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國語(2)

국어(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국어(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19. 文公修內政納襄王
[大義]문공이 내정을 닦고 피난 나온 周襄王을 귀환토록 함.
公及夫人至自王城하다
秦伯 納衛三千人하니이라
하며薄斂하고하며 救乏하고 匡困하며하고하며
穡勸分하고하며하야 以厚民性하며 擧善援能하야하며하야하고 愛親戚하며賢良하고하며 賞功勞하고 事耈老하며 禮賓旅하고하며
하고之良 掌其하고 異姓之能 掌其하며 公食貢하고 大夫食邑하며하고 庶人食力하며하고하며하니 政平民하고 財用不匱하니라
若不納이라가 秦將納之리니리오
不能修身하고 而又不能이면 人將焉依리오
하니 啓土安疆 君其務之하소서
公說하야하야東道하니라


119. 진문공晉文公내정內政을 닦고 주양왕周襄王을 들여보내다
진문공晉文公〉 원년 봄에 문공文公부인夫人영씨嬴氏왕성王城으로부터 이르렀다.
진백秦伯이 호위병 3천 명을 들여보내니, 실로 근간이 되는 군병이었다.
문공이 백관들을 모아서 직책을 부여하며 공로가 있는 이에게 맡기고, 죄책을 면제하며 부세를 적게 걷고 덕을 베풀며 금법을 풀어 주며 재물이 적은 이에게 나누어 주고, 궁핍한 이를 구원해 주며 침체된 이를 구제해 주고, 곤궁한 사람을 바로잡아 주며 재물이 없는 이를 도와주고, 관세를 가볍게 하며 도로를 잘 다스리고, 상인들을 통하게 하며 농사짓는 사람에게 너그럽게 하고, 농사를 힘쓰며 분배分配를 권하고, 국용을 줄이며 재물을 풍족하게 하고, 기용器用을 날카롭게 하며 덕교를 밝혀서 백성들의 성정性情을 후하게 하고, 선한 이를 등용하며 능한 이를 데려다 쓰고, 일정한 벼슬을 세워 놓아서 백 가지 일을 안정시키고, 명분을 바로잡아 선한 이를 키워서 오래된 가족을 밝히고, 친척을 사랑하며 어진 이를 드러내고, 귀하여 총애할 신하를 존중하며 공로 있는 이에게 상을 주고, 노인들을 섬기며 손님들을 예우하며 옛 친구를 친애하였다.
양설羊舌한씨韓氏는 친근한 관직을 맡게 하고, 여러 희씨姬氏의 훌륭한 사람들은 그 중관中官을 맡게 하고, 성이 다른 사람으로서 유능한 이는 지방관을 맡게 하고, 공실公室공물貢物을 먹게 하고 대부들은 읍에서 나오는 것을 먹게 하였으며, 공전公田에서 나오는 것을 먹게 하고, 서인庶人들은 각각 그 노력함으로 먹게 하고, 백공百工관상官商은 관청에서 주는 봉급을 먹게 하고, 조례皁隷는 직책으로 먹으며, 가신家臣들은 가전家田을 먹으니, 정치는 공평하며 백성들은 편안하고, 재용은 결핍되지 않게 되었다.
겨울에 양왕襄王소숙昭叔의 난리를 피해서 나라 땅인 에 거처하면서 사신을 보내어 난리를 통고하고, 또한 사신을 보내어 나라에도 통고하였다.
자범子犯이 말하기를, “백성들이 〈임금을〉 친애하면서도 의리를 알지 못하니, 임금께서는 어찌 양왕을 들여보내서 백성들에게 의리를 가르치지 않으십니까!
만약 들여보내지 않았다가 나라가 장차 들여보내게 된다면 나라를 섬기는 것을 잃게 될 것이니, 어떻게 제후의 맹주가 되기를 바라겠습니까!
능히 내 몸을 닦지 못하고 또 능히 다른 사람을 높여 주지 못한다면 사람들이 장차 어찌 의지하겠습니까!
문후文侯의 사업을 잇고 무공武公의 공적을 안정시키며 토지를 넓히고 경내를 편안하게 하는 것이 이 일에 있으니, 임금께서는 힘쓰십시오.”라고 하니,
공이 기뻐하여 초중草中여토麗土에게 뇌물을 보내서 동쪽 길을 열게 하였다.


