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國語(2)

국어(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국어(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61. 悼公使韓穆子掌公族大夫
[大義]벼슬을 사양한 한목자에게 상으로 공족대부를 맡게 함.
韓獻子老한대 使公族 受事於朝하니 辭曰 無忌備호되 不能死니이다
聞之컨대 曰 無 不敢居高位라하야늘
今無忌知不能匡君하야 使至於難하고 仁不能救하고 勇不能死하니 敢辱君朝하야 以忝韓宗이리잇가
請退也하노이다하고 固辭不立하니
悼公 聞之하고 曰 難 雖不能死君이나 而能讓하니 不可不賞也라하고 使掌公族大夫하니라


161. 도공悼公한목자韓穆子로 하여금 공족대부公族大夫를 맡게 하다
한헌자韓獻子가 은퇴하자, 공족대부公族大夫목자穆子에게 조정에서 일을 받도록 하니, 〈목자가〉 사양하여 말하기를 “여공厲公이 〈시해당한〉 난리에 제가 공족公族으로 있었는데도 죽지 못했습니다.
신은 듣건대 ‘공로가 없는 사람은 높은 지위에 감히 처하지 못한다.’고 하였습니다.
지금 저는 지혜가 능히 임금을 바로잡지 못하여 난리에 이르게 하였고, 이 능히 임금을 구원하지 못했으며, 용맹이 능히 죽지 못했으니, 감히 임금의 조정을 욕되게 하여 한씨韓氏 종족을 더럽힐 수 있겠습니까?
물러가기를 청합니다.” 하고, 굳이 사양하고 취임하지 않았다.
도공悼公이 듣고서 말하기를 “난리에 비록 임금을 위해서 죽지는 못했으나 능히 사양했으니, 상을 주지 않을 수 없다.”라 하고, 그에게 공족대부를 맡게 하였다.


역주
역주1 穆子 : 韓厥의 아들 無忌.
역주2 厲公之亂 : 厲公이 弑害당한 난리를 말한다.
역주3 公族 : 공의 종족, 즉 공과 同姓을 말한다.
역주4 功庸 : 국가에 대한 공을 功이라 하고, 백성에 대한 공을 庸이라 한다.

국어(2) 책은 2022.07.1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