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國語(1)

국어(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국어(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40. 臧文仲說僖公請免衛成公
하야 歸之於周하고 鴆之하되 不死 醫亦不誅하다
臧文仲 言於僖公曰
夫衛君 殆無罪矣리이다
刑五而已
無有隱者 隱乃諱也니이다
大刑 用甲兵하고 其次 用斧鉞하고 中刑 用刀鋸하고 其次하고 薄刑 用鞭扑하야 以威民也
大者 陳之原野하고 하니 是無隱也니이다
今晉人 鴆衛侯不死한대 亦不 有諸侯之請이면 必免之하리이다
臣聞之컨대 能有親이라하니 夫諸侯之患 諸侯恤之
君盍請衛君하야 以示親於諸侯하고 且以하니잇가
하니 使亦曰 魯 不棄其親하니 其亦不可以惡하소서하다
公說하야 行玉하야 乃免衛侯하다 自是 晉聘於魯 加於諸侯一等하고 厚其好貨하다
衛侯聞其臧文仲之爲也하고 使納賂焉한대 辭曰
之言 不越境하니 하노이다하다


40. 장문중臧文仲희공僖公에게 위성공衛成公사면赦免하라고 요청하다
【大義】刑罰은 공정하면서 공개해야 하고 諸侯끼리는 서로 도와야 한다.
의 회맹에서 나라 군인들이 나라 성공成公을 잡아서 나라로 보내고, 의원醫員을 시켜서 짐독鴆毒을 먹였으나 죽지 않았고, 의원 역시 처벌받지 않았다.
장문중臧文仲희공僖公에게 말하였다.
나라 임금은 아마 죄가 없는 듯합니다.
형벌은 다섯 가지뿐입니다.
은밀히 하는 것이 있지 않으니, 숨긴 것은 꺼린 것입니다.
큰 형벌은 처형에 갑사甲士를 사용하고, 그 다음은 도끼를 사용하고, 중간 형벌은 칼과 톱을 쓰고, 그 다음은 송곳과 끌을 쓰고, 작은 형벌은 회초리를 써서 백성에게 겁을 줍니다.
그러므로 큰 형벌은 들에 시체를 펼쳐 놓고, 작은 형벌은 시장이나 조정에 이르니, 다섯 가지 형벌을 세 곳에서 처벌하는 것은 숨김이 없는 것입니다.
지금 나라 군인들이 나라 제후諸侯에게 짐독鴆毒을 먹였으나 죽지 않았는데, 또한 짐독을 먹인 의원醫員을 벌주지 않은 것은 제후를 죽였다는 것을 싫어하여 피한 것이니, 제후의 요청이 있으면 반드시 사면할 것입니다.
신이 듣건대 ‘같은 반열끼리는 서로 걱정하므로 친함이 있게 된다.’라고 하니, 제후의 근심을 제후가 근심하는 것은 백성을 가르치는 것입니다.
임금께서는 어찌 나라 임금의 사면을 요청하여 제후들에게 친함을 보이고, 또 나라를 감동시키지 않으십니까?
나라는 새로 제후를 얻게 되니, 나라가 ‘역시 나라는 그 친분을 버리지 않았으니, 그 나라는 또한 미워해서는 안 된다.’라고 말하게 하십시오.”
희공僖公은 기뻐하여 옥 20짝을 보내어서 위후衛侯를 사면하게 하였다. 이로부터 나라가 나라를 빙문聘問할 때에는 제후諸侯들보다 1등급을 더 높였고, 벼슬이 같은 경우에는 그 좋아하는 재물을 많게 하였다.
위후衛侯는 장문중이 말했다는 것을 듣고서 뇌물을 들여 넣게 했는데 장문중이 사절하여 말하였다.
외신外臣의 말은 국경을 넘어가서는 안 되니, 감히 임금께 미치지 못하는 것입니다.”


역주
역주1 溫之會 : 晉文公이 복종하지 않는 자를 토벌하였다.
역주2 晉人 執衛成公 : 衛成公이 楚나라를 믿어 晉나라를 섬기지 않고 또 아우 叔武를 죽이자, 그 신하 元咺이 晉나라에 호소하였으므로 文公이 잡게 하였다.
역주3 使醫鴆之 不死 : 晉侯가 의원 衍을 시켜서 衛侯에게 鴆毒을 먹이게 하였으나 寗兪가 의원에게 뇌물을 주어 그 짐독을 엷게 하여 죽지 않았다.
역주4 : 四部備要本에는 ‘毉’로 되어 있는데 통용한다. 아래도 같다.
역주5 鑽笮 : 鑽은 다리 자르는 형벌, 笮은 먹물을 들여 文身하는 형벌.
역주6 : 黃丕烈의 札記에는 賈逵가 ‘鑿’으로 썼는데, 李善은 音義가 같다고 하였다.
역주7 小者 致之市朝 : 大夫 이상은 조정에 시체를 펼쳐 놓고, 士 이하는 시장에 시체를 펼쳐 놓는다.
역주8 五刑三次 : 五刑은 甲兵‧斧鉞‧刀鋸‧鑽笮‧鞭扑이다. 次는 장소이니, 三處는 野‧朝‧市이다.
역주9 : 汪遠孫의 《國語明道本攷異》에는 《太平御覽》 〈地部〉 22에 ‘誅’로 썼다고 하였는데, 의미가 유사한 자로 대치된 것이다.
역주10 使者 : 醫員衍을 말한다.
역주11 諱而惡殺之也 : 衛侯를 죽였다는 惡을 피한 것이다.
역주12 班相恤也 : 位次가 같은 자는 마땅히 서로 근심해야 함을 말한 것이다. 魯‧衛‧晉은 모두 侯爵으로 계급이 같고, 姬姓으로 성이 같다.
역주13 所以訓民也 : 서로 救恤함을 가르친다.
역주14 動晉 : 晉侯의 뜻을 움직여 일으킨다.
역주15 夫晉 新得諸侯 : 晉文公이 霸者가 됨을 말한다.
역주16 二十 : 黃丕烈의 札記에는 《舊音》에 ‘甘’으로 썼다고 하였는데, ‘二十’이 옳다.
역주17 : 雙玉.
역주18 爵同則厚其好貨 : 작위가 魯나라와 같으면 특히 그 좋아하는 재화를 많게 하였다.
역주19 : 四部備要本에는 ‘則’자가 없다.
역주20 外臣 : 諸侯의 신하가 다른 나라 제후에 대한 自稱.
역주21 不敢及君 : 신하는 감히 외국과 교제하지 못함을 말한다.

국어(1) 책은 2024.01.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