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國語(2)

국어(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국어(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218. 子常問蓄貨聚馬鬪且論其必亡
[大義]정치를 담당하여 無禮하고 백성을 돌보지 않은 채 재물을 모으면 망함을 자초함.
見令尹한대 子常與之語라가 問蓄貨聚馬러라
歸以語其弟曰
楚其亡乎인저
不然이면 令尹其不免乎인저
吾見令尹하니 令尹問蓄聚積實 如餓豺狼焉하니
殆必亡者也로다
夫古者 聚貨호대 不妨民衣食之利하며 聚馬호대 不害民之財用하야
足以行하고足以稱賦하니 不是過也
公貨足以하고 家貨足以共用하니 不是過也
夫貨馬則闕於民이오 民多闕則有離畔之心이니 將何以封矣리오
令尹호대 無一日之積 恤民之故也
成王聞子文之朝不及夕也하고 於是乎每朝 設脯一束 糗一筐하야 以羞子文하야 至于今秩之하니라
成王每出子文之祿 必逃라가 王止而後復하니
人謂子文曰 人生求富어늘 而子逃之 何也 對曰 夫從政者 以庇民也
民多曠者어늘 而我取富焉이면 是勤民以自封也 死無日矣
我逃死富也라하더니
故莊王之世호대하야 至于今處하야 爲楚良臣하니
是不先恤民하고 而後己之富乎
今子常 先大夫之後也어늘 而相楚君하야 無令名於四方하고 民之羸이어늘 四境盈壘하고 道殣相望하며 盜賊하고 民無所放이어늘
是之不恤하고 而蓄聚不厭하니 其速怨於民多矣
積貨滋多 蓄怨滋厚 不亡何待리오
夫民心之慍也 若防大川焉하야 潰而所犯必大矣
子常其能賢於成‧靈乎
이라가하고不顧於民하야 一國棄之 如遺迹焉하니라
子常爲政하야 而無禮不顧 甚於成‧靈하니 其獨何力以待之리오
期年 乃有하야 子常奔鄭하고 昭王奔隨하다


218. 자상子常이 재물을 축적하고 말을 모으는 일에 대하여 묻자, 투차鬪且가 그 사람은 반드시 죽을 것이라고 논하다
투차鬪且영윤令尹자상子常을 가서 만났는데 자상子常이 그와 더불어 말을 나누다가, 재물을 축적하고 말을 모아들이는 방법에 대해서 물었다.
투차鬪且가 자기 집에 돌아와서 그의 아우에게 말하였다.
나라는 망할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영윤令尹재난災難을 면치 못할 것이다.
내가 영윤令尹을 만났더니 영윤令尹이 재물과 보화寶貨를 긁어모으는 방법에 대해서 묻기를 마치 굶주린 승냥이나 이리 같은 모습이었다.
그러니 아마도 패망할 것이다.
옛날에 재화財貨를 모아 쌓되 백성이 생활하는 의식衣食의 이익을 방해하지 않았고, 말을 징발하여 모으되 백성의 재용財用에 손해가 되지 않게 하였다.
국가에서 징발한 백성의 말은 군사를 움직이는 데 충분하였고, 국가에서 관리하는 융마戎馬군대軍隊를 동원하기에 충분하였으니, 이 한도에서 초과하지 아니하였다.
그리고 공실公室이 보유하고 있는 재화財貨는 손님 접대와 공헌貢獻하는 용도에 충분하였고, 대부가大夫家의 보유한 재화財貨는 자기의 용도에 충분하였으니, 이 한도에서 초과하지 아니하였다.
재화財貨와 말을 지나치게 거둬 모으면 백성의 몫이 모자라게 되고, 백성의 몫이 많이 모자라게 되면 이반離畔할 마음이 생기게 되니, 앞으로 어떻게 나라를 세우겠는가?
옛날 투자문鬪子文이 세 번 영윤令尹 벼슬을 역임하고 물러났으나 하루 동안 먹을거리도 축적하지 않은 것은 백성의 처지를 돌보아 주었기 때문이었다.
