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國語(1)

국어(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국어(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93. 宰周公論齊侯好示
獻公將如會라가
하니 曰君可無會也니이다
夫齊侯好示하야하고 而不務德하니
故輕致諸侯而重遣之하야 使至者勸하고 而畔者慕니이다
懷之以典言하며 而厚德之하야 以示之信하고 三屬諸侯하야 하야 以示之施
是以北伐山戎하고 南伐楚하고 西爲此會也
譬之如室이면 旣鎭其甍矣니이다
又何加焉이리잇가
吾聞之컨대 惠難徧也 施難報也 不徧不報 卒於怨讎라호이다
夫齊侯將施惠如出하면 是之不이니 而暇晉是
雖後之會 리니 君無懼하소서
其有勤也리이다하니 公乃하다


93. 천자국天子國총재冢宰주공周公이, 나라 제후의 과시하기 좋아하는 것을 논하다
【大義】힘과 물질의 과시로 이룬 霸權의 한계.
규구葵丘회맹會盟헌공獻公이 참석하려고 하였다.
천자국의 총재인 주공周公을 만나자, 주공이 말하기를 “군주께서는 그 회맹에 가지 않으셔도 될 것입니다.
제후齊侯가 과시하기를 좋아하여 은혜를 베풀거나 공덕功德을 쌓는 일에 힘쓰고 덕을 닦는 데에는 힘쓰지 않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제후들을 불러들일 때는 빈손으로 가볍게 오게 하여서는 수레에 무겁게 실어 보내어, 찾아가는 사람으로 하여금 더 잘 하려는 생각을 갖게 하고 배반하여 떠났던 사람들에게는 사모思慕의 감정을 일으키게 하고 있습니다.
전범典範이 될 수 있는 말로 편안히 감싸주고, 우호조약友好條約의 의식을 간소하게 하고, 후한 덕을 입혀서 그들에게 신의信義를 보였으며, 세 차례나 제후들을 모이게 하여 멸망 지경에 있는 세 나라를 보존시켜서 그들에게 베푸는 뜻을 보였습니다.
이 일을 하느라 북쪽으로 산융山戎을 정벌하고 남쪽으로 나라를 치고 서쪽으로 이번 모임을 열었습니다.
집 짓는 일에 비유한다면 이미 용마루를 올려놓은 것입니다.
또 무엇을 더할 것이 있겠습니까?
나는 듣건대 ‘시혜施惠는 두루 펴기 어렵고 베푼 은혜는 보답받기가 어려운데 두루 펴지 않고 보답하지 않으면 마침내는 원수가 된다.’ 하였습니다.
나라의 군주가 베푼 은혜를 빚을 내준 것처럼 생각한다면, 이 일만도 능히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없는 일인데 어느 겨를에 나라를 바로잡으려 들겠습니까?
오직 후일의 회맹이 장차 동쪽에서 있을 것이니, 임금께서는 두려워하지 마십시오.
힘쓰셔야 할 일이 있을 것입니다.” 하니, 헌공獻公이 이내 발길을 돌렸다.


역주
역주1 葵丘之會 : 齊桓公의 주도로 제후들이 宋나라의 葵丘에서 회맹한 모임이다. 자세한 것은 ‘葵丘之會天子致胙于桓公’章을 참고하라.
역주2 遇宰周公 : 宰周公은 周나라의 卿士 벼슬에 있는 冢宰孔이다. 그의 食邑이 周 땅이어서 이렇게 이른다. 宰周公이 회맹에 참여하고 먼저 돌아가다 길에서 서로 만난 것이다.
역주3 施與力 : 施는 은혜, 力은 功業을 이른다.
역주4 薄其要結 : 要는 約의 뜻이니, 結盟의 의식을 간소하게 하는 것을 이른다. 앞의 ‘桓公率諸侯朝天子’章을 참고하라.
역주5 存亡國三 : 세 나라는 ‘桓公霸諸侯’章에서 이르는 魯‧邢‧衛 세 나라를 이른다.
역주6 : 채
역주7 果奉 : 果는 克, 奉은 行의 뜻이니, 시행하다의 뜻이다.
역주8 : 匡(바로잡는다)의 뜻.
역주9 將在東矣 : 동쪽에서 會盟이 있을 것이라는 말이다. 이를 韋昭는 다음 장에 나오는 淮 땅의 회맹을 이르는 말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淮는 당시 춘추시대에는 남쪽 지역에 해당한다. 그러므로 이 글은 지금까지 齊桓公이 북‧남‧서 세 지역에서 제후를 모아 회맹의 의식을 거행하였으니 앞으로는 그 과시하기 좋아하는 군주가 동쪽 어느 지역에서 회맹의식을 거행하여 동쪽 지역에 자신의 위세를 과시하는 일을 벌일 것이라고 비꼰 말로 보는 것이 타당할 듯하다. 그러면서 이번에는 그냥 돌아가고 앞으로 있을 동쪽 지역의 회맹에 수고해 참여하라고 뒤의 말을 붙인 것이다.
역주10 焉[矣] : 四部備要本에 의거하여 고쳤다. 王引之의 《經義述聞》에서 ‘矣’가 옳다고 하였다.
역주11 : 선

국어(1) 책은 2024.01.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