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國語(1)

국어(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국어(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62. 公父文伯之母論勞逸
公父文伯 退朝하야 朝其母한대 其母方績이어늘 文伯曰
之家而主猶績하시니하노이다
其以歜으로 爲不能事主乎인저
其母歎曰
魯其亡乎인저
하라
吾語女하리라
聖王之處民也 擇瘠土而處之하고 勞其民而用之
하시니라
夫民 勞則思하나니 思則善心生하고 逸則淫하나니
淫則忘善하고 忘善則惡心生하나니라
沃土之民 不材 瘠土之民 莫不嚮義 勞也
是故 天子 하야 與三公九卿으로 識地德하고 日中考政하야 與百官之政事어든
旅牧相하야 序民事하고
하야 하고 日入監하야 使潔奉禘郊之粢盛이라야 而後卽安이라
諸侯天子之業命하고 晝考其國職하고 夕省其典刑하고 夜儆百하야 使無이라야 而後卽安이라
卿大夫 朝考其職하고 晝講其庶政하고 夕序其業하고其家事라야 而後卽安이라
受業하고 晝而講하고 夕而習復하고 夜而過無憾이라야 而後卽安이라
自庶人以下 明而動하고 晦而休하야 無日以怠
王后 親織玄紞하고 公侯之夫人 하고 卿之 爲大帶하고
成祭服하고 하고 皆衣其夫하나니라
社而賦事하며 烝而獻功하야 男女效績하야 愆則有辟 古之制也
君子勞心하고 小人勞力 先王之訓也
自上以下 誰敢淫心舍力
今我 寡也 又在하니 朝夕하여도 猶恐忘先人之業이온 况有怠惰 其何以避辟이리오
吾冀朝夕脩我曰 必無廢先人이라하더니 爾今曰 胡不自安가하니 하노라하다
仲尼聞之曰
弟子
志之하라
不淫矣로다


62. 공보목백公父文伯의 어머니가 근면과 안일安逸을 논의하다
【大義】근면은 집안을 유지하고 나라를 일으키는 근본이다.
공보목백公父文伯이 조정에서 퇴근하여 그 어머니께 인사드리는데, 그 어머니가 한창 실을 잣거늘, 공보문백이 말하였다.
“저의 집 주인께서 오히려 실을 자으시니, 계손의 노여움을 촉발할까 두렵습니다.
저더러 주인을 잘 섬기지 못한다고 할 것입니다.”
그 어머니가 탄식하여 말하였다.
나라가 망하겠구나!
동자童子를 관직에 있게 하고 아직 를 듣지 못하게 하였구나.
앉거라.
내가 너에게 말해 주리라.
옛날에 성스러운 왕께서 백성에게 처함에 척박한 땅을 가려서 거처하게 하고, 그 백성들을 고생시키면서 등용하였다.
그러므로 오래도록 천하에서 왕 노릇 하셨다.
백성은 고생하면 생각하게 되니, 생각하면 착한 마음이 생기고 안일하면 음탕해진다.
음탕하면 을 잊고, 선을 잊으면 나쁜 마음이 생긴다.
기름진 땅에 사는 백성들이 재주가 없게 되는 것은 안일安逸해서이고, 척박한 땅에 사는 백성들이 를 향하지 않는 자가 없게 되는 것은 고생해서이다.
그러므로 천자께서는 대채복大采服을 입고 해에게 조회하여 삼공三公구경九卿과 함께 땅의 덕을 익혀 알고 한낮에는 정무를 살펴서 백관百官의 정사를 거행하면 사윤師尹이 군사와 목민관과 재상에게 베풀어서 백성의 일을 두루 차례 있게 다스리고,
소채복少采服을 입고 달을 맞이해서 태사太史사재司載천법天法을 공경하여 살피고 해가 지면 구어九御를 살펴서 체제禘祭교제郊祭의 제물을 깨끗이 받들게 한 뒤에 나아가 휴식하였다.
제후는 아침에 천자의 업무 명령을 강구하고 낮에는 그 국가의 직무를 살피고 저녁에는 상법常法을 살피고 밤에는 모든 관원을 경계시켜서 게으름과 음탕함을 없게 한 뒤에 나아가 휴식하였다.
대부大夫는 아침에 그 직책을 살피고 낮에 그 여러 정무를 강구하고 저녁에 그 일을 차례 있게 하고 밤에는 대부 집안의 일을 다스린 뒤에 나아가 휴식하였다.
는 아침에 일을 받고 낮에 강론하여 익히고 저녁에 복습하고 밤에 과실을 없애서 유감이 없게 한 뒤에 나아가 휴식하였다.
서인庶人으로부터 이하는 밝으면 일하고 어두우면 쉬어서 어느 날이건 나태함이 없게 한다.
왕후王后는 몸소 검은 면류관 끈을 짜고, 의 부인은 갓끈과 면류관의 덮개를 더 짜고, 내자內子는 허리띠인 대대大帶를 만들고,
명부命婦제복祭服을 만들고, 원사元士의 아내는 조복朝服을 더 만들고, 하사下士로부터 이하는 모두 그 남편의 옷을 만든다.
봄에 사제社祭를 지내고서 일을 부여해 주며 겨울에 증제烝祭를 지내고서 일한 결과를 바치게 하니, 남자나 여자나 공적功績을 바쳐 허물이 있으면 벌이 있는 것은 옛날의 제도였다.
군자는 정신으로 고생하고 소인은 육체로 고생하는 것은 선왕의 훈계였다.
위로부터 아래까지 모든 사람이 어느 누가 감히 마음을 음탕하게 하며 노력하지 않겠는가?
지금 나는 과부이고 너는 하대부下大夫의 자리에 있으니, 아침저녁으로 일에 처신處身해도 오히려 선인先人의 일을 잊을까 두려워해야 하거늘, 하물며 게으름이 있다면 그 무엇으로 그 죄를 피할 길이 있겠느냐.
나는 네가 아침저녁으로 나를 수양하게 해서 말하기를 ‘반드시 선인先人을 폐하지 말게 하십시오.’라고 하기를 바랐는데, 너는 지금 말하기를 ‘어찌 스스로 편히 지내지 않으십니까?’하니, 이것으로 임금의 관직을 받든다면, 나는 목백穆伯의 제사가 끊어질까 두려워한다.”
중니仲尼가 그 말을 듣고 말하였다.
“제자들아!
기억하라.
계씨季氏의 부인이 안일하게 지내지 않았다.”