성왕成王자문子文이 아침에 미처 저녁까지 걱정할 수 없다는 말을 듣고는 아침마다 한 묶음과 건량乾糧 한 광주리를 자문에게 보내 먹게 하여 오늘날까지 상례常例가 되었다.
성왕成王자문子文에게 녹봉祿俸을 내어 줄 적마다 반드시 달아났다가 성왕成王녹봉祿俸 주려는 일을 중지하면 돌아오곤 하였다.
사람들이 자문子文에게 말하기를 ‘인생人生은 부자가 되기를 구하는 것인데, 〈녹봉祿俸을 줄 적마다〉 당신은 어째서 달아나는 게요?’ 하니, 대답하기를, ‘정치에 참여하는 것은 백성을 보호하기 위해서이다.
백성은 재물이 텅 빈 자들이 많은데 내가 를 취한다면 백성들을 수고롭게 하여 나 자신의 재물만을 많게 하는 것이니, 언제 죽을지 모른다.
나는 죽음에서 달아난 것이지, 에서 도피한 것이 아니다.’ 하였다.
이 때문에 장왕莊王 시대에 약오씨若敖氏의 종족을 몰살하였으나 자문子文의 후손만은 남아 있게 되어 오늘에 이르기까지 운성鄖城에 살면서 나라의 어진 신하가 되었다.
이는 백성을 구휼하는 일을 급선무로 삼고 자신의 는 뒷일로 여긴 결과가 아니겠느냐.
지금 자상子常선대부先大夫의 후손인데, 초왕楚王을 보좌하면서 사방에 훌륭한 명성이 없고, 백성들이 수척하고 굶주리는 생활이 날이 갈수록 심해지는데 사방의 국경에는 성벽이 가득 차 있고 길거리에는 굶어 죽은 시체가 이어져 있으며, 도적들은 눈을 부릅뜨고 노리고 있고, 백성은 의지할 곳이 없게 되었다.
이런 상황은 돌보지 않고 재물을 긁어모으기에 만족하지 못하고 있으니, 백성의 원망을 부르는 일이 많을 것이다.
쌓은 재화財貨가 많아지는 만큼 원망도 더욱 많이 쌓여 갈 것이니, 멸망하지 않고 무엇을 기대하겠느냐!
백성의 성난 마음에 대처하는 것은 큰 시냇물을 막는 것과 같아서 둑이 무너지면 반드시 큰 피해가 일어난다.
자상子常의 결말이 성왕成王영왕靈王보다 낫겠는가?
성왕成王목왕穆王에게 를 준수하지 않았다가 곰 발바닥 요리를 먹고 죽기를 원했으나 먹지 못하고 죽었고, 영왕靈王은 백성의 생활을 돌보지 아니하여 온 나라 사람들이 마치 그를 길 가는 자가 발자국 버리듯이 하였다.
자상子常이 정치를 맡아 하면서 를 무시하고 백성의 생활을 돌보지 않는 정도가 성왕成王영왕靈王보다 더 심하니 그 혼자 무슨 역량으로 환란을 막아 낼 수 있겠느냐.”
그 뒤 1년 만에 백거柏擧의 전투가 일어나 자상子常나라로 달아났고, 소왕昭王나라로 달아났다.


역주
역주1 鬭且 : 楚나라의 大夫.
역주2 廷[遄] : 王引之의 《經義述聞》에 의거하여 고쳤다.
역주3 子常 : 楚昭王 때의 令尹. 이름은 囊瓦. 子囊의 손자.
역주4 國馬 : 국민의 말. 국가에서 백성에게 징발하여 軍用에 충당한다.
역주5 軍[關] : 《孟子》 〈盡心 下〉의 “兩馬之力與”에 대한 漢나라 趙岐 注에 《國語》의 이 부분을 인용하면서 ‘關’자로 썼기에 고쳤다.
역주6 公馬 : 公室의 戎馬. 곧 국가에서 관리하는 말.
