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國語(1)

국어(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국어(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38. 臧文仲如齊告糴
魯饑하니 言於嚴公曰
夫爲四隣之援하며 結諸侯之信하고 重之以婚姻하며 申之以盟誓 固國之艱急是爲
하며 藏寶財 固民之是待니이다
今國病矣어늘 君盇以名器 請糴於齊잇가
公曰 誰使 對曰
國有饑饉이면 卿出 古之制也니이다
辰也備卿하니 辰請如齊하노이다
公使往한대 從者曰 君不命吾子어늘 吾子請之 其爲잇가 文仲曰
賢者 急病而讓夷하고 居官者 當事不避難하고 在位者 恤民之患이라
是以 國家無違
今我不如齊 非急病也 在上不하며 居官而惰 非事君也라하다
文仲으로 如齊告糴曰
天災流行하야 戾於하고 饑饉荐降하야 民羸幾䘚하니
大懼하고 職貢業事之不共而獲戾하야 不腆先君之 敢告하야
以紓執事하며 以救敝邑하야 使能共職케하시면 豈唯寡君與二三臣 實受君賜리오
其周公大公及百辟神 實永饗而賴之하리이다
齊人 歸其玉而予之糴하다


38. 장문중臧文仲나라에 가서 쌀을 사들이다
【大義】외교로 국가 民生의 환난을 타개하다.
나라에 기근饑饉이 드니, 장문중臧文仲장공莊公에게 말하기를
“사방 이웃이 원조하며 제후끼리 신의를 맺으며 혼인으로 두터이 하며 맹세를 거듭하는 것은 진실로 국가의 위급을 위해서이고,
좋은 기물을 주조鑄造하며 보배로운 보물을 보관하는 것은 진실로 백성의 단절斷切과 기근을 대비하기 위해서입니다.
지금 나라에 기근이 들었거늘 임금께서는 어찌 좋은 기물로 나라에서 쌀을 사들이지 않으십니까?” 하였다.
공이 말하기를 “누구를 시켜야 하는가?” 하니, 대답하였다.
“나라에 기근이 있으면, 이 나가서 쌀을 사들이기를 요청하는 것은 옛날의 제도입니다.
제가 의 자리에 있으니, 제가 나라에 가겠습니다.”
장공이 그를 가게 하였는데, 추종자가 말하기를 “임금께서는 우리 님께 명령하지 않으셨거늘, 우리 님께서 요청한 것은 일을 택한 것입니까?” 하니, 장문중이 말하였다.
“어진 사람은 기근에 시급히 나서며 평이한 것에 양보하고, 관직에 있는 사람은 일에 당하여 어려운 것을 피하지 아니하고, 지위에 있는 사람은 백성의 환난을 근심한다.
그러므로 국가가 잘못되지 않는다.
지금 내가 나라에 가지 않으면 기근에 시급히 나서지 않는 것이고, 위에 있으면서 백성을 걱정하지 않으며 관직에 있으면서 게으르면 임금을 섬기는 것이 아니다.”
장문중이 창규鬯圭옥경玉磬을 가지고 제나라에 가서 쌀을 사들이겠다고 청하였다.
천재天災가 유행해서 우리나라에 이르고, 기근이 거듭 내려서 백성이 병들어 거의 다하였습니다.
주공周公태공太公께서 제사를 지내도록 명하신 것을 끊게 되고 〈우리나라 임금이〉 직책의 공물과 사업에 이바지하지 못해 죄를 얻을까 두려워해서, 넉넉지 않은 선대先代 임금의 저희 기물로 감히 묵은 곡식을 요청합니다.
귀국貴國 담당관의 근심을 누그러뜨리고 우리나라를 구제해서 능히 직책에 이바지할 수 있게 해 주시면, 어찌 다만 우리 임금과 저희 신하들만 실로 임금의 하사를 받을 뿐이겠습니까?
주공周公태공太公 및 여러 제후와 천신天神지기地祇가 진실로 길이 제향을 받아 의지하게 될 것입니다.”
제나라 사람들이 그 을 돌려보내고 쌀을 사들이게 해 주었다.


역주
역주1 臧文仲 : 魯나라의 卿. 臧孫辰.
역주2 名器 : 鐘‧鼎 등을 말한다.
역주3 殄病 : 殄은 끊음이고, 病은 굶주림이다.
역주4 : 請하다.
역주5 選事 : 스스로 그 職事를 선택함이다.
역주6 : 四部備要本에는 ‘卹’로 되어 있는데 통용한다. 아래도 같다.
역주7 鬯圭 : 鬯圭는 鬯酒를 땅에 부어 降神하는 圭이다. 길이가 1자 2치이고 구슬자루가 있는데 그것으로 사당에 제사한다.
역주8 玉磬 : 옥으로 만든 磬. 악기 이름.
역주9 : 四部備要本에는 ‘弊’로 되어 있는데 통용한다. 아래도 같다.
역주10 : 四部備要本에는 ‘乏’으로 되어 있다.
역주11 周公太公之命祀 : 周公은 太宰가 되고 太公은 太師가 되어, 모든 제후 나라에 마땅히 제사해야 할 것을 명하는 일을 관장하였다.
역주12 : 四部備要本에는 ‘幣’로 되어 있는데, 汪遠孫의 《國語明道本攷異》에 ‘敝’의 잘못이라고 하였다.
역주13 滯積 : 남아서 묵은 곡식. 滯는 久의 뜻이다.
역주14 : 자
역주15 : 기

국어(1) 책은 2024.01.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