역주
역주1 : 公父文伯의 이름.
역주2 : 四部備要本에는 ‘忓’으로 되어 있는데, 汪遠孫의 《國語明道本攷異》에 ‘干’이 옳다고 하였다.
역주3 季孫 : 季康子.
역주4 : 四部備要本에는 ‘怨’으로 되어 있는데, 汪遠孫의 《國語明道本攷異》에 ‘怒’가 옳다고 하였다.
역주5 使僮子 備官而未之聞邪 : 僮은 僮蒙으로 통달하지 못한다는 말이다. 이미 관직에 있게 하고서 아직 도를 듣게 하지 못함을 말한다.
역주6 : 四部備要本에는 ‘耶’로 되어 있는데 통용한다.
역주7 長王天下 : 척박한 땅은 이익이 적고 또 고생시키면서 등용하여 음탕‧안일하지 않게 하니, 음탕‧안일하지 않으면 의리를 향하므로 오래 천하에 왕 노릇한다.
역주8 淫[逸] : 汪遠孫의 《國語明道本攷異》에 의거하여 고쳤다.
역주9 大采 : 다섯 가지 채색의 복장. 采는 彩와 같다.
역주10 朝日 : 천자가 春分 때에 해를 맞이하는 의식.
역주11 : 習(익히다)의 뜻.
역주12 師尹 : 大夫官. 일설에 公이라고도 한다.
역주13 惟旅牧相 : 惟는 陳(베풀다). 旅는 衆士. 牧은 州牧. 相은 國相.
역주14 : 四部備要本에는 ‘維’로 되어 있는데 통용한다.
역주15 : 遍(두루)의 뜻.
역주16 少采 : 세 가지 채색의 복장.
역주17 夕月 : 천자가 秋分 때에 달에게 행하는 제사 의식.
역주18 太史司載 : 太史는 史官. 司載는 天文官.
역주19 糾虔天刑 : 糾는 恭(공손함). 虔은 敬(경건함). 刑은 法.
역주20 九御 : 九嬪의 관원.
역주21 : 四部備要本에는 ‘修’로 되어 있는데 통용한다.
역주22 : 官員.
역주23 : 慢(게으름)의 뜻.
역주24 : 治(다스리다)의 뜻.
역주25 : 四部備要本에는 ‘而’자가 없다.
역주26 : 習(익히다)의 뜻.
역주27 計[討] : 汪遠孫의 《國語明道本攷異》에 의거하여 고쳤다.
역주28 加之以紘綖 : 紞을 짜고 나서 또 紘‧綖을 더한다.
역주29 內子 : 卿의 適妻.
역주30 命婦 : 大夫의 妻.
역주31 列士之妻 加之以朝服 : 列士는 元士이다. 祭服을 만들고 나서 또 朝服을 더한다.
역주32 自庶士以下 : 庶士는 下士이다. 下는 庶人에 이름이다.
역주33 下位 : 下大夫.
역주34 處事 : 處事는 일하는 데에 몸을 처함이다.
역주35 : 汝(너)의 뜻.
역주36 以是承君之官 余懼穆伯之絶祀也 : 承은 받듦이다. 이 나태한 마음으로 임금의 관직을 받들면 형벌을 피하지 못해 장차 誅戮되어 끊김을 당한다.
역주37 : 四部備要本에는 ‘嗣’로 되어 있다.
역주38 季氏之婦 : 公父氏는 季氏의 分家이므로, 公父文伯의 어머니를 季氏之婦라고 하였다.

국어(1) 책은 2024.01.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