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國語(1)

국어(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국어(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90. 虢將亡舟之僑以其族適晉
夢在廟러니 有神人面白毛虎爪 執鉞하고 立於西
公懼而走한대 神曰
無走하라
帝命曰使晉襲於爾門이니라 拜稽首하다
하야 召史嚚占之하니
對曰 如君之言이면 天之刑神也
이니이다
公使囚之하고 且使國人賀夢하다
族曰
衆謂虢不久 吾乃今知之로이다
君不而賀大國之襲하니
於己何瘳리오
吾聞之컨대 曰大國道 小國襲焉曰服이오 小國 大國襲焉曰誅라호라
民疾君之侈也
是以遂於逆命이어늘
今嘉其夢하니 侈必展하리라
是天奪之鑒而益其疾니라
民疾其態어늘 天又誑之하고 大國來誅어늘 出令하며
旣卑하고 諸侯遠己하야
內外無親하니 其誰云救之리오
吾不忍俟也 하리라하고
以其族適晉이러니
虢乃亡하다


90. 나라가 망하려 하자 주지교舟之僑가 집안을 거느리고 나라로 가다
【大義】自慢한 君主의 자신만이 옳다고 하는 판단이 빚어내는 국가의 불행 속에 충직한 신하의 어쩔 수 없는 선택.
나라의 군주[虢公]가 꿈에 종묘에 있는데, 어떤 한 신인神人이 사람 얼굴에 흰털과 호랑이 발톱을 하고서 도끼를 들고 서쪽 추녀에 서 있었다.
괵공虢公이 두려워서 달아나자, 신인神人이 말하였다.
“달아날 것 없다.
상제上帝께서 명령하여, 나라를 시켜서 너희 나라의 국문國門으로 들어가도록 하셨다.”고 하자, 괵공虢公이 절하고 머리를 조아렸다.
꿈에서 깨어나 태사 은[史嚚]을 불러서 점을 쳐보게 하였다.
대답하기를 “임금님의 말과 같다면 그 귀신은 욕수蓐收이니 하늘에서 형벌을 담당하는 입니다.
하늘은 하고자 하는 일을 담당하고 있는 을 상징으로 내세워 나타냅니다.” 하였다.
괵공이 사은史嚚을 가두게 하고 나라 사람들로 하여금 꿈을 경하慶賀하게 하였다.
주지교舟之僑가 자신의 여러 집안 사람들을 불러서 고하였다.
“여러 사람이 ‘나라가 망하는 것이 오래 남지 않았다.’ 하는 말의 뜻을, 제가 이제야 알았습니다.
임금님께서 신인神人이 말해 준 뜻을 헤아리지 않고 큰 나라가 나라로 들어오는 것을 경하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나라에 내려질 재앙이 어찌 조금이라도 가벼워질 수 있겠습니까?
저는 듣건대 큰 나라에 도의道義가 구현되어 있어 작은 나라가 나아가는 것은 ‘복종하여 귀의歸依한다.’라 하고, 작은 나라가 거만하여 큰 나라가 들어가는 것은 ‘정벌征伐한다.’고 말하는 것이라 들었습니다.
백성들은 임금의 사치스러움을 미워하고 있습니다.
그런 연유로 마침내 임금의 명령을 거역하기에 이르렀습니다.
그런데 지금 꾼 꿈을 아름다운 것으로 여기고 계시니, 사치스러움이 반드시 더하여질 것입니다.
이는 하늘이 그 사람에게서 거울삼을 만한 것을 빼앗아서 그의 죄악을 더욱 심화시키려는 것입니다.
백성들이 그 저지른 행태들을 미워하고 있는데 하늘마저 또 저 임금을 홀리고 있으며, 큰 나라의 정벌이 닥쳐오는데 명령을 낸다는 것이 이치에 어긋나는 일만 하고 있습니다.
국가의 종실宗室들이 이미 미약해졌고 제후들도 우리와 소원疏遠해져 있습니다.
안팎으로 친한 곳이 없으니, 어느 나라가 구제해 줄 것이라고 말할 수 있겠습니까?
저는 차마 기다리고 있을 수 없어 곧 떠나렵니다.”
이에 자신의 종족을 거느리고 나라로 옮겨 갔다.
6년 만에 나라가 망하였다.


역주
역주1 虢公 : 虢나라의 군주이니 周나라 王季의 아들이자 文王의 아우인 虢仲의 후손인 虢醜이다.
역주2 : 추녀다. 汪遠孫의 《國語明道本攷異》에 “《太平御覽》 〈神鬼部〉에서 이 글을 인용하며 西阿之下라고 썼다.” 하였다.
역주3 : 교
역주4 蓐收 : 西方을 맡아 다스리는 神. 서방은 五行에서 가을이고 가을은 肅殺을 상징하는 데에서 刑神이라 이른 것이다.
역주5 天事官成 : 하늘이 재앙이나 복을 내리고자 하면 五方을 관장하고 있는 신을 상징으로 내세워 먼저 그 뜻을 나타낸다는 말이다.
역주6 舟之僑 : 晉나라의 大夫이다.
역주7 其諸 : 四部備要本에는 ‘諸其’로 되어 있는데 같은 말이다.
역주8 : 四部備要本에는 ‘亡’자가 없다.
역주9 : 탁
역주10 〈也〉 : 四部備要本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역주11 : 四部備要本에는 ‘傲’로 되어 있는데 통용한다.
역주12 〈也〉 : 四部備要本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역주13 : 四部備要本에는 ‘而’로 되어 있다.
역주14 宗國 : 국가의 王室 집안 사람들이다.
역주15 將行 : 이를 舟之僑의 말로 해석하였으나, 일부에서는 ‘吾不忍俟也’까지가 주지교의 말이고 장행은 주지교가 떠나려면서의 뜻으로 봐야한다는 해석도 있다.
역주16 六年 : 舟之僑가 진나라로 떠난 뒤 6년이니 魯僖公 5년(기원전 655년)이다.

국어(1) 책은 2024.01.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