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國語(1)

국어(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국어(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9. 仲山父諫宣王料民
宣王 하고 乃料民於이어늘 仲山父諫曰
民不可料也니이다 夫古者 不料民而知其少多하니
協孤終하고 하며 協旅하고 司寇 協姦하며
協職하고 協革하며 協入하고 協出하나니
是則少多死生 出入往來者 皆可知也니이다
於是乎 又 王治農於藉하고 하며 耨穫亦於藉하고 하며
是皆習民數者也 又何料焉이리잇가
不謂其少而大料之 是示少而事也
臨政示少 諸侯避之하고 治民惡事 無以賦令이니이다 且無故而料民이면 天之所惡也 害於政而妨於後嗣니이다 王卒料之러니
及幽王하야하니라


9. 중산보仲山父선왕宣王에게 인구조사하는 일을 하다
【大義】인구조사는 담당하는 관리가 있어 자연스럽게 통계가 이루어지니, 까닭 없이 인구조사를 하면 政事에 해롭고 後嗣에도 방해가 된다고 論하다.
선왕宣王이 남쪽 지방의 군사를 잃고 나서 곧 태원太原에서 백성의 인구수를 조사하려 하자, 중산보仲山父가 간하였다.
“아무 때나 백성의 인구수를 조사해서는 안 됩니다. 옛날에는 백성의 인구수를 조사하지 않고서도 백성의 수가 적고 많음을 알았습니다.
사민司民은 태어나고 죽은 사람의 수를 통계하고, 사상司商은 이름과 의 수를 통계하며, 사도司徒는 군대의 수를 통계하고, 사구司寇는 간악한 백성의 수를 통계하며,
은 각종 짐승 기르는 사람의 수를 통계하고, 공인工人의 변동되는 수를 통계하며, 은 곡물 수확을 통계하고, 은 국가의 곡물이 나가고 들어오는 수를 통계합니다.
이렇게 하면 인구수의 적고 많음과 죽고 나며, 나가고 들어오고, 가고 오는 것을 다 알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고 또 일로써 인구의 수를 살펴야 하니, 왕은 자전藉田에서 농사를 짓고, 농한기에 봄 사냥을 하며, 김매고 수확하는 것도 적전에서 하고, 이미 곡식이 익었을 때는 가을 사냥을 하며, 농사일을 마친 계절에 겨울 사냥을 해야 합니다.
이런 일은 모두 백성의 수를 대강 알 수 있게 하는 것인데, 또 어찌 호적戶籍을 조사하여 인구를 통계統計해야 되겠습니까?
〈전쟁 등으로〉 백성의 수가 적어졌다고 말하지 않고 대규모로 호구조사를 하면, 〈스스로 백성의 수가〉 줄어든 것을 보여주고 정사政事를 싫어하여 닦지 않는 것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정사政事에 임하여 백성의 수가 적어진 것을 보이게 되면, 제후諸侯들이 피하여 멀리하게 되고, 백성을 다스리면서 정사政事를 싫어하면, 명령을 반포頒布할 수가 없습니다. 또 아무 까닭 없이 호구를 조사하면, 하늘이 싫어하게 되어 정사政事하는 도리를 해치고, 후사後嗣에 방해가 일어날 것입니다.”
왕이 끝내 호구조사를 시행했는데, 유왕幽王에 이르러서 마침내 멸망하게 되었다.


역주
역주1 旣喪南國之師 : 周宣王 39年(기원전 789년)에 姜氏戎과의 전쟁에서 패배한 일. 南國은 고대 長江과 漢水 사이의 지방을 일컫는다. 宣王이 姜氏戎과 전쟁을 할 때 長江과 漢水 유역에 위치한 楚‧申‧呂‧鄧‧陳‧蔡나라의 군대를 징발하여 싸우다가 敗戰하여 많은 군사가 전사하거나 부상을 입었다.
역주2 大原 : 현재의 寧夏回族自治區의 固原縣 북쪽인 原州‧涇陽 사이에 있는 地名. 周나라와 서북 소수민족의 接境 지역이었다.
역주3 司民 : 周官의 秋官에 딸리어 백성의 戶口 등록을 주관하는 벼슬. 《周禮秋官司民》
역주4 司商 : 族姓을 수여하던 일을 맡아보던 벼슬. 韋昭는 “사상은 족성을 내려주는 일을 관장하는 벼슬이다. 商은 金에 해당하는 소리로 소리가 맑다. 사람이 처음 태어났을 때, 律을 불어서 합쳐지면 그 姓名을 정하였다.[司商 掌賜族受姓之官 商金聲淸 謂人始生 吹律合之 定其姓名]” 하였다. 《漢書》 〈京房傳〉에는 “房의 본래 성은 李氏인데 律의 소리를 미루어 스스로 정하여 경씨가 되었다.[房本姓李 推律自定爲京氏]”라 하여 이 주장을 증명하고 있다.
역주5 : 四部備要本에는 ‘民’으로 되어 있으나 따르지 않는다.
역주6 司徒 : 원래는 禮敎로 백성을 교화하는 일을 담당하던 六卿의 하나. 韋昭는 “사도는 군대의 무리를 모으는 일을 관장한다.[司徒 掌合師旅之衆]”라 하였다. 앞의 주 31) 참고.
역주7 : 牧人. 짐승을 기르는 일을 관장하던 벼슬. 《周禮地官牧人》
역주8 : 관직명으로 수공업, 즉 工匠을 맡은 사람. 革은 바꾸는 일을 말한다.
역주9 : 場人으로, 채마밭‧과수원을 관장하는 벼슬. 《周禮地官場人》
역주10 : 廩人으로, 곡식 저장 창고를 관장하는 벼슬. 《周禮地官廩人》
역주11 審之以事 : 事는 적전과 사냥을 인하여 그 숫자를 간략히 아는 것이다.
역주12 蒐於農隙 : 봄 사냥을 蒐라고 하니, 蒐는 선택함이다. 禽獸가 새끼를 밴 것이 드러나지 않으면 가을에 가서야 잡는다. 農隙은 仲春에 耕種이 끝난 뒤의 틈이 나는 농한기이다.
역주13 獮於旣烝 : 獮은 가을 사냥의 이름. 烝은 오른다는 뜻으로, 새 곡식이 이미 익어 수확한 中秋를 이른다.
역주14 狩於畢時 : 狩는 겨울 사냥의 이름. 畢時는 일 년의 농사일을 끝마친 겨울철을 이른다.
역주15 : 오
역주16 廢滅 : 西周의 멸망을 이른 말. 宣王의 아들 幽王이 犬戎의 공격으로 驪山 아래에서 피살됨으로써 西周가 멸망하고, 周平王이 洛陽으로 東遷하여 東周시대가 열리게 되었다.

국어(1) 책은 2024.01.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