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國語(1)

국어(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국어(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47. 子叔聲伯辭邑
如晉하야 한대
之邑하되 弗受也하다
鮑國 謂之曰
子何辭苦成叔之邑
欲信讓邪 抑知其不可乎
對曰
吾聞之하니 不厚其棟이면 不能任重이라하니 이라
夫苦成叔家 欲任하되 而無大德하니 其不存也 亡無日矣
譬之如疾하니 余恐이라
苦成氏 有三亡하니
少德而多寵하고 하고 無大功而欲大祿하니 皆怨府也
하고 而歸하니 必立新하리라
因民 爲怨하니 可謂多矣
其身之不能定이어늘 焉能予人
鮑國曰
我信不若子로다 리라 今子圖遠以讓邑하니 必常立矣리라하다


47. 자숙성백子叔聲伯을 사양하다
【大義】不健全한 사람이 주는 것은 받지 않아야 한다.
자숙성백子叔聲伯나라에 가서 계문자季文子를 〈풀어 달라고〉 사례하고 청원하였다.
극주郤犨자숙성백子叔聲伯에게 을 주려고 하였으나 받지 않았다.
돌아올 적에 포국鮑國이 그에게 말하였다.
“그대는 어찌 고성숙苦成叔을 사양하였습니까!
진실로 사양하고자 한 것입니까, 아니면 그 옳지 않음을 알아서입니까?”
〈자숙성백이〉 대답하였다.
“내가 들으니 ‘그 기둥이 두텁지 않으면 무게를 감당할 수 없다.’ 하는데, 무게는 나라만 한 것이 없고 기둥은 도덕만 한 것이 없습니다.
고성숙의 가문이 〈〉 두 나라를 떠맡으려 하나 큰 도덕이 없으니, 보존하기 어려운지라 망할 날이 멀지 않습니다.
비유하면 전염병과 같으니, 내가 그에게 전염될까 두렵습니다.
고성씨苦成氏는 세 가지 망조가 있습니다.
도덕은 적으면서 총애는 많고 지위는 낮으면서 윗사람의 정무를 하려 하고 큰 공은 없으면서 큰 녹봉을 원하니, 모두 원망이 쌓이는 창고입니다.
그 임금은 교만하면서 총애하는 신하가 많고 적을 이기고 돌아왔으니, 반드시 새로운 대부大夫를 세울 것입니다.
새로운 대부를 세울 적에 백성에게 의거하지 않는다면 과거의 관리를 제거하지 못하고, 백성에게 의거하는 데에 원망을 많이 받는 자가 아니면 백성이 〈토벌을〉 시작할 바가 없으나, 원망이 세 개의 창고나 만들었으니 많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제 몸도 안정시킬 수 없거늘 어찌 남에게 을 줄 수 있겠습니까?”
포국이 말하였다.
“나는 진실로 그대만 같지 못합니다. 만약 우리 포씨鮑氏에게 의 조짐이 있더라도 나는 미리 헤아리지 못할 것입니다. 이제 그대가 먼 일까지 미리 헤아려서 읍을 양보하니, 반드시 항상 지위를 확립할 것입니다.”


역주
역주1 子叔聲伯 : 公孫嬰齊. 魯나라 大夫. 宣公의 아우이며, 叔肹의 아들이다.
역주2 謝季文子 : 韋昭는 “魯나라의 叔孫僑如가 季氏를 제거하려고 季文子를 晉나라에 참소하자, 晉나라 사람이 그를 잡아갔다. 郤犨의 처는 子叔聲伯의 外妹이므로, 노나라 成公이 성백을 시켜서 진나라에 가서 사례하고 또 季文子를 풀어달라고 요청하게 하였다.”라고 하였다. 外妹는 어머니는 같고 아버지가 다른 여자 아우.
역주3 郤犨 : 晉나라의 卿苦成叔이다. 아내 때문에 성백과 친하여 읍을 청해서 성백에게 주려고 하였다.
역주4 : 四部備要本에는 ‘犫’로 되어 있는데 同字이다.
역주5 : 四部備要本에는 ‘予’로 되어 있는데 통용한다.
역주6 重莫如國 棟莫如德 : 나라는 지극히 무거워서 도덕이 아니면 나라의 기둥을 감당하지 못함을 말한다.
역주7 兩國 : 晉나라와 魯나라.
역주8 : 옮겨가다. 傳染되다.
역주9 位下而欲上政 : 지위는 下卿이면서 국가 정무를 전담하려고 하였다.
역주10 其君驕而多私 : 其君은 厲公을 말한다. 多私는 총애하는 신하가 많음이다.
역주11 勝敵 : 楚나라를 무찌른 일을 말한다.
역주12 : 大夫를 말한다.
역주13 立新家 不因民 不能去舊 : 백성이 미워하는 바를 따르지 않으면 오래된 卿을 제거할 수 없다.
역주14 非多怨 民無所始 : 郤氏에게 원망이 많아서 백성이 비로소 칠 것임을 말한다.
역주15 : 도덕은 적으면서 총애는 많고, 지위는 낮으면서 윗사람의 정무를 하고자 하고, 큰 공은 없으면서 큰 녹봉을 원함을 말한다.
역주16 〈之〉 : 四部備要本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역주17 若鮑氏有釁 吾不圖矣 : 釁은 조짐이다. 鮑氏에게 만약 禍의 조짐이 있더라도 나는 미리 헤아릴 수 없을 것이라는 말이다.

국어(1) 책은 2024.01.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