출신으로, 안회의 아버지이다. 부자가 모두 공자의 문하에 있었다. 원나라 문종 때 杞國公에 봉해졌다.
역주4 孟激公宜 : ?~? 성은 孟, 이름은 激, 자는 公宜로, 맹자의 부친이다. 송나라에 유학하여 벼슬을 구하려 했지만 뜻을 이루지 못하고 맹자 나이 3세에 객사했다.

공자가어(2) 책은 2020.11.3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50 서울시 종로구 삼봉로81, 1332호(두산위브파빌리온)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