역주
역주1 元年 : 文公 元年은 魯僖公 24년이다. 이달의 윤달을 잘못 계산해서 3월을 4월로 하였으므로, 봄이라고만 말했고 그 달은 말하지 않았으니, 4월이 춘분의 달이 된 것을 밝힌 것이다.
역주2 嬴氏 : 秦穆公의 딸인 文嬴.
역주3 紀綱之僕 : 나라를 세우고 기강이 되는 것이다. 그들을 호위로 갖추게 한 것이다.
역주4 屬百官 賦職任功 : 屬은 會(모음)이고, 賦는 授(줌)이다. 일을 주고 공로가 있는 사람에게 맡겼다.
역주5 棄責 : 오래된 죄책을 면제하는 것이다. 일설에 責을 債로 보아 ‘오래된 채무를 면제한다.’로 풀이하기도 한다.(李維琦 注譯, 白話國語, 岳麓書社, 1994.)
역주6 施舍分寡 : 施는 덕을 베푸는 것이고, 舍는 금법을 풀어 주는 것이고, 分寡는 재물이 적은 이에게 나누어 주는 것이다.
역주7 振滯 : 振은 구원함이니, 지체된 士들을 구제하는 것이다.
역주8 資無 : 재물이 없는 사람에게 주는 것이다.
역주9 輕關易道 : 輕關은 그 稅를 가벼이 함이고, 易道는 도적을 제거하는 것이다.
역주10 通商寬農 : 通商은 상인과 나그네를 편리하게 함이고, 寬農은 그 정무를 관대하게 하여 그 시기를 빼앗지 않는 것이다.
역주11 茂穡勸分 : 茂는 힘씀이니, 농사에 힘쓰는 것이다. 勸分은 있는 이에게 권하여 없는 이에게 나누어 주게 하는 것이다.
역주12 : 四部備要本에는 ‘懋’로 되어 있는데 통용한다.
역주13 省用足財 : 省은 줄임이니, 國用을 줄임이고, 足財는 흉년을 대비하는 것이다.
역주14 利器明德 : 利器는 기용을 날카롭게 하는 것이다. 明德은 德敎를 밝히는 것이다.
역주15 官方定物 : 方은 常(일정함)이고, 物은 事(일)이니, 그 일정한 관직을 세워 백 가지 일을 정하는 것이다.
역주16 正名育類 : 正名은 上下 服位의 명분을 바로잡는 것이다. 育은 長(기름)이고, 類는 善(착한 사람)이다.
역주17 舊族 : 오래된 신하로서 공로가 있는 자의 가족.
역주18 : 顯(드러냄)이다.
역주19 尊貴寵 : 국가의 귀한 신하를 높여 총애함이다.
역주20 故舊 : 公子였을 때의 친구를 이른다.
역주21 胥籍……寔掌近官 : 이들 11종족은 晉나라의 오래된 姓이니, 가까이 조정에서 벼슬하는 자들이다.
역주22 諸姬 : 晉나라와 同姓인 사람.
역주23 中官 : 조정 안의 관리.
역주24 遠官 : 縣이나 변방.
역주25 食田 : 公田을 받음을 말한다.
역주26 工商食官 : 工은 百工, 商은 관청 상인. 《周禮》에 보면 府와 藏에는 모두 賈人이 있어 물가를 맡아 보았다. 食官은 관청에서 祿米를 주는 것이다.
역주27 皁隷食職 : 士는 皁를 신하로 하고 皁는 輿를 신하로 하고 輿는 隷를 신하로 한다. 食職은 각각 그 직책의 大小에 따라서 많거나 적게 먹는다는 말이다.
역주28 官宰食加 : 官宰는 家臣. 加는 大夫의 家田.
역주29 : 安(편안하다)의 뜻.
역주30 冬 襄王 避昭叔之難 居於鄭地氾 : 冬은 文公 원년 겨울. 양왕은 周惠王의 아들이다. 昭叔은 양왕의 아우 太叔帶인데, 甘昭公이 되었으므로 昭叔이라 한다. 혜왕이 양왕을 낳아 태자로 삼고서 또 陳나라에 장가들었는데, 부인을 惠后라 하고 소숙을 낳았다. 혜후가 소숙을 세우려 하다가 미처 하지 못하고 죽자 소숙이 齊나라로 도망하였다. 양왕이 소숙을 돌아오게 하였는데 양왕의 后인 翟隗와 사통하였다. 양왕이 隗氏를 폐하자 翟人이 周나라를 공벌하였으므로 양왕이 범으로 피난하였다.
역주31 : 四部備要本에는 ‘汜’로 되어 있는데 韋昭는 “氾 扶巖切……或音似非”라고 하여 ‘汜’는 틀린 것이라고 하였다.
역주32 使來告難 亦使告於秦 : 양왕이 簡師父를 시켜서 晉나라에 통고하게 하고, 또 左鄢父를 시켜서 秦나라에 통고하게 하였다.
역주33 民親而未知義也 : 親은 임금을 친애하는 것이다. 義를 알지 못하므로 화합하지 못한다.
역주34 君盍納王以敎之義 : 천자를 높이는 의리를 알게 하는 것이다.
역주35 失周矣 : 周나라를 섬기게 될 것을 잃는다.
역주36 何以求諸侯 : 제후의 맹주 노릇을 할 수 없다.
역주37 : 尊(높임)이다.
역주38 繼文之業 定武之功 : 文은 晉文侯 仇이니, 平王이 東遷할 때 문후가 도와서 圭瓚과 秬鬯을 받았다. 武는 重耳의 할아버지 武公 稱이니, 처음으로 晉나라를 합병하였다.
역주39 於此乎在矣 : 이 襄王을 들여보내는 일에 있는 것이다.
역주40 乃行賂于草中之戎 與麗土之翟 : 草中과 麗土는 晉나라 동쪽에 있는 두 읍.
역주41 求[啓] : 四部備要本에 의거하여 고쳤다.

국어(2) 책은 2022.07.1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