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國語(2)

국어(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국어(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211. 伍擧論臺美而楚殆
[大義]국가가 벌이는 토목공사의 정당한 근거와 정당한 근거를 잃은 것들에 대한 위험성.
하고升焉하야 曰臺美夫인저 對曰
臣聞國君以爲美하고 安民以爲樂하고 聽德以爲聰하고 致遠以爲明이니이다
不聞其以土木之崇高‧爲美하며 而以金石匏竹之昌大‧庶爲樂하고 不聞其以觀大‧視侈‧淫色以爲明하며 而以察淸濁爲聰호이다
先君莊王 高不過望國氛하고 大不過容宴豆하고 木不妨守備하고 用不煩官府하고 民不廢時務하고 官不易朝常이니이다
問誰宴焉이면 則宋公‧鄭伯이요 問誰相禮 問誰贊事 則陳侯‧蔡侯‧許男‧頓子 其大夫侍之니이다
先君除亂克敵하고 而無惡於諸侯니이다
今君爲此臺也 國民罷焉하고 財用盡焉하고 年穀敗焉하고 百官煩焉하니
擧國留之하야 數年乃成이니이다
願得諸侯與始升焉이나 諸侯皆距하고 無有至者
而後使하야 請於호대 懼之以하야
而僅得以來어늘 使 贊焉하고 而使 相焉하니
臣不知其美也로이다
夫美也者 上下‧‧小大‧遠 皆無害焉이라
故曰美니이다
若於目觀則美於財用則匱
是聚民利하야 以自封而瘠民也
胡美之이리잇가
夫君國者 將民之與處하니
民實瘠矣 君安得肥
且夫私欲弘侈 則德義鮮少 德義不行이면騷離하고距違니이다
天子之貴也 唯其以하고 而以伯子男爲師旅하며 其有美名也 唯其施令德於遠近하야 而小大安之也니이다
若斂民利以成其私欲하야 使民蒿焉忘其安樂하고 而有遠心이면 其爲惡也甚矣
安用目觀이리잇고
故先王之爲 榭不過講하고 不過望氛祥이라
故榭度於之居하고 度於니이다
其所不奪穡地하고 其爲不匱財用하고 其事不煩官業하고 其日不廢時務하니이다
瘠磽之地 於是乎爲之하고 於是乎用之하고 官寮之暇 於是乎臨之하고 四時之隙 於是乎成之하니이다
曰 經始靈臺하야
經之營之하시니 庶民攻之 不日成之로다
經始勿亟하시나 庶民子來로다
王在靈囿하시니 麀鹿攸伏이로다하니
將以敎民利也하야
不知其以匱之也노이다
若君 謂此臺美而爲之正이시면 楚其殆矣리이다


211. 오거伍擧가 아름다워 나라가 위험해질 것이라는 것을 경고하다
초영왕楚靈王장화대章華臺를 지어 놓고 오거伍擧와 함께 그곳에 올라 말하기를, “가 참 아름답구나!” 하자, 오거가 대답하였다.
“신은 나라의 군주는 천자의 영화로운 표창을 받는 것으로 아름다움을 삼고, 백성을 편안하게 하는 것으로 즐거움을 삼고 덕 있는 말을 듣는 것으로 귀 밝음을 삼고 먼 곳에 있는 사람들이 찾아오게 하는 것으로 지혜의 밝음을 삼는다고 들었습니다.
토목공사의 높고 큼과 아름다운 단청이나 조각들을 아름다움으로 삼고 이며 경쇠[]며 이며 관악기管樂器의 성대하고 호화롭고 가짓수가 많은 것을 즐거움으로 삼는다는 말은 듣지 못하였으며, 큰 건축물을 관람하고 사치스럽게 꾸며진 것을 눈요기하고 성색聲色에 빠져 있는 것으로 지혜의 밝음을 삼고 음악의 고음과 저음을 잘 살피는 것으로 귀 밝음을 삼는다는 말은 듣지 못하였습니다.
선군先君장왕莊王께서는 포거대匏居臺를 지었는데, 그 높이가 국가의 요사스러운 침기祲氣를 살필 수 있는 데 불과하였고, 크기는 잔칫상의 음식을 차려 놓는 그릇을 벌려 놓을 수 있는 데에 불과하였고, 그곳에 들어가는 목재는 성곽 수비에 쓰이는 목재에 해가 되지 않았고, 재용財用은 정부의 재정에서 지출되지 않았고, 백성들은 농사철의 농사일을 망치지 않았고, 관원들은 조정의 일정한 직무를 흐트러뜨리지 않았습니다.
누가 연회에 참석하였느냐고 묻는다면, 송공宋公정백鄭伯이었고, 누가 잔치의 를 안내하였느냐고 묻는다면, 화원華元사비駟騑였고, 누가 잔치 일을 도왔느냐고 묻는다면, 진후陳侯채후蔡侯허남許男돈자頓子였고 또 각기 그들의 대부들이 시중하였습니다.
선군先君께서 이렇게 하였던 까닭에 환란을 제거하고 적국을 이겨 내면서도 제후들에게 미움을 사지 않았던 것입니다.
