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國語(2)

국어(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국어(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80.
[大義]1) 죽음을 늘 생각하고 있는 집정자의 말에서 죽음을 예견하는 지혜로운 안목과 집정자로서 마땅히 가져야 하는 원대한 계획을 서술한 것이다.
2) 집정자가 가져야 할 원대한 계획이 없이 세월만 허송하는 것을 보고 죽음을 예언한 것이다.
趙文子見之하고 問曰 秦君道乎 對曰 不識이로라
文子曰 公子辱於敝邑 必避不道也리라 對曰 有焉이로라
文子曰 猶可以久乎 對曰
聞之호니 國無道호대 而年穀龢孰이면 鮮不五이라하더이다
文子視日曰
朝夕不相及이어니 誰能俟五
文子出커늘 后子謂其徒曰
將死矣리라
夫君子寬惠以恤後라도 猶恐不濟어늘
今趙孟 相晉國하야 以主諸侯之盟하니 思長世之德하야 歷遠年之數라도 猶懼不終其身이어늘 今忨日而㵣歲하니 怠偸甚矣니라
非死逮之 必有大咎리라
趙文子卒하다


180. 진후자秦后子조맹趙孟의 죽음을 예언하다
진후자秦后子가 도망쳐 오자 조문자趙文子가 그를 만나서는 묻기를, “나라 임금은 군주다운 가 있으십니까?” 하니, 대답하였다. “잘 모르겠습니다.
문자文子가 말하기를, “공자公子께서 피폐한 우리나라를 욕되게 찾은 것은 반드시 군주의 무도無道함을 피하기 위함일 것입니다.” 하니, 대답하였다. “그러한 점이 있습니다.”
문자文子가 말하기를, “그런 상태에서도 〈나라가〉 오래 유지될 수 있겠습니까?” 하니, 대답하였다.
“나는 들으니, 나라가 무도無道하여도 해마다 곡식이 풍년이 들면 5년을 못 견디는 나라는 적다고 하였습니다.”
문자文子가 해를 쳐다보고서 말하였다.
조석朝夕도 미처 생각할 수 없는데 어떻게 능히 5년을 기다릴 수 있겠습니까
?”
문자文子가 물러가자, 후자后子가 자신의 무리에게 말하였다.
조맹趙孟은 죽게 될 것이다.
군자가 너그럽고 은혜스러운 마음으로 훗날을 걱정하여도 오히려 성공을 거두지 못할까 두려운 터이다.
그런데 지금 조맹趙孟나라의 정승으로 제후의 맹약을 주재하는 사람이니, 길이 대대로 이어 나갈 덕스러움을 생각하여 먼 햇수를 누리게 할지라도 오히려 자신의 한 몸을 잘 마치지 못할까 두려운 터인데, 지금 하루를 헛되이 보내면서 한 해를 더디게 생각하고 있으니 태만함과 구차스러움이 심하다.
죽음이 미치지 않는다면 반드시 큰 환란이 있을 것이다.”
그해 겨울에 조문자趙文子가 죽었다.


역주
역주1 秦后子謂趙孟將死 : 이 글은 《左傳》 昭公 元年 기사에 자세하다.
역주2 秦后子來奔 : 秦后子는 秦景公의 아우. 后子鍼이라고도 한다. 魯昭公 원년(기원전 541년)에 景公의 박해를 피해 晉나라로 도망쳐 왔다.
역주3 : 곡식이 여물어 익음을 이른다. 곡식이 1년에 한 번 익는 까닭에 한 해를 이르는 뜻으로 쓰인다.
역주4 趙孟 : 趙文子를 이르는 말. 趙氏 집안으로 이어지는 진나라의 역대 正卿들을 이르는 말로 쓰이기도 하였다.
역주5 잘 모르겠습니다 : 이는 곧이곧대로 말하기가 어려워서 모르겠다고 한 것이다.
역주6 朝夕도 미처……기다릴 수 있겠습니까 : 이는 아침에 저녁까지 살 수 있을 것인지도 모르는데 하물며 5년이라는 긴 세월을 어찌 알겠느냐는 뜻으로 이해하였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당시 집정자들이 목숨을 내놓고 나라를 보좌하며 정치를 해 가는 첨예한 대립 상황을 엿볼 수 있는 말이기도 하다. 여기서는 앞의 뜻으로 이해하고 그에 대한 평이 이어지는 것으로 보아 뒷말은 단지 문장상의 해석으로 첨가하여 둔다.

국어(2) 책은 2022.07.1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