역주7 賓獻 : 외국의 손님을 접대하는 宴享과 貢獻.
역주8 : 尤와 통용. 過失. 여기서는 過多의 뜻으로 썼다.
역주9 鬭子文 : 곧 鬪穀於菟. 子文은 字. 鬪伯比의 아들로, 楚成王 때 令尹을 지냈다.
역주10 : 《後漢書》 〈何敞傳〉의 ‘子文逃祿’에 대한 唐나라 李賢 注에는 《國語》의 이 부분을 인용하면서 ‘登’으로 썼다.
역주11 {令尹} : 汪遠孫의 《國語明道本攷異》에 의거하여 衍文으로 처리하였다.
역주12 : 《群書治要》에는 ‘要’로 되어 있다.
역주13 滅若敖氏 : 鬪子文의 종족인 若敖氏가 멸망함. 魯宣公 4년(기원전 605년)에 子文의 조카 鬪椒가 반란을 일으켜 楚莊王과 皐滸에서 싸워 鬪椒가 패배하자 莊王이 若敖氏를 멸족시켰다. 《左傳 宣公 4년》
역주14 子文之後 : 子文의 손자 葴尹 克黃을 말함. 鬪椒가 난을 일으켰을 때 克黃은 齊나라에 使臣으로 나가 있었으나 귀국한 뒤에 스스로 司敗에게 가서 구속되고 罪받기를 청하자, 莊王은 子文의 나라 다스린 업적을 생각하여 克黃을 사면하였다.
역주15 : 楚나라 때의 地名. 지금의 湖北省 安陸縣에 있었다. 子文의 後代가 이곳에 封해져서 鄖公이 되었다.
역주16 : 四部備要本에는 ‘餒’로 되어 있는데 同字이다.
역주17 日日已甚 : 四部備要本에는 ‘日已甚矣’로 되어 있다.
역주18 司目 : 司는 伺의 뜻. 도적이 눈을 부릅뜨고 엿본다는 말.
역주19 成不禮於穆 : 成은 楚成王으로 穆王 商臣의 아버지. 穆은 穆王. 成王이 商臣을 내치고 아우 職을 太子로 세우려 했던 일을 이른다.
역주20 願食熊蹯 不獲而死 : 楚成王이 商臣을 太子에서 폐하려 하자, 商臣이 군대를 이끌고 成王을 포위했을 때, 成王이 곰 발바닥 요리를 먹고 죽겠다고 요청하였으나 얻어먹지 못하고 죽은 일. 《左傳 文公 18년》
역주21 靈不顧於民 : 楚靈王이 백성들의 삶을 돌보지 않고 楚나라를 피폐시킨 일. 靈王이 많은 토목공사를 일으켜 陳‧蔡‧不羹 등에 城을 쌓고 章華宮을 지었으며, 외국과 여러 차례 전쟁을 일으켜 民力을 돌보지 않았기 때문에 이른 말이다.
역주22 {王} : 四部備要本에 ‘王’자가 없고, 《文選》 古詩十九首의 ‘明月皎夜光’章에 대한 李選 注에 이 부분을 인용하면서 ‘王’자가 없어 衍文으로 처리하였다.
역주23 柏擧之戰 : 魯定公 7년(기원전 503년)에 蔡나라‧唐나라‧吳나라가 연합하여 楚나라의 柏擧에서 전쟁한 일. 魯定公 4년에 蔡昭侯가 楚昭王에게 朝會 갔을 때 子常이 그의 佩玉을 요구하였으나 주지 않았고, 또 唐成公이 朝會 오자 子常이 그의 驌騻馬를 요구하였으나 주지 않으니, 그들을 3년 동안 억류하였다. 뒤에 蔡나라와 唐나라가 그것들을 주자 돌려보냈는데, 이에 원망을 품은 蔡昭侯와 唐成公이 吳나라와 연합하여 楚나라를 쳐서 楚軍을 크게 패배시키고 楚나라의 수도 郢을 점령하였다. 《左傳 定公 4년‧7년》

국어(2) 책은 2022.07.1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