그런데 지금 임금님께서는 이 를 지으면서 국가와 백성이 피폐해졌고, 국가의 재용이 모두 고갈되었고, 백성들은 해마다 동원되느라 농사를 실패하였고, 백관百官들은 징발에 시달렸습니다.
온 나라의 백성이 그 일에 매달려 여러 해 만에 완성되었습니다.
제후들과 낙성식을 치르고서 함께 대에 오르기를 원하였으나 모두 거절하고 이른 자가 아무도 없었습니다.
그 일을 겪고 나서야 태재太宰계강啓疆을 시켜서 나라 군주를 초청하면서, 옛날 땅의 전투로 그를 위협하였습니다.
마지못해 이르자 용모가 풍후하고 느긋하고 아름다운 아직 스무 살도 채 안 된 소년들을 시켜 잔치를 돕게 하고, 수염이 길게 아름다운 사람을 시켜서 잔치의 예절을 안내하게 하였습니다.
신은 그러한 것들이 아름다운 일인 줄 알지 못하겠습니다.
저 아름답다고 하는 것은 관원의 고위직과 하위직, 또 지방과 중앙, 크고 작은 나라들과, 멀고 가까운 사람들에게 해가 없어야 합니다.
그래야만 아름답다 할 수 있습니다.
만일 눈으로 보기에는 아름다우나 나라의 재용에서 취하여 쓰게 되면 국가의 재정이 고갈됩니다.
이는 백성에게 이익 되는 것들을 긁어모아서 스스로를 살찌우고 백성들을 궁핍하게 하는 것입니다.
어찌 아름다울 수 있겠습니까?
대저 백성의 임금이 된 자는 응당 백성과 함께 살아야 합니다.
백성이 진실로 궁핍하여지면 임금이 어떻게 홀로 부유할 수 있겠습니까?
또 사사로운 욕심이 너무 크면 의리義理를 생각하는 마음이 적어지고, 덕과 의리가 나라에 행해지지 아니하면 국내國內에 있는 사람들은 걱정하다 마음이 떠나고, 국외國外에 있는 나라들은 거절하고 어기려 듭니다.
천자가 귀한 것은 가 각기 관아들의 우두머리로 있고, 또 의 제후가 군대를 책임지고 거느리고 있어서이며, 그 천자에게 아름다운 명성이 있는 것은 오직 그 훌륭한 덕을 멀고 가까운 데에 베풀어서 크고 작은 나라들이 편안하기 때문입니다.
만일 백성에게 이익 되는 것을 긁어모아 사욕을 채움으로써 백성들로 하여금 재정이 고갈되어 안락을 잃고, 멀리 떠나고자 하는 마음을 두게 한다면, 그 해악됨은 매우 심한 것이 될 것입니다.
어찌 눈으로 관광을 즐기는 것을 취할 일이겠습니까?
그러므로 선왕들이 를 지을 적에는 는 군대가 강무講武할 정도의 크기를 넘지 아니하였고, 는 국가의 요기妖氣나 상서로운 기운을 살피는 데에 넘지 아니하였습니다.
그러므로 는 국왕 휘하의 군사들이 수용될 수 있는 정도를 헤아려서 만들었고, 는 군대를 내려다 볼 수 있고 멀리 관찰할 수 있는 정도의 높이를 헤아려서 만들었습니다.
그것을 세우는 곳은 농사짓는 땅을 빼앗지 아니하였고, 지으면서는 국가의 재용을 고갈시키지 아니하였고, 추진하는 과정에서는 관원들의 일상 업무를 번거롭게 하지 아니하였고, 농사철의 농사일에 방해되지 않게 하였습니다.
또한 메마른 땅에 그 터를 마련하였고, 성을 수비하는 데 쓰고 남은 나무를 사용하였고, 관료들의 여가를 이용하여 감독하게 하였고, 사계절의 틈나는 시간에 경영하도록 하였습니다.
그러므로 〈주시周詩〉에, ‘영대靈臺를 설계하여 터 잡아 시작하네!
땅을 재고 일을 진행하니, 백성들이 나서 주어 하루도 다 되지 않아 낙성되었도다.
일을 서두르지 말라 하였건만 어버이 일에 나선 듯 백성들 몰려드네!
왕께서 영대靈臺에 계시니 암사슴이 새끼를 품고 있도다.’라고 하였습니다.
를 짓는 것은 장차 백성들을 이롭게 하자는 것에서 입니다.
그 백성들의 재정을 고갈시킨다는 말은 들어 보지 못했습니다.
만약 임금께서 이 를 아름답게 만드는 일이 옳은 일이라 생각하신다면 초나라는 위태로워질 것입니다.”


역주
역주1 靈王 : 楚恭王의 庶子. 이름은 熊虔.
