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國語(2)

국어(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국어(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213. 左史倚相儆申公子亹
[大義]安逸에 빠진 元老에 대한 경고.
左史倚相 廷見라가 子亹不出이라 左史謗之러니以告한대
子亹怒而出曰 女無亦謂我老耄而舍我하고 而又謗我
曰 唯子老 故欲見以交儆子니이다
若子方壯하야 能經營百事 倚相 將奔走承序하야 於是不給이어니
而何暇得見이리잇가
衛武公 年數九十有五矣로대 猶箴儆於國曰
自卿以下 至於 苟在朝者 無謂我老耄而舍我하고 必恭恪於朝하야 朝夕以交戒我
聞一二之言이어든 必誦志而納之하야 以訓道我하라
在輿有之規하고之典하고
倚几之諫하고 居寢御之箴하고
之道하고 宴居之誦하며
史不失書하고 矇不失誦하야 以訓御之하니이다
於是乎作以自儆也러니
及其沒也하야 謂之聖武公이라하니이다
子實不叡聖이나 於倚相何害
曰 文王 至于日中昃 不皇暇食하야 惠於小民하야 唯政之恭이라하시니
文王 猶不敢이니이다
今子老楚國而欲自安也하야 以禦하니 王將何爲
若常如此 楚其難哉인저 子亹曰 老之過也라하고 乃驟見左史하다


213. 좌사左史의상倚相신공申公자미子亹를 깨우치다
좌사左史 벼슬에 있던 의상倚相이 조정에서 신공申公자미子亹를 뵙고자 하였는데 자미가 나오지 아니하여 좌사가 헐뜯는 말을 한 것을, 거백擧伯이 그대로 고자질하였다.
자미가 성을 내어 나와 말하기를, “네가 나를 늙어 정신없는 사람으로 생각하고서 나를 버리고 또 나를 비방하는 것이 아니더냐?” 하였다.
좌사가 말하기를, “어르신께서 늙어 정신이 없는 까닭에 찾아뵙고서 도와 깨우쳐 드리고자 한 것입니다.
만일 어르신께서 한창 장년의 나이로 능히 모든 일을 경영하고 계시면, 의상은 분주히 오가며 일 순서에 따른 지시를 받들기에도 시간이 모자랄 터입니다.
어느 겨를에 뵈러 올 틈이 나겠습니까?
옛날 위무공衛武公은 나이가 95세였는데도 오히려 나라 사람들에게 훈계해 말하기를,
으로부터 아래로 대부大夫와 여러 들에 이르기까지 진실로 조정에서 일하는 자들은 나를 늙어 정신없는 사람이라 여기고서 나를 버리지 말고 반드시 조정에서 공경하고 조심하고 아침부터 저녁까지 두루두루 나를 경계시켜 주도록 하라.
한두 마디라도 나에 관한 말을 들었거든, 반드시 외워 기억하였다가 나에게 말해 주어서 나를 가르쳐 인도해야 할 것이다.’ 하시고서
수레에 있을 때는 호위하는 군사들의 간하는 말을 들었고, 위저位宁에서는 관아의 으뜸 관원들로부터 전장典章 제도에 관한 말을 들었고,
에 기대어 있을 때는 궤에 써 둔 악사樂師들이 전하는 말을 읽으셨고, 침소에 들어서는 가까이 모시는 신하들에게 간하도록 하였고,
군사 관계 일이나 제사에 임하여서는 악사와 태사太史의 지도가 있었고, 한가로이 거처하며 쉬실 적에는 악사가 옛 를 읊어 드렸습니다.
사관史官은 임금의 말씀을 놓치지 아니하고 모두 기록하고 소경들은 때맞춰 옛 훌륭한 말씀들을 외워 올려 훈계의 말로 인도하였습니다.
이에 의계懿戒를 지어서 스스로를 깨우치셨습니다.
그분이 돌아가시자 그를 일러 슬기롭고 성스러운 무공[예성무공叡聖武公]이라 하였습니다.
어르신께서 참으로 슬기롭거나 성덕을 갖추지 못하였다 하더라도 저에게야 무슨 해될 일이 있겠습니까?
주서周書〉에 이르기를, ‘문왕文王께서 해가 중천에 떠서 기울어지기까지 밥 먹을 겨를조차 없이 백성들에게 은혜를 입히며, 정사를 공손히 수행했다.’라고 했습니다.
문왕께서도 오히려 감히 게을리 하지 못했다 하였습니다.
지금 어르신께서는 초나라의 원로元老로서 스스로를 편안히 하고자 하여 비방하는 자마저 막고자 드시는데 왕께서는 장차 어떠하시겠습니까?
만일 늘 이와 같다면, 초나라는 정치가 잘 되기 어려울 것입니다.” 하니, 자미子亹가 두려워하며, “나의 잘못이다.” 하고서, 급히 나와서 좌사左史를 접견하였다.


역주
역주1 申公子亹 : 〈楚語〉 첫 편에서 楚恭王의 스승으로 추대된 士亹이다.
역주2 擧伯 : 초나라의 대부.
역주3 左史 : 四部備要本에는 다음에 ‘倚相’ 두 글자가 더 있다.
역주4 : 나이 80세 된 노인을 이르는 말.
역주5 師長士 : 師長은 대부를, 士는 여러 士 계급을 이른다.
역주6 旅賁 : 군주의 거둥에 수레를 좌우에서 호위하는 군사.
역주7 位宁 : 位는 조정의 뜰 좌우를, 宁는 門과 屛 사이를 이른다. 문은 조정에 들어서는 문이고 병은 왕의 침전 앞을 가로막아 세운 작은 담장을 이른다. 그 사이에서 임금이 신하들의 조회를 받는다.
역주8 官師 : 師는 우두머리를 이른다. 곧 관아의 으뜸 벼슬을 이른다.
역주9 誦訓 : 工師들이 외워서 諫하는 말들을 几에다 써 놓은 것이다.
역주10 : 四部備要本에는 ‘褻’로 되어 있다.
역주11 : 군사 관계 일과 제사 등의 일을 이른다.
역주12 瞽史 : 瞽는 음악을 맡은 관원이니 군주에게 길흉을 고하는 일을 맡고, 史는 太史官이니 禮를 고하는 일을 맡았다.
역주13 師工 : 師는 樂師, 工은 소경을 이른다.
역주14 懿戒 : 三君이 懿戒를 책이라고 한 것에 대하여, 韋昭는 “懿詩는 武公이 지은 《詩經》 〈大雅〉의 抑시를 이른다. 그리고 懿의 音을 抑으로 읽어야 한다. 〈毛詩 敍〉에는 抑은 衛武公이 당시 주나라 왕인 厲王을 풍자하고 또한 자신을 깨우치기 위해 지은 시라고 하였다.” 하였다.
역주15 : 四部備要本에는 ‘睿’로 되어 있는데 통용한다.
역주16 周書 : 《書經》 〈無逸〉篇을 이른다.
역주17 : 四部備要本에는 ‘驕’로 되어 있다.
역주18 數者 : 四部備要本에는 ‘數戒者’로 되어 있다.
역주19 : 四部備要本에는 ‘懼’자가 없다.

국어(2) 책은 2022.07.1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