역주2 章華之臺 : 章華는 땅 이름. 지금의 湖北省 潛江市 龍灣區 放鷹臺에 해당한다. 靈王이 10만의 백성을 동원하여 사방 40리에 달하는 離宮을 조성하니 樓閣은 무려 3천여 칸에 달하고 10여 개의 井字형 반듯한 길이 있었다. 중앙에 章華臺를 앉히고 나선형으로 오르는 길을 만들었는데 얼마나 높았던지 꼭대기까지 오르려면 세 번은 쉬어야 한다고 하여 三休臺라는 별칭이 붙을 정도였다. 또 허리를 잘룩하게 동이는 띠를 띤 궁녀들을 살게 했다 하여 細腰宮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晉平公이 이 소식을 듣고서는 질세라 자신의 나라에 晉宮을 새로 짓는 工役을 일으키기도 하였다.
역주3 伍擧 : 湫擧를 이른다. 湫는 고을 이름이다.
역주4 服寵 : 어진 德으로 인하여 天子로부터 받는 優渥한 은총. 또는 그 은총으로 받는 車馬나 俸祿.
역주5 彤鏤 : 彤은 기둥에 丹靑을 올리는 것, 鏤는 추녀나 서까래에 龍 등을 조각하는 것을 이른다.
역주6 : 嘩(시끄러움)이다.
역주7 : 四部備要本에는 ‘也’자가 없다.
역주8 匏居之臺 : 臺 이름이다.
역주9 華元駟騑 : 華元은 宋나라의 右師이니, 宋나라 卿인 華御事의 아들이고 駟騑는 鄭穆公의 아들이다.
역주10 是以 : 四部備要本에는 ‘以是’로 되어 있다.
역주11 太宰啓疆 : 초나라의 卿인 薳子이다.
역주12 : 四部備要本에는 ‘彊’으로 되어 있다.
역주13 魯侯 : 魯昭公을 이르니, 昭公 7년(기원전 535년)의 일이다.
역주14 蜀之役 : 蜀은 魯나라의 땅 이름. 魯宣公이 楚나라에 우호 관계를 맺자고 청하였는데 이때 楚莊王이 죽고 宣公도 죽어 일이 성사되지 못하였다. 魯成公이 즉위하여 晉나라와 맹약을 맺자 장왕을 이어 등극한 楚恭王이 노하여 公子 嬰齊를 보내 蔡나라와 許나라의 군사와 연합하여 노나라의 蜀 땅까지 쳐들어갔다. 이 전투에서 노나라가 불리하자 孟孫을 시켜 강화를 청한 일을 이른다. 이 전쟁은 魯成公 2년(기원전 589년)의 일이다.
역주15 富都那豎 : 富는 용모가 풍후함이요, 都는 용모의 느긋함이요, 那는 용모의 아름다움이요, 豎는 아직 20세가 채 안 된 사람을 이른다. 용모만을 취하고 덕을 숭상하지 않은 것을 이르는 말이다.
역주16 長鬣之士 : 수염이 길어 아름다운 사람을 이른다.
역주17 外內 : 四部備要本에는 ‘內外’로 되어 있다.
역주18 : 四部備要本에는 ‘近’으로 되어 있다.
역주19 : 취하다. 또는 착취하다의 뜻이다.
역주20 : 四部備要本에는 ‘焉’으로 되어 있다.
역주21 邇者 : 境內, 곧 나라 안을 이른다.
역주22 遠者 : 이웃 나라들을 이른다.
역주23 公侯爲官正 : 公侯는 公‧侯‧伯‧子‧男으로 나뉘어지는 제후들의 등급 중 가장 높은 등급에 해당하는 제후들을 이른다. 官正은 한 관아를 관장하는 우두머리 벼슬을 이른다.
역주24 : 四部備要本에는 ‘正’자 다음에 ‘也’자가 더 있다.
역주25 臺榭 : 흙을 다져서 높이 쌓은 것을 臺, 臺 위에 집을 지으면서 방을 들이지 않은 것을 榭라 한다.
역주26 軍實 : 군대의 사병들을 이른다.
역주27 大卒 : 국왕 휘하의 군대를 이른다.
역주28 臨觀之高 : 臨觀은 臨下觀上의 뜻이니, 臺는 충분히 아래를 내려다볼 수 있게 쌓아 올리고, 榭는 지붕이 시야를 가리지 않게 집을 짓는다는 말이다.
역주29 城守之木 : 성을 수비하는 데 쓰고 남은 나무. 黃丕烈의 《國語札記》에는 韋昭의 쓰고 남은 나무라는 주석에 따라 木자가 末자의 오자라고 하였다. 그러나 汪遠孫의 《國語明道本攷異》에는 《周禮》 〈掌固〉의 鄭玄 注를 근거로 韋昭의 주석에 오자가 있는 듯하다면서 末자의 주석을 취하지 아니하였다.
역주30 周詩 : 《詩經》 〈大雅 靈臺〉篇의 시이다.
역주31 爲臺榭 將以敎民利也 : 臺는 나쁜 妖氣나 상서로운 기운을 살피는 곳이고, 榭는 군사를 훈련시켜서 도적이나 환란을 막으려는 것이니 백성들을 이롭게 한다는 것이다.
역주32 臺榭 : 四部備要本에는 ‘榭臺’로 되어 있다.

국어(2) 책은 2022.07.1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